1
0
Fork 0
mirror of https://github.com/tldr-pages/tldr.git synced 2025-04-29 23:24:55 +02:00

if*, ignite, ilbmtoppm, im*: add Korean translation (#14667)

This commit is contained in:
HoJeong Im 2024-11-06 17:24:36 +09:00 committed by GitHub
parent 2e6a0c72ed
commit 07ab2a759a
No known key found for this signature in database
GPG key ID: B5690EEEBB952194
12 changed files with 211 additions and 0 deletions

View file

@ -0,0 +1,24 @@
# ifconfig
>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구성자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-tools.sourceforge.io/man/ifconfig.8.html>.
-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설정 보기:
`ifconfig {{인터페이스_이름}}`
- 비활성화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, 모든 인터페이스의 세부 정보를 표시:
`ifconfig -a`
- 인터페이스 비활성화:
`ifconfig {{인터페이스_이름}} down`
- 인터페이스 활성화:
`ifconfig {{인터페이스_이름}} up`
- 인터페이스에 IP 주소를 할당:
`ifconfig {{인터페이스_이름}} {{ip_주소}}`

24
pages.ko/common/ifdata.md Normal file
View file

@ -0,0 +1,24 @@
# ifdata
>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를 표시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joeyh.name/code/moreutils/>.
- 지정된 인터페이스의 전체 구성을 표시:
`ifdata -p {{eth0}}`
- 종료 코드를 통해 지정된 인터페이스의 존재([e]xistence)를 나타냄:
`ifdata -e {{eth0}}`
- 지정된 인터페이스의 IPv4 주소([a]ddress)와 넷마스크([n]etmask)를 표시:
`ifdata -pa -pn {{eth0}}`
- 네트워크([N]etwork) 주소, 브로드캐스트([b]roadcast) 주소 및 지정된 인터페이스의 MTU를 표시:
`ifdata -pN -pb -pm {{eth0}}`
- 도움말 표시:
`ifdata`

12
pages.ko/common/ifne.md Normal file
View file

@ -0,0 +1,12 @@
# ifne
> `stdin`의 비어 있음에 따라 명령을 실행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joeyh.name/code/moreutils/>.
- `stdin`이 비어 있지 않은 경우에만 지정된 명령을 실행:
`ifne {{명령어 옵션 ...}}`
- `stdin`이 비어 있는 경우에만 지정된 명령을 실행하고, 그렇지 않으면 `stdin``stdout`에 전달:
`ifne -n {{명령어 옵션 ...}}`

21
pages.ko/common/ifs.md Normal file
View file

@ -0,0 +1,21 @@
# IFS
> IFS (Internal Field Separator)는 Unix쉘에서 단어 분할에 사용되는 구분 기호를 정의하는 특수 환경 변수.
> IFS의 기본값은 공백, 탭 및 줄바꿈. 세 문자는 구분 기호 역할을 함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gnu.org/software/bash/manual/html_node/Word-Splitting.html>.
- 현재 IFS 값 보기:
`echo "$IFS"`
- IFS 값 변경:
`IFS="{{:}}"`
- IFS를 기본값으로 재설정:
`IFS=$' \t\n'`
- 서브셸에서 IFS 값을 일시적으로 변경:
`(IFS="{{:}}"; echo "{{one:two:three}}")`

20
pages.ko/common/ignite.md Normal file
View file

@ -0,0 +1,20 @@
# ignite
> React Native 보일러플레이트, 플러그인, 생성기 등을 위한 CLI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infinite.red/ignite>.
- 새로운 React Native 프로젝트를 생성:
`ignite new {{프로젝트_이름}}`
- 플러그인에서 파일 생성:
`ignite generate {{플러그인_이름}} {{경로/대상/파일}}`
- 프로젝트에 Ignite 플러그인을 추가:
`ignite add {{플러그인_이름}}`
- Remove an Ignite plugin from the project:
`ignite remove {{플러그인_이름}}`

View file

@ -0,0 +1,20 @@
# ilbmtoppm
> ILBM 파일을 PPM 이미지로 변환: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ilbmtoppm.html>.
- ILBM 파일을 PPM 이미지로 변환:
`ilbmtoppm {{경로/대상/파일.ilbm}} > {{경로/대상/파일.ppm}}`
- 이미지가 투명한 부분을 "비춰보이게" 하려면 지정된 색상을 사용:
`ilbmtoppm -transparent {{색깔}} {{경로/대상/파일.ilbm}} > {{경로/대상/파일.ppm}}`
- 지정된 청크 ID를 가진 청크를 무시:
`ilbmtoppm -ignore {{chunkID}} {{경로/대상/파일.ilbm}} > {{경로/대상/파일.ppm}}`
- 입력의 투명도 정보를 지정된 PBM 파일에 저장:
`ilbmtoppm -maskfile {{경로/대상/마스크파일.pbm}} {{경로/대상/파일.ilbm}} > {{경로/대상/파일.ppm}}`

View file

@ -0,0 +1,8 @@
# imapsync
> 두 개의 IMAP 서버 사이에 중복없이 단방향으로 이메일 사서함을 동기화, 복사 및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한 이메일 IMAP 도구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imapsync.lamiral.info>.
- 호스트1과 호스트2 간에 IMAP 계정을 동기화:
`imapsync --host1 {{호스트1}} --user1 {{사용자1}} --password1 {{비밀1}} --host2 {{호스트2}} --user2 {{사용자2}} --password2 {{비밀2}}`

View file

@ -0,0 +1,9 @@
# imgcat
> 커멘드라인에 이미지를 표시.
> iTerm2와 같은 호환 가능한 터미널이 필요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danielgatis/imgcat>.
- 커멘드라인에 이미지를 표시:
`imgcat {{경로/대상/파일}}`

View file

@ -0,0 +1,12 @@
# imgtoppm
> 다양한 이미지 파일 형식을 PPM (Portable Pixmap) 형식으로 변환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imgtoppm.html>.
- 입력 이미지를 PPM 형식으로 변환:
`imgtoppm {{경로/대상/입력}} > {{경로/대상/출력.ppm}}`
- 버전 정보 표시:
`imgtoppm -version`

View file

@ -0,0 +1,29 @@
# immich-cli
> Immich에는 커멘드라인에서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커멘드라인 인터페이스 (CLI)가 있음.
> 참고: `immich-go`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immich.app/docs/features/command-line-interface/>.
- Immich 서버에 인증:
`immich login {{서버_주소/api}} {{서버_키}}`
- 일부 이미지 파일 업로드:
`immich upload {{파일1.jpg 파일2.jpg}}`
- 하위 디렉터리를 포함한 디렉터리 업로드:
`immich upload --recursive {{경로/대상/디렉터리}}`
- 디렉터리를 기반으로 앨범 만들기:
`immich upload --album-name "{{My summer holiday}}" --recursive {{경로/대상/디렉터리}}`
- glob 패턴과 일치하는 리소스 건너뛰기:
`immich upload --ignore {{**/Raw/** **/*.tif}} --recursive {{경로/대상/디렉터리}}`
- 숨겨진 파일 포함:
`immich upload --include-hidden --recursive {{경로/대상/디렉터리}}`

View file

@ -0,0 +1,25 @@
# immich-go
> Immich-Go는 대규모 사진 컬렉션을 자체 호스팅 Immich 서버에 업로드하는 작업을 간소화하도록 설계된 오픈소스 도구.
> 참고: `immich-cli`.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simulot/immich-go>.
- Google 사진 테이크아웃 파일을 Immich 서버에 업로드:
`immich-go -server={{서버_주소}} -key={{서버_키}} upload {{경로/대상/테이크아웃_파일.zip}}`
- 앨범을 자동 생성하면서 2019년 6월에 촬영한 사진을 가져옴:
`immich-go -server={{서버_주소}} -key={{서버_키}} upload -create-albums -google-photos -date={{2019-06}} {{경로/대상/테이크아웃_파일.zip}}`
- 구성 파일의 서버 및 키를 사용하여 테이크아웃 파일 업로드:
`immich-go -use-configuration={{~/.immich-go/immich-go.json}} upload {{경로/대상/테이크아웃_파일.zip}}`
- Immich 서버 콘텐츠를 검사하고, 품질이 낮은 이미지를 제거하고, 엘범을 보존:
`immich-go -server={{서버_주소}} -key={{서버_키}} duplicate -yes`
- "YYYY-MM-DD" 패턴으로 생성된 모든 앨범 삭제:
`immich-go -server={{서버_주소}} -key={{서버_키}} tool album delete {{\d{4}-\d{2}-\d{2}}}`

View file

@ -0,0 +1,7 @@
# import
> 이 명령은 `magick import`의 에일리어스 (별칭) 입니다.
- 원본 명령의 도큐멘테이션 (설명서) 보기:
`tldr magick import`