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irror of
https://github.com/tldr-pages/tldr.git
synced 2025-04-29 23:24:55 +02:00
apkleaks, arduino*, aspell, archwiki-rs, atktopbm, audtool, autojump, autopep8: add Korean translation (#13638)
This commit is contained in:
parent
73d0395892
commit
22bd4fc858
9 changed files with 213 additions and 0 deletions
17
pages.ko/common/apkleaks.md
Normal file
17
pages.ko/common/apkleaks.md
Normal file
|
@ -0,0 +1,17 @@
|
|||
# apkleaks
|
||||
|
||||
> APK 파일에서 URI, 엔드포인트, 비밀을 노출.
|
||||
> 참고: APKLeaks는 `jadx` 디스어셈블러를 사용하여 APK 파일을 디컴파일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dwisiswant0/apkleaks>.
|
||||
|
||||
- APK 파일([f]ile)에서 URI, 엔드포인트, 비밀을 스캔:
|
||||
|
||||
`apkleaks --file {{경로/대상/파일.apk}}`
|
||||
|
||||
- 출력([o]utput)을 스캔하여 특정 파일에 저장:
|
||||
|
||||
`apkleaks --file {{경로/대상/파일.apk}} --output {{경로/대상/출력파일.txt}}`
|
||||
|
||||
- `jadx` 디스어셈블러 인수([a]rguments) 전달:
|
||||
|
||||
`apkleaks --file {{경로/대상/파일.apk}} --args "{{--threads-count 5 --deobf}}"`
|
20
pages.ko/common/archwiki-rs.md
Normal file
20
pages.ko/common/archwiki-rs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archwiki-rs
|
||||
|
||||
> ArchWiki에서 페이지를 읽고 검색하고 다운로드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lab.com/lucifayr/archwiki-rs>.
|
||||
|
||||
- ArchWiki에서 한 페이지를 읽어보기:
|
||||
|
||||
`archwiki-rs read-page {{페이지_제목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형식으로 ArchWiki에서 페이지를 읽음:
|
||||
|
||||
`archwiki-rs read-page {{페이지_제목}} --format {{plain-text|markdown|html}}`
|
||||
|
||||
- 제공된 텍스트가 포함된 페이지를 ArchWiki에서 검색:
|
||||
|
||||
`archwiki-rs search "{{검색_텍스트}}" --text-search`
|
||||
|
||||
- 모든 ArchWiki 페이지의 로컬 복사본을 특정 디렉터리로 다운로드:
|
||||
|
||||
`archwiki-rs local-wiki {{/경로/대상/로컬_위키}} --format {{plain-text|markdown|html}}`
|
25
pages.ko/common/arduino-builder.md
Normal file
25
pages.ko/common/arduino-builder.md
Normal file
|
@ -0,0 +1,25 @@
|
|||
# arduino-builder
|
||||
|
||||
> 아두이노 스케치 컴파일.
|
||||
> 사용 중단 경고: 이 도구는 `arduino`로 인해 단계적으로 중단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arduino/arduino-builder>.
|
||||
|
||||
- 스케치를 작성:
|
||||
|
||||
`arduino-builder -compile {{경로/대상/sketch.ino}}`
|
||||
|
||||
- 디버그 수준 지정 (기본값: 5):
|
||||
|
||||
`arduino-builder -debug-level {{1..10}}`
|
||||
|
||||
- 사용자 정의 빌드 디렉토리 지정:
|
||||
|
||||
`arduino-builder -build-path {{경로/대상/빌드_디렉터리}}`
|
||||
|
||||
- `-hardware`, `-tools` 등을 매번 수동으로 지정하는 대신, 빌드 옵션 파일을 사용:
|
||||
|
||||
`arduino-builder -build-options-file {{경로/대상/build.options.json}}`
|
||||
|
||||
- 상세 모드 활성화:
|
||||
|
||||
`arduino-builder -verbose {{true}}`
|
36
pages.ko/common/arduino.md
Normal file
36
pages.ko/common/arduino.md
Normal file
|
@ -0,0 +1,36 @@
|
|||
# arduino
|
||||
|
||||
> Arduino Studio - Arduino 플랫폼을 위한 통합 개발 환경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arduino/Arduino/blob/master/build/shared/manpage.adoc>.
|
||||
|
||||
- 스케치 작성:
|
||||
|
||||
`arduino --verify {{경로/대상/파일.ino}}`
|
||||
|
||||
- 스케치를 작성하고 업로드:
|
||||
|
||||
`arduino --upload {{경로/대상/파일.ino}}`
|
||||
|
||||
- Atmega328p CPU가 장착된 Arduino Nano에 스케치를 빌드하고 업로드, 포트 `/dev/ttyACM0`에 연결됨:
|
||||
|
||||
`arduino --board {{arduino:avr:nano:cpu=atmega328p}} --port {{/dev/ttyACM0}} --upload {{경로/대상/파일.ino}}`
|
||||
|
||||
- 환경 설정 `name`을 주어진 `value`로 설정:
|
||||
|
||||
`arduino --pref {{이름}}={{값}}`
|
||||
|
||||
- 스케치를 빌드하고 빌드 결과를 빌드 디렉터리에 넣고, 해당 디렉토리에 있는 이전 빌드 결과를 재사용:
|
||||
|
||||
`arduino --pref build.path={{경로/대상/빌드_디렉터리}} --verify {{경로/대상/파일.ino}}`
|
||||
|
||||
- (변경된) 기본 설정을 `preferences.txt`에 저장:
|
||||
|
||||
`arduino --save-prefs`
|
||||
|
||||
- 최신 SAM 보드 설치:
|
||||
|
||||
`arduino --install-boards "{{arduino:sam}}"`
|
||||
|
||||
- Bridge 및 Servo 라이브러리 설치:
|
||||
|
||||
`arduino --install-library "{{Bridge:1.0.0,Servo:1.2.0}}"`
|
24
pages.ko/common/aspell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aspell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aspell
|
||||
|
||||
> 대화형 맞춤법 검사기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://aspell.net/>.
|
||||
|
||||
- 단일 파일의 철자 검사:
|
||||
|
||||
`aspell check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`stdin`에서 철자가 틀린 단어를 나열:
|
||||
|
||||
`cat {{경로/대상/파일}} | aspell list`
|
||||
|
||||
- 사용 가능한 사전적 언어 표시:
|
||||
|
||||
`aspell dicts`
|
||||
|
||||
- 다른 언어로 `aspell`을 실행 (두 글자 ISO 639 언어 코드 사용):
|
||||
|
||||
`aspell --lang={{cs}}`
|
||||
|
||||
- `stdin`에서 철자가 틀린 단어를 나열하고, 개인 단어 목록에서 단어를 무시:
|
||||
|
||||
`cat {{경로/대상/파일}} | aspell --personal={{personal-word-list.pws}} list`
|
9
pages.ko/common/atktopbm.md
Normal file
9
pages.ko/common/atktopbm.md
Normal file
|
@ -0,0 +1,9 @@
|
|||
# atktopbm
|
||||
|
||||
> Andrew Toolkit 래스터 객체를 PBM 이미지로 변환.
|
||||
> `pbmtoatk` 명령어를 참고하세요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etpbm.sourceforge.net/doc/atktopbm.html>.
|
||||
|
||||
- Andrew Toolkit 래스터 객체를 PBM 이미지로 변환:
|
||||
|
||||
`atktopbm {{경로/대상/image.atk}} > {{경로/대상/output.pbm}}`
|
37
pages.ko/common/audtool.md
Normal file
37
pages.ko/common/audtool.md
Normal file
|
@ -0,0 +1,37 @@
|
|||
# audtool
|
||||
|
||||
> 명령을 사용해 Audacious 제어.
|
||||
> 참고: `audacious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audtool>.
|
||||
|
||||
- 오디오 재생/일시 중지:
|
||||
|
||||
`audtool playback-playpause`
|
||||
|
||||
- 현재 재생 중인 노래의 아티스트, 앨범, 노래 제목을 출력:
|
||||
|
||||
`audtool current-song`
|
||||
|
||||
- 오디오 재생 볼륨 설정:
|
||||
|
||||
`audtool set-volume {{100}}`
|
||||
|
||||
- 다음 노래로 건너뛰기:
|
||||
|
||||
`audtool playlist-advance`
|
||||
|
||||
- 현재 노래의 비트레이트를 킬로비트 단위로 출력:
|
||||
|
||||
`audtool current-song-bitrate-kbps`
|
||||
|
||||
- 숨겨진 경우, 전체 화면으로 Audacious 열기:
|
||||
|
||||
`audtool mainwin-show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audtool help`
|
||||
|
||||
- 설정 표시:
|
||||
|
||||
`audtool preferences-show`
|
25
pages.ko/common/autojump.md
Normal file
25
pages.ko/common/autojump.md
Normal file
|
@ -0,0 +1,25 @@
|
|||
# autojump
|
||||
|
||||
> 가장 자주 방문하는 디렉토리 사이를 빠르게 이동.
|
||||
> j 또는 jc와 같은 별칭은 타이핑을 줄이기 위해 제공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wting/autojump>.
|
||||
|
||||
- 주어진 패턴이 포함된 디렉토리로 이동:
|
||||
|
||||
`j {{패턴}}`
|
||||
|
||||
- 주어진 패턴이 포함된 현재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(자식)로 이동:
|
||||
|
||||
`jc {{패턴}}`
|
||||
|
||||
- 운영체제 파일 관리자에서 주어진 패턴이 포함된 디렉토리 열기:
|
||||
|
||||
`jo {{패턴}}`
|
||||
|
||||
- 자동 점프 데이터베이스에서 존재하지 않는 디렉토리 제거:
|
||||
|
||||
`j --purge`
|
||||
|
||||
- 자동 점프 데이터베이스의 항목을 표시:
|
||||
|
||||
`j -s`
|
20
pages.ko/common/autopep8.md
Normal file
20
pages.ko/common/autopep8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autopep8
|
||||
|
||||
> PEP 8 스타일 가이드에 따라 Python 코드 형식을 지정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hhatto/autopep8>.
|
||||
|
||||
- 사용자 정의 최대 줄 길이를 사용해, 파일을 `stdout`로 포맷:
|
||||
|
||||
`autopep8 {{경로/대상/파일.py}} --max-line-length {{길이}}`
|
||||
|
||||
- 변경 사항의 차이점을 표시하여, 파일을 포맷을 함:
|
||||
|
||||
`autopep8 --diff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파일을 제자리에서, 포맷하고 변경 사항을 저장함:
|
||||
|
||||
`autopep8 --in-place {{경로/대상/파일.py}}`
|
||||
|
||||
- 디렉토리의 모든 파일을 재귀적으로 포맷하고, 변경 사항을 저장:
|
||||
|
||||
`autopep8 --in-place --recursive {{경로/대상/디렉토리}}`
|
Loading…
Add table
Reference in a new issu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