From 19c6841a9d2ec32b55f18c3f00f54c5d36c2efce Mon Sep 17 00:00:00 2001 From: =?UTF-8?q?=EC=BD=94=EB=93=9C=EC=8B=B8=EC=9D=B4?= <81800589+CodePsy-2001@users.noreply.github.com> Date: Fri, 8 Nov 2024 15:55:00 +0900 Subject: [PATCH] cryptsetup-luksformat: fix typo, linux/c*: add and update Korean translation (#14682) * linux/c*: add and update Korean translation * cryptsetup-luksformat: fix typo --- pages.ko/linux/cacaclock.md | 16 +++++++++++ pages.ko/linux/cacademo.md | 8 ++++++ pages.ko/linux/cacafire.md | 8 ++++++ pages.ko/linux/cacaview.md | 8 ++++++ pages.ko/linux/caffeinate.md | 8 ++++++ pages.ko/linux/caffeine-indicator.md | 8 ++++++ pages.ko/linux/caffeine.md | 16 +++++++++++ pages.ko/linux/caja.md | 25 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al.md | 32 ++++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alcurse.md | 24 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am.md | 20 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at.md | 28 +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batticon.md | 32 ++++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eph.md | 32 ++++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ertbot.md | 29 ++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ewl.md | 24 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fdisk.md | 12 ++++++++ pages.ko/linux/cgclassify.md | 16 +++++++++++ pages.ko/linux/cgcreate.md | 17 +++++++++++ pages.ko/linux/cgexec.md | 9 ++++++ pages.ko/linux/cgroups.md | 17 +++++++++++ pages.ko/linux/chage.md | 24 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hat.md | 33 +++++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hattr.md | 16 +++++++++++ pages.ko/linux/chcon.md | 17 +++++------ pages.ko/linux/chcpu.md | 12 ++++++++ pages.ko/linux/check-dfsg-status.md | 13 +++++++++ pages.ko/linux/check-language-support.md | 16 +++++++++++ pages.ko/linux/check-support-status.md | 16 +++++++++++ pages.ko/linux/checkinstall.md | 24 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heckupdates-aur.md | 16 +++++++++++ pages.ko/linux/checkupdates.md | 20 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hfn.md | 20 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hkconfig.md | 28 +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hntpw.md | 17 +++++++++++ pages.ko/linux/choom.md | 16 +++++++++++ pages.ko/linux/chpasswd.md | 20 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hronyc.md | 28 +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hrt.md | 24 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hsh.md | 21 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loud-init.md | 24 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mus.md | 26 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ockpit-bridge.md | 12 ++++++++ pages.ko/linux/cockpit-desktop.md | 13 +++++++++ pages.ko/linux/cockpit-tls.md | 12 ++++++++ pages.ko/linux/cockpit-ws.md | 24 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ointop.md | 24 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ollectd.md | 32 ++++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olrm.md | 16 +++++++++++ pages.ko/linux/compose.md | 13 +++++++++ pages.ko/linux/compress.md | 28 +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ompseq.md | 36 +++++++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ompsize.md | 17 +++++++++++ pages.ko/linux/conky.md | 28 +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onntrack.md | 25 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oproc.md | 32 ++++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oredumpctl.md | 24 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p.md | 30 +++++++++++--------- pages.ko/linux/cpufreq-aperf.md | 21 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pufreq-info.md | 32 ++++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pufreq-set.md | 21 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puid.md | 16 +++++++++++ pages.ko/linux/cpulimit.md | 28 +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pupower.md | 24 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reate_ap.md | 32 ++++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reaterepo.md | 16 +++++++++++ pages.ko/linux/cryptcat.md | 24 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ryptsetup-luksformat.md | 17 +++++++++++ pages.ko/linux/cryptsetup-open.md | 26 +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ryptsetup.md | 25 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split.md | 25 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top.md | 20 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tr.md | 20 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trlaltdel.md | 16 +++++++++++ pages.ko/linux/cu.md | 24 +++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urlie.md | 20 +++++++++++++ pages.ko/linux/cuyo.md | 20 +++++++++++++ pages/linux/cryptsetup-luksformat.md | 2 +- 78 files changed, 1593 insertions(+), 22 deletions(-)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acaclock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academo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acafire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acaview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affeinate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affeine-indicator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affeine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aja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al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alcurse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am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at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batticon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eph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ertbot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ewl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fdisk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gclassify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gcreate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gexec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groups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hage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hat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hattr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hcpu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heck-dfsg-status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heck-language-support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heck-support-status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heckinstall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heckupdates-aur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heckupdates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hfn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hkconfig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hntpw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hoom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hpasswd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hronyc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hrt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hsh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loud-init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mus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ockpit-bridge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ockpit-desktop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ockpit-tls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ockpit-ws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ointop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ollectd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olrm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ompose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ompress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ompseq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ompsize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onky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onntrack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oproc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oredumpctl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pufreq-aperf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pufreq-info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pufreq-set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puid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pulimit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pupower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reate_ap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reaterepo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ryptcat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ryptsetup-luksformat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ryptsetup-open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ryptsetup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split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top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tr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trlaltdel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u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urlie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linux/cuyo.md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acaclock.md b/pages.ko/linux/cacaclock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3f5d04dbde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acaclock.md @@ -0,0 +1,16 @@ +# cacaclock + +> 현재 시간을 ASCII 아트로 표시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시간 표시: + +`cacaclock` + +- 글꼴 변경: + +`cacaclock -f {{글꼴}}` + +- `strftime` 형식 사양을 사용하여 형식 변경: + +`cacaclock -d {{strftime_인수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academo.md b/pages.ko/linux/cacademo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0df7553294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academo.md @@ -0,0 +1,8 @@ +# cacademo + +> 무작위 ASCII 아트 애니메이션을 표시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애니메이션 보기: + +`cacademo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acafire.md b/pages.ko/linux/cacafir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1334ff3c5e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acafire.md @@ -0,0 +1,8 @@ +# cacafire + +> 애니메이션 ASCII 불꽃을 표시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ASCII 불꽃 표시: + +`cacafire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acaview.md b/pages.ko/linux/cacaview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b86954af7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acaview.md @@ -0,0 +1,8 @@ +# cacaview + +> PMN 형식으로 이미지를 표시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이미지 표시: + +`cacaview {{경로/대상/이미지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affeinate.md b/pages.ko/linux/caffeinat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9483882c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affeinate.md @@ -0,0 +1,8 @@ +# caffeinate + +> 데스크톱 절전 모드 방지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데스크톱 절전 모드 방지 (`Ctrl + C`로 종료): + +`caffeinate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affeine-indicator.md b/pages.ko/linux/caffeine-indicato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933b267a7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affeine-indicator.md @@ -0,0 +1,8 @@ +# caffeine-indicator + +> 토글로 데스크탑의 유휴 상태를 수동으로 방지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토글로 데스크탑의 유휴 상태를 수동으로 방지: + +`caffeine-indicator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affeine.md b/pages.ko/linux/caffein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2b57c4385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affeine.md @@ -0,0 +1,16 @@ +# caffeine + +> 전체 화면 모드에서 데스크톱의 유휴 상태를 방지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caffeine 서버 시작: + +`caffeine` + +- 도움말 표시: + +`caffeine --help` + +- 버전 표시: + +`caffeine --version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aja.md b/pages.ko/linux/caja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91241a7861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aja.md @@ -0,0 +1,25 @@ +# caja + +> MATE 데스크톱 환경에서 파일과 디렉토리를 관리합니다. +> 같이 보기: `nautilus`, `dolphin`, `thunar`, `ranger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사용자 홈 디렉토리 열기: + +`caja` + +- 특정 디렉토리를 별도 창으로 열기: + +`caja {{경로/대상/폴더1 경로/대상/폴더2 ...}}` + +- 특정 디렉토리를 탭으로 열기: + +`caja --tabs {{경로/대상/폴더1 경로/대상/폴더2 ...}}` + +- 특정 창 크기로 디렉토리 열기: + +`caja --geometry={{600}}x{{400}} {{경로/대상/폴더}}` + +- 모든 창 닫기: + +`caja --quit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al.md b/pages.ko/linux/ca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bbbccd5a8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al.md @@ -0,0 +1,32 @@ +# cal + +> 현재 날짜가 강조된 달력을 표시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달의 달력을 표시: + +`cal` + +- 날짜를 기준으로 [3]개월의 달력을 표시: + +`cal -3` + +- 현재 [y]년도의 전체 달력을 표시: + +`cal --year` + +- 다음 12개월의 달력을 표시: + +`cal --twelve` + +- 월요일을 주의 시작일로 사용: + +`cal --monday` + +- 특정 연도의 달력을 표시 (4자리): + +`cal {{연도}}` + +- 특정 월과 연도의 달력을 표시: + +`cal {{월}} {{연도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alcurse.md b/pages.ko/linux/calcurs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8f2f556495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alcurse.md @@ -0,0 +1,24 @@ +# calcurse + +> 명령줄에서 사용할 수 있는 텍스트 기반의 일정 관리 및 달력 애플리케이션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인터랙티브 모드로 `calcurse` 시작: + +`calcurse` + +- 오늘의 약속 및 이벤트를 출력하고 종료: + +`calcurse --appointment` + +- 모든 로컬 calcurse 항목을 제거하고 원격 객체 가져오기: + +`calcurse-caldav --init=keep-remote` + +- 모든 원격 객체 제거하고 로컬 calcurse 항목 푸시: + +`calcurse-caldav --init=keep-local` + +- 로컬 객체를 CalDAV 서버에 복사하고 그 반대도 수행: + +`calcurse-caldav --init=two-way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am.md b/pages.ko/linux/cam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921a05ff71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am.md @@ -0,0 +1,20 @@ +# cam + +> `libcamera`의 프론트엔드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사용 가능한 카메라 나열: + +`cam --list` + +- 카메라의 컨트롤 나열: + +`cam --camera {{카메라_인덱스}} --list-controls` + +- 프레임을 폴더에 저장: + +`cam --camera {{카메라_인덱스}} --capture={{캡처할_프레임_수}} --file` + +- 창에 카메라 피드 표시: + +`cam --camera {{카메라_인덱스}} --capture --sdl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at.md b/pages.ko/linux/ca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627db01b0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at.md @@ -0,0 +1,28 @@ +# cat + +> [f]파일을 출력하고 연결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[f]파일의 내용을 `stdout`에 출력: + +`cat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여러 [f]파일을 연결하여 출력 [f]파일로 저장: + +`cat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 >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}}` + +- 여러 [f]파일을 출력 [f]파일에 추가: + +`cat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 >>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}}` + +- `stdin`을 [f]파일로 작성: + +`cat - >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모든 출력 줄에 [n]번호 추가: + +`cat -n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비인쇄 및 공백 문자를 표시 (비ASCII의 경우 `M-` 접두사 사용): + +`cat -v -t -e {{경로/대상/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batticon.md b/pages.ko/linux/cbattico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fd10c804a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batticon.md @@ -0,0 +1,32 @@ +# cbatticon + +> 시스템 트레이에 위치하는 가볍고 빠른 배터리 아이콘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시스템 트레이에 배터리 아이콘 표시: + +`cbatticon` + +- 배터리 아이콘을 표시하고 업데이트 간격을 20초로 설정: + +`cbatticon --update-interval {{20}}` + +- 사용 가능한 아이콘 유형 나열: + +`cbatticon --list-icon-types` + +- 특정 아이콘 유형으로 배터리 아이콘 표시: + +`cbatticon --icon-type {{standard|notification|symbolic}}` + +- 사용 가능한 전원 공급 장치 나열: + +`cbatticon --list-power-supplies` + +- 특정 배터리에 대한 배터리 아이콘 표시: + +`cbatticon {{BAT0}}` + +- 배터리 수준이 설정된 임계 수준에 도달했을 때 실행할 명령과 함께 배터리 아이콘 표시: + +`cbatticon --critical-level {{5}} --command-critical-level {{poweroff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eph.md b/pages.ko/linux/ceph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1d1b66765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eph.md @@ -0,0 +1,32 @@ +# ceph + +> 통합 스토리지 시스템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클러스터 상태 확인: + +`ceph status` + +- 클러스터 사용 통계 확인: + +`ceph df` + +- 클러스터 내 배치 그룹의 통계 가져오기: + +`ceph pg dump --format {{plain}}` + +- 스토리지 풀 생성: + +`ceph osd pool create {{풀_이름}} {{페이지_번호}}` + +- 스토리지 풀 삭제: + +`ceph osd pool delete {{풀_이름}}` + +- 스토리지 풀 이름 변경: + +`ceph osd pool rename {{현재_이름}} {{새로운_이름}}` + +- 풀 스토리지 자체 복구: + +`ceph pg repair {{풀_이름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ertbot.md b/pages.ko/linux/certbo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e9a7e65e7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ertbot.md @@ -0,0 +1,29 @@ +# certbot + +> TLS 인증서를 자동으로 획득하고 갱신하기 위한 Let's Encrypt 에이전트. +> `letsencrypt`의 후속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웹루트 인증을 통해 새 인증서를 획득하지만 자동으로 설치하지 않기: + +`sudo certbot certonly --webroot --webroot-path {{경로/대상/웹루트}} --domain {{서브도메인.example.com}}` + +- nginx 인증을 통해 새 인증서를 획득하고 자동으로 설치하기: + +`sudo certbot --nginx --domain {{서브도메인.example.com}}` + +- apache 인증을 통해 새 인증서를 획득하고 자동으로 설치하기: + +`sudo certbot --apache --domain {{서브도메인.example.com}}` + +- 30일 이내에 만료되는 모든 Let's Encrypt 인증서 갱신하기 (사용하고 있는 서버를 잊지 말고 재시작하기): + +`sudo certbot renew` + +- 새 인증서 획득을 시뮬레이션하지만 실제로 디스크에 인증서를 저장하지 않기: + +`sudo certbot --webroot --webroot-path {{경로/대상/웹루트}} --domain {{서브도메인.example.com}} --dry-run` + +- 신뢰할 수 없는 테스트 인증서 획득하기: + +`sudo certbot --webroot --webroot-path {{경로/대상/웹루트}} --domain {{서브도메인.example.com}} --test-cert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ewl.md b/pages.ko/linux/cew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8aca25c9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ewl.md @@ -0,0 +1,24 @@ +# cewl + +> 웹 콘텐츠에서 크래킹용 단어 목록을 만드는 URL 수집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지정된 URL에서 링크 깊이 2까지 단어 목록 파일 생성: + +`cewl --depth {{2}} --write {{경로/대상/단어목록.txt}} {{url}}` + +- 지정된 URL에서 최소 5자 이상의 알파벳과 숫자로 이루어진 단어 목록 출력: + +`cewl --with-numbers --min_word_length {{5}} {{url}}` + +- 디버그 모드로 이메일 주소를 포함한 지정된 URL에서 단어 목록 출력: + +`cewl --debug --email {{url}}` + +- HTTP 기본 또는 다이제스트 인증을 사용하여 지정된 URL에서 단어 목록 출력: + +`cewl --auth_type {{basic|digest}} --auth_user {{사용자명}} --auth_pass {{비밀번호}} {{url}}` + +- 프록시를 통해 지정된 URL에서 단어 목록 출력: + +`cewl --proxy_host {{호스트}} --proxy_port {{포트}} {{url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fdisk.md b/pages.ko/linux/cfdisk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ba9116a7e4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fdisk.md @@ -0,0 +1,12 @@ +# cfdisk + +> curses UI를 사용하여 하드 디스크의 파티션 테이블 및 파티션을 관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장치로 파티션 조작기 시작: + +`cfdisk {{/dev/sdX}}` + +- 특정 장치에 대한 새 파티션 테이블 생성 및 관리: + +`cfdisk --zero {{/dev/sdX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gclassify.md b/pages.ko/linux/cgclassify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3cbcf2d09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gclassify.md @@ -0,0 +1,16 @@ +# cgclassify + +> 실행 중인 작업을 `cgroups`로 이동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PID를 가진 프로세스를 CPU 계층의 student 컨트롤 그룹으로 이동: + +`cgclassify -g {{cpu:student}} {{1234}}` + +- `/etc/cgrules.conf` 설정 파일에 기반하여 특정 PID를 가진 프로세스를 컨트롤 그룹으로 이동: + +`cgclassify {{1234}}` + +- 특정 PID를 가진 프로세스를 CPU 계층의 student 컨트롤 그룹으로 이동(서비스 `cgred`의 데몬이 해당 PID 및 자식의 `cgroups`를 변경하지 않음, `/etc/cgrules.conf` 기반): + +`cgclassify --sticky -g {{cpu:/student}} {{1234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gcreate.md b/pages.ko/linux/cgcreat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96f96ae22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gcreate.md @@ -0,0 +1,17 @@ +# cgcreate + +> cgroup을 생성하여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자원을 제한, 측정 및 제어. +> `cgroups`의 유형은 `memory`, `cpu`, `net_cls` 등이 있습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새 그룹 생성: + +`cgcreate -g {{그룹_유형}}:{{그룹_이름}}` + +- 여러 cgroup 유형으로 새 그룹 생성: + +`cgcreate -g {{그룹_유형1}},{{그룹_유형2}}:{{그룹_이름}}` + +- 하위 그룹 생성: + +`mkdir /sys/fs/cgroup/{{그룹_유형}}/{{그룹_이름}}/{{하위_그룹_이름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gexec.md b/pages.ko/linux/cgexec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b97496d30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gexec.md @@ -0,0 +1,9 @@ +# cgexec + +>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자원을 제한, 측정 및 제어. +> `cpu`, `memory` 등 여러 cgroup 유형(컨트롤러)이 존재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지정된 컨트롤러와 cgroup에서 프로세스를 실행: + +`cgexec -g {{컨트롤러}}:{{cgroup_이름}} {{프로세스_이름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groups.md b/pages.ko/linux/cgroup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177705de4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groups.md @@ -0,0 +1,17 @@ +# cgroups + +> Cgroups, 또는 control groups는 프로세스의 자원 사용을 제한, 측정 및 제어하기 위한 Linux 커널 기능입니다. +> Cgroups는 하나의 명령이 아니라 명령들의 모음이며, 관련 페이지를 아래에서 확인하세요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`cgclassify`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cgclassify` + +- `cgcreate`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cgcreate` + +- `cgexec`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cgexec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hage.md b/pages.ko/linux/chag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011e965dc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hage.md @@ -0,0 +1,24 @@ +# chage + +> 사용자 계정 및 비밀번호 만료 정보를 변경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사용자의 비밀번호 정보를 나열: + +`chage --list {{사용자명}}` + +- 비밀번호 만료를 10일 후로 설정: + +`sudo chage --maxdays {{10}} {{사용자명}}` + +- 비밀번호 만료 비활성화: + +`sudo chage --maxdays {{-1}} {{사용자명}}` + +- 계정 만료 날짜 설정: + +`sudo chage --expiredate {{YYYY-MM-DD}} {{사용자명}}` + +- 다음 로그인 시 비밀번호 변경을 강제: + +`sudo chage --lastday {{0}} {{사용자명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hat.md b/pages.ko/linux/cha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0732c336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hat.md @@ -0,0 +1,33 @@ +# chat + +> 모뎀 또는 시리얼 장치와의 대화를 자동화합니다. +> 주로 PPP(Point-to-Point Protocol) 연결을 설정하는 데 사용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명령줄에서 채팅 스크립트를 직접 실행: + +`chat '{{기대_발신_쌍}}'` + +- 파일에서 채팅 스크립트 실행: + +`chat -f '{{경로/대상/채팅_스크립트}}'` + +- 응답을 기대하는 사용자 정의 시간 초과 설정(초 단위): + +`chat -t {{시간_초}} '{{기대_발신_쌍}}'` + +- 대화를 `syslog`에 기록하기 위해 자세한 출력 활성화: + +`chat -v '{{기대_발신_쌍}}'` + +- 대화 중 수신된 특정 문자열을 기록하기 위해 보고서 파일 사용: + +`chat -r {{경로/대상/보고서_파일}} '{{기대_발신_쌍}}'` + +- 스크립트에서 `\T`를 대체하여 전화번호 걸기: + +`chat -T '{{전화번호}}' '{{"ATDT\\T CONNECT"}}'` + +- 특정 문자열을 수신하면 중단 조건 포함: + +`chat 'ABORT "{{오류_문자열}}" {{기대_발신_쌍}}'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hattr.md b/pages.ko/linux/chatt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5242bb190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hattr.md @@ -0,0 +1,16 @@ +# chattr + +>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속성 변경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변경 및 삭제 불가능하도록 설정 (슈퍼유저도 포함): + +`chattr +i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}}` + +-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변경 가능하도록 설정: + +`chattr -i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}}` + +- 전체 디렉토리와 그 내용을 재귀적으로 변경 및 삭제 불가능하도록 설정: + +`chattr -R +i {{경로/대상/폴더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hcon.md b/pages.ko/linux/chcon.md index b4f8604e16..83cceed741 100644 --- a/pages.ko/linux/chcon.md +++ b/pages.ko/linux/chcon.md @@ -1,29 +1,30 @@ # chcon -> 파일 또는 파일/디렉토리의 SELinux 보안 내용 변경. +> 파일 또는 파일/디렉토리의 SELinux 보안 컨텍스트를 변경합니다. +> 같이 보기: `secon`, `restorecon`, `semanage-fcontext`. > 더 많은 정보: . -- 파일의 보안 내용 보기: +- 파일의 보안 컨텍스트 보기: -`ls -lZ {{경로/파일명}}` +`ls -lZ {{경로/대상/파일}}` - 참조된 파일을 사용하여, 대상 파일의 보안 내용 변경: -`chcon --reference={{참조_파일명}} {{대상_파일명}}` +`chcon --reference={{참조_파일}} {{대상_파일}}` -- 파일의 전체 SELinux 보안 내용 변경: +- 파일의 전체 SELinux 보안 컨텍스트 변경: `chcon {{사용자}}:{{역할}}:{{타입}}:{{범위/레벨}} {{파일명}}` -- SELinux 보안 내용의 사용자 부분만 변경: +- SELinux 보안 컨텍스트의 사용자 부분만 변경: `chcon -u {{사용자}} {{파일명}}` -- SELinux 보안 내용의 역할 부분만 변경: +- SELinux 보안 컨텍스트의 역할 부분만 변경: `chcon -r {{역할}} {{파일명}}` -- SELinux 보안 컨텍스트의 타입 부분만 변경: +- SELinux 보안 컨텍스트의 유형 부분만 변경: `chcon -t {{타입}} {{파일명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hcpu.md b/pages.ko/linux/chcpu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dada998d0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hcpu.md @@ -0,0 +1,12 @@ +# chcpu + +> 시스템의 CPU를 활성화/비활성화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하나 이상의 CPU를 ID로 비활성화: + +`chcpu -d {{1,3}}` + +- 하나 이상의 CPU 범위를 ID로 활성화: + +`chcpu -e {{1-3,5-7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heck-dfsg-status.md b/pages.ko/linux/check-dfsg-statu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7436ee2a92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heck-dfsg-status.md @@ -0,0 +1,13 @@ +# check-dfsg-status + +> Debian 기반 OS에 설치된 비자유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보고. +> 이 명령은 이전에 `vrms`로 알려졌습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비자유 및 contrib 패키지와 그 설명 나열: + +`check-dfsg-status` + +- 패키지 이름만 출력: + +`check-dfsg-status --sparse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heck-language-support.md b/pages.ko/linux/check-language-suppor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b37a71699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heck-language-support.md @@ -0,0 +1,16 @@ +# check-language-support + +> Ubuntu에서 누락된 언어 패키지 목록을 표시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설치된 소프트웨어와 활성화된 로케일을 기반으로 누락된 언어 패키지 목록 표시: + +`check-language-support` + +- 특정 로케일의 패키지 나열: + +`check-language-support --language {{en}}` + +- 설치된 패키지와 누락된 패키지 모두 표시: + +`check-language-support --show-installed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heck-support-status.md b/pages.ko/linux/check-support-statu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f3b85daba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heck-support-status.md @@ -0,0 +1,16 @@ +# check-support-status + +> 지원이 제한되었거나 조기 종료된 설치된 Debian 패키지를 식별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지원이 제한되었거나 이미 종료되었거나 배포의 수명 종료보다 빨리 종료될 패키지 표시: + +`check-support-status` + +- 지원이 종료된 패키지만 표시: + +`check-support-status --type {{ended}}` + +- 헤드라인 출력 건너뛰기: + +`check-support-status --no-heading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heckinstall.md b/pages.ko/linux/checkinstal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ea7c98583e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heckinstall.md @@ -0,0 +1,24 @@ +# checkinstall + +>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로컬 설치를 추적하고 시스템의 기본 패키지 관리 도구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바이너리 패키지를 생성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기본 설정으로 패키지를 생성하고 설치: + +`sudo checkinstall --default` + +- 패키지를 생성하지만 설치하지 않음: + +`sudo checkinstall --install={{no}}` + +- 문서 없이 패키지 생성: + +`sudo checkinstall --nodoc` + +- 패키지를 생성하고 이름 설정: + +`sudo checkinstall --pkgname {{패키지}}` + +- 패키지를 생성하고 저장할 위치 지정: + +`sudo checkinstall --pakdir {{경로/대상/폴더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heckupdates-aur.md b/pages.ko/linux/checkupdates-au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dbe7e33a21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heckupdates-aur.md @@ -0,0 +1,16 @@ +# checkupdates-aur + +> Arch User Repository (AUR)의 대기 중인 업데이트를 확인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AUR 패키지의 대기 중인 업데이트 나열: + +`checkupdates-aur` + +- 디버그 모드로 AUR 패키지의 대기 중인 업데이트 나열: + +`CHECKUPDATES_DEBUG=1 checkupdates-aur` + +- 도움말 표시: + +`checkupdates-aur --help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heckupdates.md b/pages.ko/linux/checkupdate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8c09f0580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heckupdates.md @@ -0,0 +1,20 @@ +# checkupdates + +> Arch Linux에서 보류 중인 업데이트를 확인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보류 중인 업데이트 나열: + +`checkupdates` + +- 보류 중인 업데이트를 나열하고 패키지를 `pacman` 캐시에 다운로드: + +`checkupdates --download` + +- 특정 `pacman`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보류 중인 업데이트 나열: + +`CHECKUPDATES_DB={{경로/대상/폴더}} checkupdates` + +- 도움말 표시: + +`checkupdates --help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hfn.md b/pages.ko/linux/chf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e4ec1eeba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hfn.md @@ -0,0 +1,20 @@ +# chfn + +> 사용자의 `finger` 정보를 업데이트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`finger` 출력에서 사용자의 "이름" 필드를 업데이트: + +`chfn -f {{새_표시_이름}} {{사용자명}}` + +- `finger` 출력에서 사용자의 "사무실 방 번호" 필드를 업데이트: + +`chfn -o {{새_사무실_방_번호}} {{사용자명}}` + +- `finger` 출력에서 사용자의 "사무실 전화번호" 필드를 업데이트: + +`chfn -p {{새_사무실_전화번호}} {{사용자명}}` + +- `finger` 출력에서 사용자의 "집 전화번호" 필드를 업데이트: + +`chfn -h {{새_집_전화번호}} {{사용자명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hkconfig.md b/pages.ko/linux/chkconfig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66e8a660a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hkconfig.md @@ -0,0 +1,28 @@ +# chkconfig + +> CentOS 6에서 서비스의 실행 레벨을 관리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서비스와 실행 레벨 나열: + +`chkconfig --list` + +- 특정 서비스의 실행 레벨 표시: + +`chkconfig --list {{ntpd}}` + +- 부팅 시 서비스 활성화: + +`chkconfig {{sshd}} on` + +- 실행 레벨 2, 3, 4, 5에서 부팅 시 서비스 활성화: + +`chkconfig --level {{2345}} {{sshd}} on` + +- 부팅 시 서비스 비활성화: + +`chkconfig {{ntpd}} off` + +- 실행 레벨 3에서 부팅 시 서비스 비활성화: + +`chkconfig --level {{3}} {{ntpd}} off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hntpw.md b/pages.ko/linux/chntpw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4642ac571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hntpw.md @@ -0,0 +1,17 @@ +# chntpw + +> Windows 레지스트리를 편집하고, 사용자 암호를 재설정하며, 사용자를 관리자로 승격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. Windows SAM을 수정하여 동작합니다. +> Kali Linux와 같은 라이브 CD로 대상 머신을 부팅하고, 권한 상승 후 실행하십시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SAM 파일에 있는 모든 사용자 나열: + +`chntpw -l {{경로/대상/sam_파일}}` + +- 사용자와 대화형으로 편집: + +`chntpw -u {{사용자명}} {{경로/대상/sam_파일}}` + +- chntpw를 대화형으로 사용: + +`chntpw -i {{경로/대상/sam_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hoom.md b/pages.ko/linux/choom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f31f200ca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hoom.md @@ -0,0 +1,16 @@ +# choom + +> OOM(Out-Of-Memory) 킬러 점수를 표시하고 변경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프로세스 ID의 OOM-킬러 점수 표시: + +`choom -p {{프로세스_ID}}` + +- 특정 프로세스의 OOM-킬러 점수 변경: + +`choom -p {{프로세스_ID}} -n {{-1000..+1000}}` + +- 특정 OOM-킬러 점수로 명령 실행: + +`choom -n {{-1000..+1000}} {{명령어}} {{인수1 인수2 ...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hpasswd.md b/pages.ko/linux/chpassw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83c8378da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hpasswd.md @@ -0,0 +1,20 @@ +# chpasswd + +> 여러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`stdin`을 통해 변경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사용자의 비밀번호 변경: + +`printf "{{사용자명}}:{{새_비밀번호}}" | sudo chpasswd` + +- 여러 사용자의 비밀번호 변경 (입력 텍스트에는 공백이 없어야 합니다.): + +`printf "{{사용자명_1}}:{{새_비밀번호_1}}\n{{사용자명_2}}:{{새_비밀번호_2}}" | sudo chpasswd` + +- 특정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암호화된 형태로 변경: + +`printf "{{사용자명}}:{{새_암호화된_비밀번호}}" | sudo chpasswd --encrypted` + +- 특정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변경하고 저장된 비밀번호에 특정 암호화를 사용: + +`printf "{{사용자명}}:{{새_비밀번호}}" | sudo chpasswd --crypt-method {{NONE|DES|MD5|SHA256|SHA512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hronyc.md b/pages.ko/linux/chronyc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7eefa05be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hronyc.md @@ -0,0 +1,28 @@ +# chronyc + +> Chrony NTP 데몬을 쿼리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대화형 모드로 `chronyc` 시작: + +`chronyc` + +- Chrony 데몬의 추적 통계 표시: + +`chronyc tracking` + +- Chrony가 현재 사용 중인 시간 소스 출력: + +`chronyc sources` + +- Chrony 데몬이 현재 시간 소스로 사용 중인 소스의 통계 표시: + +`chronyc sourcestats` + +- 시스템 시계를 즉시 조정하여 슬루를 우회: + +`chronyc makestep` + +- 각 NTP 소스에 대한 자세한 정보 표시: + +`chronyc ntpdata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hrt.md b/pages.ko/linux/chr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5ada3fb96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hrt.md @@ -0,0 +1,24 @@ +# chrt + +> 프로세스의 실시간 속성을 조작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프로세스의 속성 표시: + +`chrt --pid {{PID}}` + +- 프로세스의 모든 스레드 속성 표시: + +`chrt --all-tasks --pid {{PID}}` + +- `chrt`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최소/최대 우선순위 값 표시: + +`chrt --max` + +- 프로세스의 스케줄링 우선순위 설정: + +`chrt --pid {{우선순위}} {{PID}}` + +- 프로세스의 스케줄링 정책 설정: + +`chrt --{{deadline|idle|batch|rr|fifo|other}} --pid {{우선순위}} {{PID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hsh.md b/pages.ko/linux/chsh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d0bd412d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hsh.md @@ -0,0 +1,21 @@ +# chsh + +> 사용자의 로그인 셸 변경. +> `util-linux`의 일부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사용자에 대해 특정 로그인 셸을 대화식으로 설정: + +`chsh` + +- 현재 사용자에 대해 특정 로그인 [s]셸 설정: + +`chsh --shell {{경로/대상/셸}}` + +- 특정 사용자에 대해 로그인 [s]셸 설정: + +`sudo chsh --shell {{경로/대상/셸}} {{사용자명}}` + +- 사용 가능한 셸 [l]나열: + +`chsh --list-shells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loud-init.md b/pages.ko/linux/cloud-ini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a22220d7b5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loud-init.md @@ -0,0 +1,24 @@ +# cloud-init + +> 클라우드 인스턴스 초기화를 관리하는 명령줄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가장 최근에 실행된 cloud-init의 상태 표시: + +`cloud-init status` + +- cloud-init 실행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 후 상태 보고: + +`cloud-init status --wait` + +- 쿼리할 수 있는 상위 수준 메타데이터 키 목록 표시: + +`cloud-init query --list-keys` + +- 캐시된 인스턴스 메타데이터 쿼리: + +`cloud-init query {{점_구분_변수_경로}}` + +- cloud-init이 다시 실행될 수 있도록 로그 및 아티팩트 정리: + +`cloud-init clean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mus.md b/pages.ko/linux/cmu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9df76dc8e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mus.md @@ -0,0 +1,26 @@ +# cmus + +> 명령줄 음악 플레이어. +> 화살표 키로 탐색하고, ``으로 선택하며, 숫자 1-8로 다른 보기를 전환합니다. +> 같이 보기: `ncmpcpp`, `clementine`, `qmmp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지정된 디렉토리로 cmus 열기 (해당 디렉토리가 새로운 작업 디렉토리가 됩니다): + +`cmus {{경로/대상/폴더}}` + +- 파일/디렉토리를 라이브러리에 추가: + +`:add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}}` + +- 현재 곡 일시정지/재개: + +`c` + +- 셔플 모드 켜기/끄기: + +`s` + +- cmus 종료: + +`q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ockpit-bridge.md b/pages.ko/linux/cockpit-bridg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f192c312b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ockpit-bridge.md @@ -0,0 +1,12 @@ +# cockpit-bridge + +> Cockpit 스위트에서 프론트 엔드와 서버 간 메시지와 명령을 전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모든 cockpit 패키지 나열: + +`cockpit-bridge --packages` + +- 도움말 표시: + +`cockpit-bridge --help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ockpit-desktop.md b/pages.ko/linux/cockpit-deskto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1f83769929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ockpit-desktop.md @@ -0,0 +1,13 @@ +# cockpit-desktop + +> 실행 중인 세션에서 Cockpit 페이지에 안전하게 접근. +> 격리된 네트워크 공간에서 `cockpit-ws` 및 웹 브라우저를 실행하고, 실행 중인 사용자 세션에서 `cockpit-bridge`를 시작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페이지 열기: + +`cockpit-desktop {{url}} {{SSH_호스트}}` + +- 저장소 페이지 열기: + +`cockpit-desktop {{/cockpit/@localhost/storage/index.html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ockpit-tls.md b/pages.ko/linux/cockpit-tl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97648c465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ockpit-tls.md @@ -0,0 +1,12 @@ +# cockpit-tls + +> 클라이언트와 `cockpit-ws` 간의 트래픽을 암호화하기 위한 TLS 종료 HTTP 프록시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포트로 HTTP 요청을 제공 (기본 포트 `9090` 대신): + +`cockpit-tls --port {{포트}}` + +- 도움말 표시: + +`cockpit-tls --help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ockpit-ws.md b/pages.ko/linux/cockpit-w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d2b17efb7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ockpit-ws.md @@ -0,0 +1,24 @@ +# cockpit-ws + +>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과 `cockpit-bridge`와 같은 다양한 구성 도구 및 서비스 간 통신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`127.0.0.1`에서 포트 `22`로 SSH 인증을 통해 시작: + +`cockpit-ws --local-ssh` + +- 특정 포트에서 HTTP 서버 시작: + +`cockpit-ws --port {{포트}}` + +- 특정 IP 주소에 바인딩하여 시작 (기본값은 `0.0.0.0`): + +`cockpit-ws --address {{ip_주소}}` + +- TLS 없이 시작: + +`cockpit-ws --no-tls` + +- 도움말 표시: + +`cockpit-ws --help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ointop.md b/pages.ko/linux/cointo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8c1e9fe24e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ointop.md @@ -0,0 +1,24 @@ +# cointop + +> 터미널에서 암호화폐를 추적하고 모니터링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TUI 열기: + +`cointop` + +- 캐시 지우기: + +`cointop clean` + +- 현재 보유량을 읽기 쉽게 표시: + +`cointop holdings --human` + +- 코인의 가격 확인: + +`cointop price --coins {{코인_이름1,코인_이름2,...}}` + +- 버전 표시: + +`cointop version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ollectd.md b/pages.ko/linux/collect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39c5810ff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ollectd.md @@ -0,0 +1,32 @@ +# collectd + +> 시스템 통계 수집 데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구성 파일을 테스트하고 종료: + +`collectd -t` + +- 플러그인 데이터 수집 기능을 테스트하고 종료: + +`collectd -T` + +- `collectd` 시작: + +`collectd` + +- 사용자 지정 구성 파일 위치 지정: + +`collectd -C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사용자 지정 PID 파일 위치 지정: + +`collectd -P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백그라운드로 포크하지 않음: + +`collectd -f` + +- 도움말 및 버전 표시: + +`collectd -h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olrm.md b/pages.ko/linux/colrm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7f35aa844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olrm.md @@ -0,0 +1,16 @@ +# colrm + +> `stdin`에서 열을 제거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`stdin`의 첫 번째 열 제거: + +`colrm {{1 1}}` + +- 각 줄의 3번째 열부터 끝까지 제거: + +`colrm {{3}}` + +- 각 줄의 3번째 열부터 5번째 열까지 제거: + +`colrm {{3 5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ompose.md b/pages.ko/linux/compos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f7319b2f2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ompose.md @@ -0,0 +1,13 @@ +# compose + +> `run-mailcap`의 동작인 compose에 대한 별칭. +> 원래 `run-mailcap`은 MIME 타입/파일을 처리하는 데 사용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기본 mailcap 편집 도구에서 기존 파일이나 새 파일을 작성하는 데 compose 동작 사용: + +`compose {{파일명}}` + +- `run-mailcap` 사용: + +`run-mailcap --action=compose {{파일명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ompress.md b/pages.ko/linux/compres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9a2e8b3fe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ompress.md @@ -0,0 +1,28 @@ +# compress + +> Unix `compress`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 압축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파일 압축: + +`compress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 + +- 특정 파일 압축, 존재하지 않는 파일은 무시: + +`compress -f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 + +- 최대 압축 비트 지정 (9-16 비트): + +`compress -b {{비트}}` + +- `stdout`에 기록 (파일은 변경되지 않음): + +`compress -c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파일 압축 해제 (`uncompress`처럼 동작): + +`compress -d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압축 비율 표시: + +`compress -v {{경로/대상/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ompseq.md b/pages.ko/linux/compseq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85c6f8b6e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ompseq.md @@ -0,0 +1,36 @@ +# compseq + +> 시퀀스 내 고유 단어의 구성을 계산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FASTA [f]파일에서 단어의 관찰 빈도를 계산하고, 대화형 프롬프트로 매개 변수 값을 제공합니다: + +`compseq {{경로/대상/파일.fasta}}` + +- FASTA [f]파일에서 아미노산 쌍의 관찰 빈도를 계산하고, 출력 결과를 텍스트 [f]파일에 저장: + +`compseq {{경로/대상/입력_단백질.fasta}} -word 2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.comp}}` + +- FASTA [f]파일에서 헥사뉴클레오타이드의 관찰 빈도를 계산하고, 출력 결과를 텍스트 [f]파일에 저장하며, 0의 빈도는 무시: + +`compseq {{경로/대상/입력_DNA.fasta}} -word 6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.comp}} -nozero` + +- 특정 읽기 프레임에서 코돈의 관찰 빈도를 계산하고, 중복 카운트를 무시 (즉, 단어 길이 3만큼 창을 이동): + +`compseq -sequence {{경로/대상/입력_RNA.fasta}} -word 3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.comp}} -nozero -frame {{1}}` + +- 3 위치만큼 프레임이 이동된 코돈의 관찰 빈도를 계산하고, 중복 카운트를 무시 (첫 번째 코돈 제외 모든 코돈을 보고해야 함): + +`compseq -sequence {{경로/대상/입력_RNA.fasta}} -word 3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.comp}} -nozero -frame 3` + +- FASTA [f]파일에서 아미노산 삼중체를 계산하고, 이전에 실행된 `compseq`와 비교하여 예상 및 정규화된 빈도 값을 계산: + +`compseq -sequence {{경로/대상/인간_프로테옴.fasta}} -word 3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1.comp}} -nozero -infile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2.comp}}` + +- 준비된 파일 없이 위 명령을 근사치로 계산하고, 제공된 입력 시퀀스의 단일 염기/잔기 빈도를 사용하여 예상 빈도를 계산: + +`compseq -sequence {{경로/대상/인간_프로테옴.fasta}} -word 3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.comp}} -nozero -calcfreq` + +- 도움말 표시 (`-help -verbose`로 관련 및 일반 한정자에 대한 추가 정보 표시): + +`compseq -help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ompsize.md b/pages.ko/linux/compsiz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1e4315ba2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ompsize.md @@ -0,0 +1,17 @@ +# compsize + +> btrfs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 집합의 압축 비율을 계산합니다. +> 파일을 다시 압축하기 위해 단편화를 해제하는 방법은 `btrfs filesystem`을 참조하세요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파일 또는 디렉터리에 대한 현재 압축 비율 계산: + +`sudo compsize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}}` + +- 파일 시스템 경계를 넘지 않도록 설정: + +`sudo compsize --one-file-system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}}` + +-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크기 대신 원시 바이트 수를 표시: + +`sudo compsize --bytes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onky.md b/pages.ko/linux/conky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7bb296de1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onky.md @@ -0,0 +1,28 @@ +# conky + +> X용 경량 시스템 모니터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기본 내장 설정으로 시작: + +`conky` + +- 새 기본 설정 생성: + +`conky -C > ~/.conkyrc` + +- 지정된 설정 파일로 Conky 시작: + +`conky -c {{경로/대상/설정}}` + +- 백그라운드에서 시작(데몬화): + +`conky -d` + +- 바탕화면에 Conky 정렬: + +`conky -a {{top|bottom|middle}}_{{left|right|middle}}` + +- 시작 시 5초 대기 후 실행: + +`conky -p {{5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onntrack.md b/pages.ko/linux/conntrack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eb29bdb5f1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onntrack.md @@ -0,0 +1,25 @@ +# conntrack + +> Netfilter 연결 추적 시스템과 상호작용합니다. +> 연결 흐름을 검색, 나열, 검사, 수정 및 삭제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추적 중인 모든 연결 나열: + +`conntrack --dump` + +- 연결 변경 사항의 실시간 이벤트 로그 표시: + +`conntrack --event` + +- 연결 변경 사항 및 관련 타임스탬프의 실시간 이벤트 로그 표시: + +`conntrack --event -o timestamp` + +- 특정 IP 주소에 대한 연결 변경 사항의 실시간 이벤트 로그 표시: + +`conntrack --event --orig-src {{IP_주소}}` + +- 특정 소스 IP 주소에 대한 모든 흐름 삭제: + +`conntrack --delete --orig-src {{IP_주소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oproc.md b/pages.ko/linux/coproc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ba3417a702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oproc.md @@ -0,0 +1,32 @@ +# coproc + +> 상호작용 비동기 하위 셸을 생성하기 위한 Bash 내장 명령어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하위 셸을 비동기적으로 실행: + +`coproc { {{명령어1; 명령어2; ...}}; }` + +- 특정 이름으로 보조 프로세스 생성: + +`coproc {{이름}} { {{명령어1; 명령어2; ...}}; }` + +- 특정 보조 프로세스의 `stdin`에 쓰기: + +`echo "{{입력}}" >&"${{{이름}}[1]}"` + +- 특정 보조 프로세스의 `stdout`에서 읽기: + +`read {{변수}} <&"${{{이름}}[0]}"` + +- `stdin`을 계속 읽고 입력에 대해 명령어를 실행하는 보조 프로세스 생성: + +`coproc {{이름}} { while read line; do {{명령어1; 명령어2; ...}}; done }` + +- `stdin`을 계속 읽고 입력에 대해 파이프 라인을 실행하고 출력을 `stdout`에 쓰는 보조 프로세스 생성: + +`coproc {{이름}} { while read line; do echo "$line" | {{명령어1 | 명령어2 | ...}} | cat /dev/fd/0; done }` + +- `bc`를 실행하는 보조 프로세스를 생성하고 사용: + +`coproc BC { bc --mathlib; }; echo "1/3" >&"${BC[1]}"; read output <&"${BC[0]}"; echo "$output"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oredumpctl.md b/pages.ko/linux/coredumpct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be450a779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oredumpctl.md @@ -0,0 +1,24 @@ +# coredumpctl + +> 저장된 코어 덤프와 메타데이터를 검색하고 처리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캡처된 모든 코어 덤프 나열: + +`coredumpctl list` + +- 특정 프로그램의 캡처된 코어 덤프 나열: + +`coredumpctl list {{프로그램}}` + +- `PID`와 일치하는 프로그램의 코어 덤프 정보 표시: + +`coredumpctl info {{PID}}` + +- 특정 프로그램의 마지막 코어 덤프를 사용하여 디버거 호출: + +`coredumpctl debug {{프로그램}}` + +- 특정 프로그램의 마지막 코어 덤프를 파일로 추출: + +`coredumpctl --output={{경로/대상/파일}} dump {{프로그램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p.md b/pages.ko/linux/cp.md index a29e004ccc..5437d634dd 100644 --- a/pages.ko/linux/cp.md +++ b/pages.ko/linux/cp.md @@ -1,32 +1,36 @@ # cp -> 파일 및 디렉토리 복사. +> 파일과 디렉터리를 복사합니다. > 더 많은 정보: . - 파일을 다른 위치로 복사: -`cp {{경로/원본_파일.ext}} {{경로/목적_파일.ext}}` +`cp {{경로/대상/원본_파일.ext}} {{경로/대상/대상_파일.ext}}` - 파일의 이름을 유지하면서 다른 디렉토리로 복사: -`cp {{경로/원본_파일.ext}} {{경로/목적_디렉토리}}` +`cp {{경로/대상/원본_파일.ext}} {{경로/대상/대상_부모_디렉터리}}` -- 디렉토리의 내용을 다른 위치에 재귀적으로 복사 (만일 목적 경로가 존재한다면 디렉토리는 해당 목적 경로 안에 복사됨): +- 디렉터리의 내용을 재귀적으로 다른 위치로 복사 (대상이 존재하면, 디렉터리 안에 복사됨): -`cp -r {{경로/원본_디렉토리}} {{경로/목적_디렉토리}}` +`cp -r {{경로/대상/원본_디렉터리}} {{경로/대상/대상_디렉터리}}` --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(verbose) 모드로 디렉토리를 재귀적으로 복사: +- 디렉터리를 재귀적으로 복사하며, 자세히 모드로 파일이 복사되는 동안 표시: -`cp -vr {{경로/원본_디렉토리}} {{경로/목적_디렉토리}}` +`cp -vr {{경로/대상/원본_디렉터리}} {{경로/대상/대상_디렉터리}}` -- 상호작용 (덮어쓰기 전 사용자에게 질문) 모드로 txt 파일을 다른 위치로 복사: +- 여러 파일을 한 번에 디렉터리로 복사: -`cp -i {{*.txt}} {{경로/목적_디렉토리}}` +`cp -t {{경로/대상/목적_디렉터리}}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 -- 복사를 수행하기 전에 심볼릭 링크를 따라감: +- 특정 확장자를 가진 모든 파일을 대화형 모드로 다른 위치에 복사 (덮어쓰기 전에 사용자에게 확인 요청): -`cp -L {{링크}} {{경로/목적_디렉토리}}` +`cp -i {{*.ext}} {{경로/대상/대상_디렉터리}}` -- 원본 파일의 전체 경로를 사용해 존재하지 않는 중간 디렉토리를 생성하며 복사: +- 심볼릭 링크를 복사하기 전에 따라가기: -`cp --parents {{경로/원본_파일}} {{경로/목적_파일}}` +`cp -L {{링크}} {{경로/대상/대상_디렉터리}}` + +- 소스 파일의 전체 경로를 사용하여, 복사할 때 누락된 중간 디렉터리를 생성: + +`cp --parents {{소스/경로/대상/파일}} {{경로/대상/대상_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pufreq-aperf.md b/pages.ko/linux/cpufreq-aperf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2fb238c3f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pufreq-aperf.md @@ -0,0 +1,21 @@ +# cpufreq-aperf + +> 일정 시간 동안 평균 CPU 주파수를 계산합니다. +> 루트 권한이 필요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모든 CPU 코어와 1초 새로고침 간격으로 계산 시작: + +`sudo cpufreq-aperf` + +- CPU 1만 계산 시작: + +`sudo cpufreq-aperf -c {{1}}` + +- 모든 CPU 코어에 대해 3초 새로고침 간격으로 계산 시작: + +`sudo cpufreq-aperf -i {{3}}` + +- 한 번만 계산: + +`sudo cpufreq-aperf -o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pufreq-info.md b/pages.ko/linux/cpufreq-info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9d92a40b1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pufreq-info.md @@ -0,0 +1,32 @@ +# cpufreq-info + +> CPU 주파수 정보를 표시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모든 CPU의 주파수 정보 표시: + +`cpufreq-info` + +- 지정된 CPU의 주파수 정보 표시: + +`cpufreq-info -c {{cpu_번호}}` + +- 허용된 최소 및 최대 CPU 주파수 표시: + +`cpufreq-info -l` + +- 현재 최소 및 최대 CPU 주파수와 정책을 표 형식으로 표시: + +`cpufreq-info -o` + +- 사용 가능한 CPU 주파수 정책 표시: + +`cpufreq-info -g` + +- cpufreq 커널 모듈에 따라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식으로 현재 CPU 작동 주파수 표시: + +`cpufreq-info -f -m` + +- 하드웨어에서 읽어와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식으로 현재 CPU 작동 주파수 표시 (루트 사용자에게만 가능): + +`sudo cpufreq-info -w -m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pufreq-set.md b/pages.ko/linux/cpufreq-se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a64971a6e2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pufreq-set.md @@ -0,0 +1,21 @@ +# cpufreq-set + +> CPU 주파수 설정을 수정하는 도구. +> 주파수 값은 `cpufreq-info -l` 명령의 출력 범위 내에 있어야 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CPU 1의 CPU 주파수 정책을 "userspace"로 설정: + +`sudo cpufreq-set -c {{1}} -g {{userspace}}` + +- CPU 1의 현재 최소 CPU 주파수 설정: + +`sudo cpufreq-set -c {{1}} --min {{최소_주파수}}` + +- CPU 1의 현재 최대 CPU 주파수 설정: + +`sudo cpufreq-set -c {{1}} --max {{최대_주파수}}` + +- CPU 1의 현재 작업 주파수 설정: + +`sudo cpufreq-set -c {{1}} -f {{작업_주파수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puid.md b/pages.ko/linux/cpui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a018c0ac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puid.md @@ -0,0 +1,16 @@ +# cpuid + +> 모든 CPU에 대한 자세한 정보 표시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모든 CPU에 대한 정보 표시: + +`cpuid` + +- 현재 CPU에 대한 정보만 표시: + +`cpuid -1` + +- 해독 없이 원시 16진수 정보 표시: + +`cpuid -r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pulimit.md b/pages.ko/linux/cpulimi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2b5c22d80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pulimit.md @@ -0,0 +1,28 @@ +# cpulimit + +> 다른 프로세스의 CPU 사용을 제한하는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PID 1234인 기존 프로세스의 CPU 사용을 25%로 제한: + +`cpulimit --pid {{1234}} --limit {{25%}}` + +- 실행 파일 이름으로 기존 프로그램의 CPU 사용 제한: + +`cpulimit --exe {{프로그램}} --limit {{25}}` + +- 주어진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CPU 사용을 50%로 제한: + +`cpulimit --limit {{50}} -- {{프로그램 인수1 인수2 ...}}` + +-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CPU 사용을 50%로 제한하며 cpulimit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: + +`cpulimit --limit {{50}} --background -- {{프로그램}}` + +- 프로그램의 CPU 사용이 50%를 초과하면 프로세스 종료: + +`cpulimit --limit 50 --kill -- {{프로그램}}` + +- 프로그램과 자식 프로세스의 CPU 사용을 각각 25%로 제한: + +`cpulimit --limit {{25}} --monitor-forks -- {{프로그램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pupower.md b/pages.ko/linux/cpupowe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abe5de3e01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pupower.md @@ -0,0 +1,24 @@ +# cpupower + +> CPU 전력 및 조정 옵션 관련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CPU 목록 나열: + +`sudo cpupower --cpu {{all}} info` + +- 모든 코어에 대한 정보 출력: + +`sudo cpupower --cpu {{all}} info` + +- 모든 CPU를 절전 주파수 관리자로 설정: + +`sudo cpupower --cpu {{all}} frequency-set --governor {{powersave}}` + +- CPU 0의 사용 가능한 주파수 [g]overnor 출력: + +`sudo cpupower --cpu {{0}} frequency-info g | grep "analyzing\|governors"` + +- CPU 4의 하드웨어 주파수를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출력: + +`sudo cpupower --cpu {{4}} frequency-info --hwfreq --human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reate_ap.md b/pages.ko/linux/create_a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702b55350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reate_ap.md @@ -0,0 +1,32 @@ +# create_ap + +> 모든 채널에서 AP(액세스 포인트)를 생성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암호 없이 열린 네트워크 생성: + +`create_ap {{wlan0}} {{eth0}} {{액세스_포인트_SSID}}` + +- WPA + WPA2 암호 사용: + +`create_ap {{wlan0}} {{eth0}} {{액세스_포인트_SSID}} {{암호}}` + +- 인터넷 공유 없이 액세스 포인트 생성: + +`create_ap -n {{wlan0}} {{액세스_포인트_SSID}} {{암호}}` + +- 인터넷 공유가 가능한 브리지 네트워크 생성: + +`create_ap -m bridge {{wlan0}} {{eth0}} {{액세스_포인트_SSID}} {{암호}}` + +- 사전 구성된 브리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인터넷 공유 브리지 네트워크 생성: + +`create_ap -m bridge {{wlan0}} {{br0}} {{액세스_포인트_SSID}} {{암호}}` + +- 동일한 Wi-Fi 인터페이스에서 인터넷 공유를 위한 액세스 포트 생성: + +`create_ap {{wlan0}} {{wlan0}} {{액세스_포인트_SSID}} {{암호}}` + +- 다른 Wi-Fi 어댑터 드라이버 선택: + +`create_ap --driver {{wifi_adapter}} {{wlan0}} {{eth0}} {{액세스_포인트_SSID}} {{암호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reaterepo.md b/pages.ko/linux/createrepo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10d9f13f0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reaterepo.md @@ -0,0 +1,16 @@ +# createrepo + +> 디렉터리에 RPM 저장소를 초기화하고 모든 XML 및 SQLite 파일을 포함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기본 저장소를 디렉터리에서 초기화: + +`createrepo {{경로/대상/폴더}}` + +- 저장소를 초기화하고, 테스트 RPM을 제외하고, 자세한 로그를 표시: + +`createrepo -v -x {{test_*.rpm}} {{경로/대상/폴더}}` + +- SHA1을 체크섬 알고리즘으로 사용하고, 심볼릭 링크를 무시하여 저장소를 초기화: + +`createrepo -S -s {{sha1}} {{경로/대상/폴더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ryptcat.md b/pages.ko/linux/cryptca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28bc4b5714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ryptcat.md @@ -0,0 +1,24 @@ +# cryptcat + +> Cryptcat은 암호화 기능을 갖춘 netcat입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지정된 [p]포트에서 [l]수신하고 받은 데이터를 출력: + +`cryptcat -k {{비밀번호}} -l -p {{포트}}` + +- 특정 포트에 연결: + +`cryptcat -k {{비밀번호}} {{IP_주소}} {{포트}}` + +- 타임아웃([w]) 지정: + +`cryptcat -k {{비밀번호}} -w {{초_단위_타임아웃}} {{IP_주소}} {{포트}}` + +- 지정된 호스트의 열린 포트 [z]스캔: + +`cryptcat -v -z {{IP_주소}} {{포트}}` + +- 프록시로 작동하여 로컬 TCP 포트에서 지정된 원격 호스트로 데이터 전달: + +`cryptcat -k {{비밀번호}} -l -p {{로컬_포트}} | cryptcat -k {{비밀번호}} {{호스트명}} {{원격_포트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ryptsetup-luksformat.md b/pages.ko/linux/cryptsetup-luksforma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8117fd5312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ryptsetup-luksformat.md @@ -0,0 +1,17 @@ +# cryptsetup luksFormat + +> LUKS 파티션과 초기 키 슬롯(0)을 암호 또는 키파일로 초기화합니다. +> 참고: 이 작업은 파티션의 모든 데이터를 덮어씁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암호로 LUKS 볼륨 초기화: + +`cryptsetup luksFormat {{/dev/sdXY}}` + +- 키파일로 LUKS 볼륨 초기화: + +`cryptsetup luksFormat {{/dev/sdXY}} {{경로/대상/키파일}}` + +- 암호로 LUKS 볼륨 초기화하고 라벨 설정: + +`cryptsetup luksFormat --label {{라벨}} {{/dev/sdXY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ryptsetup-open.md b/pages.ko/linux/cryptsetup-ope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e43bafbf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ryptsetup-open.md @@ -0,0 +1,26 @@ +# cryptsetup open + +> 암호화된 볼륨의 암호 해독된 매핑 생성. +> 참고: TRIM이 활성화된 경우, 해방된 블록 정보의 형태로 최소한의 데이터 누출이 발생할 수 있으며, 사용 중인 파일 시스템을 파악하는 데 충분할 수 있습니다. +> 그러나 데이터 자체는 여전히 안전하며, TRIM이 없는 SSD는 더 빨리 마모되므로 TRIM을 활성화하는 것이 좋습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LUKS 볼륨을 열고 `/dev/mapper/{{매핑_이름}}`에 암호 해독된 매핑 생성: + +`cryptsetup open {{/dev/sdXY}} {{매핑_이름}}` + +- 암호 대신 키 파일 사용: + +`cryptsetup open --key-file {{경로/대상/파일}} {{/dev/sdXY}} {{매핑_이름}}` + +- 장치에서 TRIM 사용 허용: + +`cryptsetup open --allow-discards {{/dev/sdXY}} {{매핑_이름}}` + +- LUKS 헤더에 `--allow-discards` 옵션 기록 (장치를 열 때마다 항상 이 옵션 사용): + +`cryptsetup open --allow-discards --persistent {{/dev/sdXY}} {{매핑_이름}}` + +- LUKS 볼륨을 열고 암호 해독된 매핑을 읽기 전용으로 설정: + +`cryptsetup open --readonly {{/dev/sdXY}} {{매핑_이름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ryptsetup.md b/pages.ko/linux/cryptsetu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212ba82522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ryptsetup.md @@ -0,0 +1,25 @@ +# cryptsetup + +> 평문 `dm-crypt` 및 LUKS (Linux Unified Key Setup) 암호화 볼륨을 관리. +> `luksFormat`와 같은 일부 하위 명령에는 자체 사용 설명서가 있습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암호를 사용하여 LUKS 볼륨 초기화 (파티션의 모든 데이터를 덮어씁니다): + +`cryptsetup luksFormat {{/dev/sdXY}}` + +- LUKS 볼륨을 열고 `/dev/mapper/mapping_name`에 복호화된 매핑 생성: + +`cryptsetup open {{/dev/sdXY}} {{매핑_이름}}` + +- 매핑에 대한 정보 표시: + +`cryptsetup status {{매핑_이름}}` + +- 기존 매핑 제거: + +`cryptsetup close {{매핑_이름}}` + +- LUKS 볼륨의 암호 변경: + +`cryptsetup luksChangeKey {{/dev/sdXY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split.md b/pages.ko/linux/cspli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646861c789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split.md @@ -0,0 +1,25 @@ +# csplit + +> 파일을 여러 조각으로 분할합니다. +> "xx00", "xx01" 등의 이름으로 파일을 생성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파일을 5번째 및 23번째 줄에서 분할: + +`csplit {{경로/대상/파일}} 5 23` + +- 파일을 5줄마다 분할 (총 줄 수가 5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면 실패): + +`csplit {{경로/대상/파일}} 5 {*}` + +- 정확한 나누기 오류를 무시하고 파일을 5줄마다 분할: + +`csplit -k {{경로/대상/파일}} 5 {*}` + +- 5번째 줄에서 파일을 분할하고 출력 파일에 사용자 지정 접두사를 사용: + +`csplit {{경로/대상/파일}} 5 -f {{접두사}}` + +- 정규 표현식과 일치하는 줄에서 파일을 분할: + +`csplit {{경로/대상/파일}} /{{정규_표현식}}/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top.md b/pages.ko/linux/cto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28628614be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top.md @@ -0,0 +1,20 @@ +# ctop + +> CPU, 메모리 및 블록 IO 사용에 대한 실시간 메트릭으로 컨테이너 성능 및 상태를 즉시 시각화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[a]활성 컨테이너만 표시: + +`ctop -a` + +- 컨테이너 정렬 순서를 [r]반대로: + +`ctop -r` + +- 기본 색상을 [i]반전: + +`ctop -i` + +- [h]도움말 표시: + +`ctop -h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tr.md b/pages.ko/linux/ct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04f99f5084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tr.md @@ -0,0 +1,20 @@ +# ctr + +> `containerd` 컨테이너 및 이미지 관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모든 컨테이너 나열 (실행 중 및 중지됨): + +`ctr containers list` + +- 모든 이미지 나열: + +`ctr images list` + +- 이미지 다운로드: + +`ctr images pull {{이미지}}` + +- 이미지 태그 지정: + +`ctr images tag {{소스_이미지}}:{{소스_태그}} {{대상_이미지}}:{{대상_태그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trlaltdel.md b/pages.ko/linux/ctrlaltde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d668ab18f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trlaltdel.md @@ -0,0 +1,16 @@ +# ctrlaltdel + +> CTRL+ALT+DEL 키 조합을 눌렀을 때의 동작을 제어하는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설정 확인: + +`ctrlaltdel` + +- CTRL+ALT+DEL을 즉시 재부팅하도록 설정 (준비 없이): + +`sudo ctrlaltdel hard` + +- CTRL+ALT+DEL을 "일반적으로" 재부팅하도록 설정, 프로세스 종료 기회를 제공 (PID1에 SIGINT 전송): + +`sudo ctrlaltdel soft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u.md b/pages.ko/linux/cu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4d5a7ade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u.md @@ -0,0 +1,24 @@ +# cu + +> 다른 시스템에 연결하여 다이얼인/직렬 터미널 역할을 하거나 오류 검사가 없는 파일 전송을 수행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주어진 직렬 포트 열기: + +`sudo cu --line {{/dev/ttyUSB0}}` + +- 주어진 보율로 주어진 직렬 포트 열기: + +`sudo cu --line {{/dev/ttyUSB0}} --speed {{115200}}` + +- 주어진 보율로 주어진 직렬 포트를 열고 문자를 로컬에서 에코(반이중 모드): + +`sudo cu --line {{/dev/ttyUSB0}} --speed {{115200}} --halfduplex` + +- 주어진 보율, 패리티,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흐름 제어 없이 주어진 직렬 포트 열기: + +`sudo cu --line {{/dev/ttyUSB0}} --speed {{115200}} --parity={{even|odd|none}} --nortscts --nostop` + +- 연결 중 `cu` 세션 종료: + +`~.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urlie.md b/pages.ko/linux/curli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1784b6852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urlie.md @@ -0,0 +1,20 @@ +# curlie + +> `curl`의 프론트엔드로, `httpie`의 사용 편의성을 추가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GET 요청 전송: + +`curlie {{httpbin.org/get}}` + +- POST 요청 전송: + +`curlie post {{httpbin.org/post}} {{name=john}} {{age:=25}}` + +- 쿼리 매개변수를 포함한 GET 요청 전송 (예: `first_param=5&second_param=true`): + +`curlie get {{httpbin.org/get}} {{first_param==5}} {{second_param==true}}` + +- 사용자 정의 헤더와 함께 GET 요청 전송: + +`curlie get {{httpbin.org/get}} {{header-name:header-value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cuyo.md b/pages.ko/linux/cuyo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abb79467c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cuyo.md @@ -0,0 +1,20 @@ +# cuyo + +> 테트리스와 유사한 게임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새 게임 시작: + +`cuyo` + +- 조각을 수평으로 이동: + +`{{A|D|왼쪽 화살표 키|오른쪽 화살표 키}}` + +- 조각 회전: + +`{{W|위쪽 화살표 키}}` + +- 조각 빠르게 내리기: + +`{{S|아래쪽 화살표 키}}` diff --git a/pages/linux/cryptsetup-luksformat.md b/pages/linux/cryptsetup-luksformat.md index 7eb272b793..2f55d7bac1 100644 --- a/pages/linux/cryptsetup-luksformat.md +++ b/pages/linux/cryptsetup-luksformat.md @@ -10,7 +10,7 @@ - Initialize a LUKS volume with a keyfile: -`crypsetup luksFormat {{/dev/sdXY}} {{path/to/keyfile}}` +`cryptsetup luksFormat {{/dev/sdXY}} {{path/to/keyfile}}` - Initialize a LUKS volume with a passphrase and set its label: