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iff --git a/pages.ko/linux/i3-scrot.md b/pages.ko/linux/i3-scro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0fb58e4ad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3-scrot.md @@ -0,0 +1,33 @@ +# i3-scrot + +> i3 윈도우 관리자를 위한 스크린샷 유틸리티 `scrot`의 래퍼 스크립트. +> 기본 저장 위치는 `~/Pictures`이며, `~/.config/i3-scrot.conf`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전체 화면의 스크린샷을 캡처하여 기본 디렉토리에 저장: + +`i3-scrot` + +- 활성 창의 스크린샷 캡처: + +`i3-scrot --window` + +- 특정 사각형 영역의 스크린샷 캡처: + +`i3-scrot --select` + +- 전체 화면의 스크린샷을 캡처하여 클립보드로 복사: + +`i3-scrot --desk-to-clipboard` + +- 활성 창의 스크린샷을 캡처하여 클립보드로 복사: + +`i3-scrot --window-to-clipboard` + +- 특정 영역의 스크린샷을 캡처하여 클립보드로 복사: + +`i3-scrot --select-to-clipboard` + +- 5초 후 활성 창의 스크린샷 캡처: + +`i3-scrot --window {{5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3.md b/pages.ko/linux/i3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ef02a65d0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3.md @@ -0,0 +1,32 @@ +# i3 + +> 동적 타일링 윈도우 관리자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i3 시작 (기존의 윈도우 관리자가 열려 있지 않아야 함): + +`i3` + +- 새 터미널 창 열기: + +` + ` + +- 새 작업 공간 만들기: + +` + + {{숫자}}` + +- 작업 공간 번호 `n`으로 전환: + +` + {{n}}` + +- 가로로 새 창 열기: + +` + h` + +- 세로로 새 창 열기: + +` + v` + +- 애플리케이션 열기 (명령 실행 후 애플리케이션 이름 입력): + +` + D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3exit.md b/pages.ko/linux/i3exi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3ca4ef2bb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3exit.md @@ -0,0 +1,32 @@ +# i3exit + +> i3 윈도우 관리자를 종료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i3에서 로그아웃: + +`i3exit logout` + +- i3 잠금: + +`i3exit lock` + +- 시스템 종료: + +`i3exit shutdown` + +- 시스템 절전 모드: + +`i3exit suspend` + +- 다른 사용자로 로그인하기 위해 로그인 화면으로 전환: + +`i3exit switch_user` + +- 시스템 최대 절전 모드: + +`i3exit hibernate` + +- 시스템 재부팅: + +`i3exit reboot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3lock.md b/pages.ko/linux/i3lock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d5c440b88e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3lock.md @@ -0,0 +1,32 @@ +# i3lock + +> i3 윈도우 관리자를 위해 만들어진 간단한 화면 잠금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흰색 배경으로 화면 잠금: + +`i3lock` + +- 단색 배경(rrggbb 형식)으로 화면 잠금: + +`i3lock --color {{0000ff}}` + +- PNG 배경으로 화면 잠금: + +`i3lock --image {{경로/대상/파일.png}}` + +- 잠금 해제 표시기를 비활성화하고 화면 잠금 (키 입력 시 피드백 제거): + +`i3lock --no-unlock-indicator` + +- 마우스 포인터를 숨기지 않고 화면 잠금: + +`i3lock --pointer {{default}}` + +- 모든 모니터에 타일링된 PNG 배경으로 화면 잠금: + +`i3lock --image {{경로/대상/파일.png}} --tiling` + +- 실패한 로그인 시도 횟수를 표시하며 화면 잠금: + +`i3lock --show-failed-attempts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3status.md b/pages.ko/linux/i3statu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3906cf3a0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3status.md @@ -0,0 +1,17 @@ +# i3status + +> i3 윈도우 관리자를 위한 상태 줄. +> 이 명령은 일반적으로 i3 구성 파일에서 호출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기본 설정을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상태 줄을 `stdout`에 출력: + +`i3status` + +- 특정 설정 파일을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상태 줄을 `stdout`에 출력: + +`i3status -c {{경로/대상/i3status.conf}}` + +- 도움말 및 버전 표시: + +`i3status -h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7z.md b/pages.ko/linux/i7z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9a826260b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7z.md @@ -0,0 +1,8 @@ +# i7z + +> Intel CPU(i3, i5, i7 전용) 실시간 보고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i7z 시작 (슈퍼유저 모드로 실행 필요): + +`sudo i7z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co.md b/pages.ko/linux/ico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22bb2cb9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co.md @@ -0,0 +1,20 @@ +# ico + +> 다면체 애니메이션을 표시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0.1초마다 위치가 변경되는 정이십면체의 와이어프레임 표시: + +`ico -sleep {{0.1}}` + +- 빨간 면과 파란 배경의 실체 정이십면체 표시: + +`ico -faces -noedges -colors {{red}} -bg {{blue}}` + +- 크기 100x100의 큐브 와이어프레임을 프레임마다 +1+2씩 이동하며 표시: + +`ico -obj {{큐브}} -size {{100x100}} -delta {{+1+2}}` + +- 5개의 스레드를 사용하여 선 너비 10의 반전된 정이십면체 와이어프레임 표시: + +`ico -i -lw {{10}} -threads {{5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d3v2.md b/pages.ko/linux/id3v2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f43578cf3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d3v2.md @@ -0,0 +1,24 @@ +# id3v2 + +> id3v2 태그를 관리하고 id3v1을 변환 및 나열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모든 장르 나열: + +`id3v2 --list-genres` + +- 특정 파일의 모든 태그 나열: + +`id3v2 --list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 + +- 특정 파일의 `id3v2` 또는 `id3v1` 태그 모두 삭제: + +`id3v2 {{--delete-v2|--delete-v1}}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 + +- 도움말 표시: + +`id3v2 --help` + +- 버전 표시: + +`id3v2 --version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fdown.md b/pages.ko/linux/ifdow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1a84837d55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fdown.md @@ -0,0 +1,12 @@ +# ifdown + +>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비활성화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인터페이스 eth0 비활성화: + +`ifdown {{eth0}}` + +- 활성화된 모든 인터페이스 비활성화: + +`ifdown -a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fmetric.md b/pages.ko/linux/ifmetric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73a0bcd49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fmetric.md @@ -0,0 +1,12 @@ +# ifmetric + +> IPv4 경로 메트릭 조정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우선순위 설정 (높은 숫자는 낮은 우선순위를 나타냄): + +`sudo ifmetric {{인터페이스}} {{값}}` + +- 특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우선순위 초기화: + +`sudo ifmetric {{인터페이스}} {{0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fstat.md b/pages.ko/linux/ifsta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109d31a14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fstat.md @@ -0,0 +1,16 @@ +# ifstat + +>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통계 보기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마지막 쿼리 이후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통계 보기: + +`ifstat` + +- 마지막 부팅 이후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통계 보기: + +`ifstat {{-a|--ignore}}` + +- 오류율 보기: + +`ifstat {{-e|--errors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ftop.md b/pages.ko/linux/ifto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793b013e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ftop.md @@ -0,0 +1,28 @@ +# iftop + +> 호스트별 인터페이스의 대역폭 사용량 표시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대역폭 사용량 표시: + +`sudo iftop` + +- 지정된 인터페이스의 대역폭 사용량 표시: + +`sudo iftop -i {{인터페이스}}` + +- 포트 정보를 포함하여 대역폭 사용량 표시: + +`sudo iftop -P` + +- 트래픽의 막대 그래프를 표시하지 않음: + +`sudo iftop -b` + +- 호스트명을 조회하지 않음: + +`sudo iftop -n` + +- 도움말 표시: + +`?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fup.md b/pages.ko/linux/ifu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ad98d02e3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fup.md @@ -0,0 +1,12 @@ +# ifup + +>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활성화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인터페이스 eth0 활성화: + +`ifup {{eth0}}` + +- `/etc/network/interfaces`에서 "auto"로 정의된 모든 인터페이스 활성화: + +`ifup -a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karos.md b/pages.ko/linux/ikaro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dd2ca0fd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karos.md @@ -0,0 +1,16 @@ +# ikaros + +> Vanilla OS의 장치 드라이버 관리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장치에 대한 드라이버를 대화식으로 설치: + +`ikaros install {{장치}}` + +- 장치에 권장되는 드라이버를 자동으로 설치: + +`ikaros auto-install {{장치}}` + +- 장치 목록 나열: + +`ikaros list-devices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mg2txt.md b/pages.ko/linux/img2tx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1e63ed8c45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mg2txt.md @@ -0,0 +1,24 @@ +# img2txt + +> 이미지를 색상 ASCII 문자로 변환하고 텍스트 기반 색상 파일로 출력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출력 열 수를 특정 값으로 설정: + +`img2txt --width={{10}}` + +- 출력 행 수를 특정 값으로 설정: + +`img2txt --height={{5}}` + +- 출력 글꼴 너비를 특정 값으로 설정: + +`img2txt --font-width={{12}}` + +- 출력 글꼴 높이를 특정 값으로 설정: + +`img2txt --font-height={{14}}` + +- 이미지 밝기를 특정 값으로 설정: + +`img2txt --brightness={{2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mg2webp.md b/pages.ko/linux/img2web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fb124daf82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mg2webp.md @@ -0,0 +1,8 @@ +# img2webp + +> 이미지를 WebP로 변환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이미지를 WebP로 변환: + +`img2webp {{경로/대상/이미지}} -o {{경로/대상/이미지.webp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mgp.md b/pages.ko/linux/img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4544ffd9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mgp.md @@ -0,0 +1,16 @@ +# imgp + +> JPEG 및 PNG 이미지를 위한 커맨드라인 이미지 리사이저 및 회전기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단일 이미지 및/또는 유효한 이미지 형식을 포함한 전체 폴더 변환: + +`imgp -x {{1366x1000}} {{경로/대상/폴더}}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이미지를 75% 비율로 조정하고 원본 이미지를 대상 해상도로 덮어쓰기: + +`imgp -x {{75}} -w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이미지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: + +`imgp -o {{90}} {{경로/대상/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nit.md b/pages.ko/linux/ini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28df9baf7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nit.md @@ -0,0 +1,25 @@ +# init + +> Linux 런레벨 관리자. +> systemd를 사용하는 경우 SYSVINIT 컴파일 시 옵션이 활성화되어야 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시스템을 그래픽 환경으로 설정: + +`sudo init 5` + +- 시스템을 다중 사용자 터미널로 설정: + +`sudo init 3` + +- 시스템 종료: + +`init 0` + +- 시스템 재부팅: + +`init 6` + +- 루트 사용자만 허용되고 네트워킹이 없는 터미널로 시스템 설정: + +`sudo init 1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notifywait.md b/pages.ko/linux/inotifywai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7e0afe59e5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notifywait.md @@ -0,0 +1,36 @@ +# inotifywait + +> 파일 변경을 대기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파일의 이벤트를 감시하고 첫 번째 이벤트 이후 종료: + +`inotifywait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특정 파일의 이벤트를 종료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감시: + +`inotifywait --monitor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폴더의 이벤트를 재귀적으로 감시: + +`inotifywait --monitor --recursive {{경로/대상/폴더}}` + +- 정규 표현식과 일치하는 파일을 제외하고 폴더의 변경 사항 감시: + +`inotifywait --monitor --recursive --exclude "{{정규_표현식}}" {{경로/대상/폴더}}` + +- 30초 동안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종료하며 파일의 변경 사항 감시: + +`inotifywait --monitor --timeout {{30}}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파일 수정 이벤트만 감시: + +`inotifywait --event {{modify}}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이벤트만 출력하고 상태 메시지는 출력하지 않고 파일 감시: + +`inotifywait --quiet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파일에 접근할 때 명령 실행: + +`inotifywait --event {{access}} {{경로/대상/파일}} && {{명령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nsmod.md b/pages.ko/linux/insmo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7f4f12e4ee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nsmod.md @@ -0,0 +1,8 @@ +# insmod + +> Linux 커널에 모듈을 동적으로 로드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커널 모듈을 Linux 커널에 삽입: + +`insmod {{경로/대상/모듈.ko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nstaloader.md b/pages.ko/linux/instaloade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8b55d2169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nstaloader.md @@ -0,0 +1,37 @@ +# instaloader + +> Instagram에서 사진, 비디오, 캡션 및 기타 메타데이터를 다운로드. +> 참고: 고품질 미디어 다운로드를 위해 Instagram 로그인 정보가 필요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프로필 다운로드: + +`instaloader {{프로필_이름}}` + +- 하이라이트 다운로드: + +`instaloader --highlights {{프로필_이름}}` + +- 지오태그가 포함된 게시물 다운로드 (사용 가능한 경우) 및 사용자 상호작용 억제: + +`instaloader --quiet --geotags {{프로필_이름}}` + +- HTTP 요청에 사용할 사용자 에이전트 지정: + +`instaloader --user-agent {{사용자_에이전트}} {{프로필_이름}}` + +- 로그인 정보 지정 및 게시물 다운로드 (비공개 프로필에 유용): + +`instaloader --login {{사용자명}} --password {{비밀번호}} {{프로필_이름}}` + +- 처음 다운로드된 파일이 발견되면 대상을 건너뜀 (Instagram 아카이브 업데이트에 유용): + +`instaloader --fast-update {{프로필_이름}}` + +- 스토리 및 IGTV 비디오 다운로드 (로그인 필요): + +`instaloader --login {{사용자명}} --password {{비밀번호}} --stories --igtv {{프로필_이름}}` + +- 모든 유형의 게시물 다운로드 (로그인 필요): + +`instaloader --login {{사용자명}} --password {{비밀번호}} --stories --igtv --highlights {{프로필_이름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nxi.md b/pages.ko/linux/inxi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b450d851e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nxi.md @@ -0,0 +1,16 @@ +# inxi + +> 디버깅을 위한 시스템 정보 및 자원의 요약 정보를 표시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CPU, 메모리, 하드 드라이브 및 커널 정보 요약 출력: + +`inxi` + +- CPU, 메모리, 디스크, 네트워크 및 프로세스의 전체 설명 출력: + +`inxi -Fz` + +- 배포판 저장소 정보 출력: + +`inxi -r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onice.md b/pages.ko/linux/ionic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098413a22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onice.md @@ -0,0 +1,30 @@ +# ionice + +> 프로그램의 I/O 스케줄링 클래스 및 우선순위를 가져오거나 설정합니다. +> 스케줄링 클래스: 1 (실시간), 2 (최선 노력), 3 (유휴). +> 우선순위 수준: 0 (가장 높음) - 7 (가장 낮음)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주어진 스케줄링 클래스 및 우선순위로 명령 실행: + +`ionice -c {{스케줄링_클래스}} -n {{우선순위}} {{명령}}` + +-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I/O 스케줄링 [c]클래스를 특정 [p]pid, [P]gid 또는 [u]uid로 설정: + +`ionice -c {{스케줄링_클래스}} -{{p|P|u}} {{id}}` + +- 사용자 정의 I/O 스케줄링 [c]클래스 및 우선순위로 명령 실행: + +`ionice -c {{스케줄링_클래스}} -n {{우선순위}} {{명령}}` + +- 요청한 우선순위 설정에 실패하더라도 무시: + +`ionice -t -n {{우선순위}} -p {{pid}}` + +- 원하는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없는 경우에도 명령 실행 (이 경우는 권한 부족 또는 오래된 커널 버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음): + +`ionice -t -n {{우선순위}} -p {{pid}}` + +-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I/O 스케줄링 클래스 및 우선순위 출력: + +`ionice -p {{pid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ostat.md b/pages.ko/linux/iosta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69063a25a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ostat.md @@ -0,0 +1,28 @@ +# iostat + +> 장치 및 파티션에 대한 통계 보고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시스템 시작 이후의 CPU 및 디스크 통계 보고서 표시: + +`iostat` + +- 단위를 메가바이트로 변환한 CPU 및 디스크 통계 보고서 표시: + +`iostat -m` + +- CPU 통계 표시: + +`iostat -c` + +- 디스크 이름(및 LVM 포함)을 사용한 디스크 통계 표시: + +`iostat -N` + +- 장치 "sda"에 대한 디스크 이름을 포함한 확장 디스크 통계 표시: + +`iostat -xN {{sda}}` + +- 2초마다 CPU 및 디스크 통계의 증분 보고서 표시: + +`iostat {{2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p-address.md b/pages.ko/linux/ip-addres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a9768c8f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p-address.md @@ -0,0 +1,28 @@ +# ip address + +> IP 주소 관리 하위 명령어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해당 IP 주소 나열: + +`ip address` + +- 활성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만 표시하도록 필터링: + +`ip address show up` + +- 특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보 표시: + +`ip address show dev {{eth0}}` + +-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IP 주소 추가: + +`ip address add {{ip_주소}} dev {{eth0}}` + +-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IP 주소 제거: + +`ip address delete {{ip_주소}} dev {{eth0}}` + +- 지정된 범위의 모든 IP 주소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삭제: + +`ip address flush dev {{eth0}} scope {{global|host|link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p-link.md b/pages.ko/linux/ip-link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a7a6647bd9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p-link.md @@ -0,0 +1,28 @@ +# ip link + +>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관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모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 표시: + +`ip link` + +- 특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정보 표시: + +`ip link show {{ethN}}` + +-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: + +`ip link set {{ethN}} {{up|down}}` + +-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의미 있는 이름 부여: + +`ip link set {{ethN}} alias "{{LAN 인터페이스}}"` + +-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MAC 주소 변경: + +`ip link set {{ethN}} address {{ff:ff:ff:ff:ff:ff}}` + +-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MTU 크기를 변경하여 점보 프레임 사용: + +`ip link set {{ethN}} mtu {{9000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p-neighbour.md b/pages.ko/linux/ip-neighbou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b61df82e6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p-neighbour.md @@ -0,0 +1,24 @@ +# ip neighbour + +> Neighbour/ARP 테이블 관리 IP 하위 명령어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Neighbour/ARP 테이블 항목 표시: + +`ip neighbour` + +- `eth0` 장치에서 neighbour 테이블의 항목 제거: + +`sudo ip neighbour flush dev {{eth0}}` + +- Neighbour 조회를 수행하고 neighbour 항목 반환: + +`ip neighbour get {{조회_아이피}} dev {{eth0}}` + +- Neighbour IP 주소에 대한 ARP 항목을 `eth0`에 추가하거나 삭제: + +`sudo ip neighbour {{add|del}} {{아이피_주소}} lladdr {{맥_주소}} dev {{eth0}} nud reachable` + +- Neighbour IP 주소에 대한 ARP 항목을 `eth0`에 변경하거나 대체: + +`sudo ip neighbour {{change|replace}} {{아이피_주소}} lladdr {{새로운_맥_주소}} dev {{eth0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p-route-get.md b/pages.ko/linux/ip-route-ge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62fc2d66a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p-route-get.md @@ -0,0 +1,28 @@ +# ip route get + +> 목적지로 가는 단일 경로를 가져와 커널이 인식하는 그대로 내용을 출력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목적지로 가는 경로 출력: + +`ip route get {{1.1.1.1}}` + +- 특정 소스 주소에서 목적지로 가는 경로 출력: + +`ip route get {{목적지}} from {{소스}}` + +- 특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도착하는 패킷의 목적지로 가는 경로 출력: + +`ip route get {{목적지}} iif {{eth0}}` + +- 특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강제로 출력하는 목적지로 가는 경로 출력: + +`ip route get {{목적지}} oif {{eth1}}` + +- 지정된 서비스 유형(ToS)으로 목적지로 가는 경로 출력: + +`ip route get {{목적지}} tos {{0x10}}` + +- 특정 VRF(가상 라우팅 및 전달) 인스턴스를 사용하여 목적지로 가는 경로 출력: + +`ip route get {{목적지}} vrf {{myvrf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p-route-show.md b/pages.ko/linux/ip-route-show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ed464af754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p-route-show.md @@ -0,0 +1,36 @@ +# ip route show + +> IP 라우팅 테이블 관리용 하위 명령어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라우팅 테이블 표시: + +`ip route show` + +- 메인 라우팅 테이블 표시 (첫 번째 예시와 동일): + +`ip route show {{main|254}}` + +- 로컬 라우팅 테이블 표시: + +`ip route show table {{local|255}}` + +- 모든 라우팅 테이블 표시: + +`ip route show table {{all|unspec|0}}` + +- 특정 장치에서만 경로 나열: + +`ip route show dev {{eth0}}` + +- 특정 범위 내의 경로 나열: + +`ip route show scope link` + +- 라우팅 캐시 표시: + +`ip route show cache` + +- IPv6 또는 IPv4 경로만 표시: + +`ip {{-6|-4}} route show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p-route.md b/pages.ko/linux/ip-rout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6a557d528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p-route.md @@ -0,0 +1,32 @@ +# ip route + +> IP 라우팅 테이블 관리 하위 명령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라우팅 테이블 표시: + +`ip route {{show|list}}` + +- 게이트웨이 포워딩을 사용하여 기본 라우트 추가: + +`sudo ip route add default via {{게이트웨이_IP}}` + +- `eth0`을 사용하여 기본 라우트 추가: + +`sudo ip route add default dev {{eth0}}` + +- 고정 라우트 추가: + +`sudo ip route add {{대상_IP}} via {{게이트웨이_IP}} dev {{eth0}}` + +- 고정 라우트 삭제: + +`sudo ip route del {{대상_IP}} dev {{eth0}}` + +- 고정 라우트 변경 또는 대체: + +`sudo ip route {{change|replace}} {{대상_IP}} via {{게이트웨이_IP}} dev {{eth0}}` + +- 특정 IP 주소에 도달하기 위해 커널이 사용할 라우트 표시: + +`ip route get {{대상_IP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p-rule.md b/pages.ko/linux/ip-rul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d2d75f925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p-rule.md @@ -0,0 +1,36 @@ +# ip rule + +> IP 라우팅 정책 데이터베이스 관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라우팅 정책 표시: + +`ip rule {{show|list}}` + +- 패킷 소스 주소를 기준으로 새 규칙 추가: + +`sudo ip rule add from {{192.168.178.2/32}}` + +- 패킷 목적지 주소를 기준으로 새 규칙 추가: + +`sudo ip rule add to {{192.168.178.2/32}}` + +- 패킷 소스 주소를 기준으로 규칙 삭제: + +`sudo ip rule delete from {{192.168.178.2/32}}` + +- 패킷 목적지 주소를 기준으로 규칙 삭제: + +`sudo ip rule delete to {{192.168.178.2/32}}` + +- 삭제된 모든 규칙 플러시: + +`ip rule flush` + +- 모든 규칙을 파일에 저장: + +`ip rule save > {{경로/대상/ip_규칙들.dat}}` + +- 파일에서 모든 규칙 복원: + +`ip rule restore < {{경로/대상/ip_규칙들.dat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p.md b/pages.ko/linux/i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86d6351ac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p.md @@ -0,0 +1,37 @@ +# ip + +> 라우팅, 디바이스, 정책 라우팅 및 터널을 표시/조작. +> `address`와 같은 일부 하위 명령에는 자체 사용 설명서가 있습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인터페이스를 자세한 정보와 함께 나열: + +`ip address` + +- 네트워크 계층 정보 요약과 함께 인터페이스 나열: + +`ip -brief address` + +- 링크 계층 정보 요약과 함께 인터페이스 나열: + +`ip -brief link` + +- 라우팅 테이블 표시: + +`ip route` + +- 이웃(ARP 테이블) 표시: + +`ip neighbour` + +- 인터페이스를 활성화/비활성화: + +`ip link set {{인터페이스}} {{up|down}}` + +- 인터페이스에 IP 주소 추가/삭제: + +`ip addr add/del {{IP}}/{{마스크}} dev {{인터페이스}}` + +- 기본 경로 추가: + +`ip route add default via {{IP}} dev {{인터페이스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p6tables-restore.md b/pages.ko/linux/ip6tables-restor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79e01a2144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p6tables-restore.md @@ -0,0 +1,7 @@ +# ip6tables-restore + +> 이 명령은 IPv6 방화벽을 위한 `iptables-restore`의 별칭입니다. + +- 원본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iptables-restore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p6tables-save.md b/pages.ko/linux/ip6tables-sav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7d0f66920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p6tables-save.md @@ -0,0 +1,7 @@ +# ip6tables-save + +> 이 명령어는 IPv6 방화벽을 위한 `iptables-save`의 별칭입니다. + +- 원본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iptables-save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p6tables.md b/pages.ko/linux/ip6table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e6d812e70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p6tables.md @@ -0,0 +1,7 @@ +# ip6tables + +> 이 명령어는 IPv6 방화벽을 위한 `iptables`의 별칭입니다. + +- 원본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iptables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pcalc.md b/pages.ko/linux/ipcalc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df6967f599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pcalc.md @@ -0,0 +1,24 @@ +# ipcalc + +> IP 주소 및 네트워크에 대한 간단한 연산 및 계산 수행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주어진 서브넷 마스크로 주소 또는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표시: + +`ipcalc {{1.2.3.4}} {{255.255.255.0}}` + +- CIDR 표기법으로 주소 또는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 표시: + +`ipcalc {{1.2.3.4}}/{{24}}` + +- 주소 또는 네트워크의 브로드캐스트 주소 표시: + +`ipcalc -b {{1.2.3.4}}/{{30}}` + +- 제공된 IP 주소와 넷마스크의 네트워크 주소 표시: + +`ipcalc -n {{1.2.3.4}}/{{24}}` + +- 주어진 IP 주소의 지리적 정보 표시: + +`ipcalc -g {{1.2.3.4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pcmk.md b/pages.ko/linux/ipcmk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e3a9ee2202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pcmk.md @@ -0,0 +1,20 @@ +# ipcmk + +> IPC(프로세스 간 통신) 리소스 생성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공유 메모리 세그먼트 생성: + +`ipcmk --shmem {{세그먼트_크기_바이트}}` + +- 세마포어 생성: + +`ipcmk --semaphore {{요소_크기}}` + +- 메시지 큐 생성: + +`ipcmk --queue` + +- 특정 권한으로 공유 메모리 세그먼트 생성 (기본값은 0644): + +`ipcmk --shmem {{세그먼트_크기_바이트}} {{8진수_권한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pcrm.md b/pages.ko/linux/ipcrm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b6d19def0e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pcrm.md @@ -0,0 +1,32 @@ +# ipcrm + +> IPC(프로세스 간 통신) 리소스를 삭제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ID로 공유 메모리 세그먼트 삭제: + +`ipcrm --shmem-id {{공유_메모리_ID}}` + +- 키로 공유 메모리 세그먼트 삭제: + +`ipcrm --shmem-key {{공유_메모리_키}}` + +- ID로 IPC 큐 삭제: + +`ipcrm --queue-id {{IPC_큐_ID}}` + +- 키로 IPC 큐 삭제: + +`ipcrm --queue-key {{IPC_큐_키}}` + +- ID로 세마포어 삭제: + +`ipcrm --semaphore-id {{세마포어_ID}}` + +- 키로 세마포어 삭제: + +`ipcrm --semaphore-key {{세마포어_키}}` + +- 모든 IPC 리소스 삭제: + +`ipcrm --all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pcs.md b/pages.ko/linux/ipc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a84fc417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pcs.md @@ -0,0 +1,37 @@ +# ipcs + +> System V IPC 설비의 사용 정보 보기: 공유 메모리 세그먼트, 메시지 큐, 세마포어 배열. +> 같이 보기: 좀 더 유연한 도구인 `lsipc`, IPC 설비 생성을 위한 `ipcmk`, 삭제를 위한 `ipcrm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모든 활성 IPC 설비에 대한 정보 보기: + +`ipcs` + +- 활성 공유 [m]메모리 세그먼트, 메시지 [q]큐 또는 [s]세마포어 집합에 대한 정보 보기: + +`ipcs {{--shmems|--queues|--semaphores}}` + +- 특정 [i]D를 가진 자원에 대한 전체 세부 사항 보기: + +`ipcs {{--shmems|--queues|--semaphores}} --id {{자원_ID}}` + +- [l]리미트를 [b]바이트 또는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으로 보기: + +`ipcs --limits {{--bytes|--human}}` + +- 현재 사용에 대한 [u]요약 보기: + +`ipcs --summary` + +- 모든 IPC 설비에 대한 [c]만든이 및 소유자의 UID와 PID 보기: + +`ipcs --creator` + +- 모든 IPC 설비에 대한 마지막 작업자의 [p]ID 보기: + +`ipcs --pid` + +- 모든 IPC 설비에 대한 마지막 접근 [t]시각 보기: + +`ipcs --time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pset.md b/pages.ko/linux/ipse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5ba930b68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pset.md @@ -0,0 +1,24 @@ +# ipset + +> 방화벽 규칙을 위한 IP 집합 생성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IP 주소를 포함할 빈 IP 집합 생성: + +`ipset create {{집합_이름}} hash:ip` + +- 특정 IP 집합 삭제: + +`ipset destroy {{집합_이름}}` + +- 특정 집합에 IP 주소 추가: + +`ipset add {{집합_이름}} {{192.168.1.25}}` + +- 집합에서 특정 IP 주소 삭제: + +`ipset del {{집합_이름}} {{192.168.1.25}}` + +- IP 집합 저장: + +`ipset save {{집합_이름}} > {{경로/대상/ip_집합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ptables-restore.md b/pages.ko/linux/iptables-restor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994679ccd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ptables-restore.md @@ -0,0 +1,9 @@ +# iptables-restore + +> `iptables` IPv4 구성을 복원합니다. +> IPv6에 대해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려면 `ip6tables-restore`를 사용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파일에서 `iptables` 구성 복원: + +`sudo iptables-restore {{경로/대상/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ptables-save.md b/pages.ko/linux/iptables-sav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32cf72af94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ptables-save.md @@ -0,0 +1,17 @@ +# iptables-save + +> `iptables` IPv4 설정 저장. +> IPv6의 경우 `ip6tables-save` 사용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`iptables` 설정 출력: + +`sudo iptables-save` + +- 특정 [t]테이블의 `iptables` 설정 출력: + +`sudo iptables-save --table {{테이블}}` + +- `iptables` 설정을 [f]파일에 저장: + +`sudo iptables-save --file {{경로/대상/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ptables.md b/pages.ko/linux/iptable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5e38f5704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ptables.md @@ -0,0 +1,29 @@ +# iptables + +> Linux 커널 IPv4 방화벽의 테이블, 체인 및 규칙을 구성합니다. +> IPv6 트래픽 규칙 설정을 위해서는 `ip6tables`를 사용하세요. 같이 보기: `iptables-save`, `iptables-restore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필터 테이블의 체인, 규칙, 패킷/바이트 카운터 및 라인 번호 보기: + +`sudo iptables --verbose --numeric --list --line-numbers` + +- 체인 [P]규칙 설정: + +`sudo iptables --policy {{체인}} {{규칙}}` + +- IP에 대한 체인 정책에 규칙 [A]추가: + +`sudo iptables --append {{체인}} --source {{IP}} --jump {{규칙}}` + +- [p]프로토콜과 포트를 고려하여 IP에 대한 체인 정책에 규칙 [A]추가: + +`sudo iptables --append {{체인}} --source {{IP}} --protocol {{tcp|udp|icmp|...}} --dport {{포트}} --jump {{규칙}}` + +- `192.168.0.0/24` 서브넷의 모든 트래픽을 호스트의 공인 IP로 변환하는 NAT 규칙 추가: + +`sudo iptables --table {{nat}} --append {{POSTROUTING}} --source {{192.168.0.0/24}} --jump {{MASQUERADE}}` + +- 체인 규칙 [D]삭제: + +`sudo iptables --delete {{체인}} {{규칙_라인_번호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soinfo.md b/pages.ko/linux/isoinfo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5eeee40639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soinfo.md @@ -0,0 +1,16 @@ +# isoinfo + +> ISO 디스크 이미지 덤프 및 검증 유틸리티 프로그램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ISO 이미지에 포함된 모든 파일 나열: + +`isoinfo -f -i {{경로/대상/이미지.iso}}` + +- ISO 이미지에서 특정 [x]파일을 추출하여 `stdout`으로 출력: + +`isoinfo -i {{경로/대상/이미지.iso}} -x {{/PATH/TO/FILE/INSIDE/ISO.EXT}}` + +- ISO 디스크 이미지의 헤더 정보 표시: + +`isoinfo -d -i {{경로/대상/이미지.iso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sosize.md b/pages.ko/linux/isosiz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9de53a46b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sosize.md @@ -0,0 +1,16 @@ +# isosize + +> ISO 파일의 크기를 표시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ISO 파일의 크기 표시: + +`isosize {{경로/대상/파일.iso}}` + +- ISO 파일의 블록 수와 블록 크기 표시: + +`isosize --sectors {{경로/대상/파일.iso}}` + +- 주어진 수로 나눈 ISO 파일의 크기 표시 (--sectors 옵션이 없는 경우에만 사용 가능): + +`isosize --divisor={{숫자}} {{경로/대상/파일.iso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w-dev.md b/pages.ko/linux/iw-dev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df6880ed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w-dev.md @@ -0,0 +1,33 @@ +# iw dev + +> 무선 장치를 표시하고 조작합니다. +> 채널, 주파수 및 규제 정보 목록은 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장치를 모니터 모드로 설정(인터페이스는 먼저 종료되어야 합니다. `ip link`도 참조): + +`sudo iw dev {{wlp}} set type monitor` + +- 장치를 관리 모드로 설정(인터페이스는 먼저 종료되어야 합니다): + +`sudo iw dev {{wlp}} set type managed` + +- 장치의 WiFi 채널 설정(장치는 먼저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모니터 모드여야 합니다): + +`sudo iw dev {{wlp}} set channel {{채널_번호}}` + +- 장치의 WiFi 주파수 설정(Mhz 단위)(장치는 먼저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모니터 모드여야 합니다): + +`sudo iw dev {{wlp}} set freq {{주파수_단위_메가헤르츠}}` + +- 모든 알려진 스테이션 정보 표시: + +`iw dev {{wlp}} station dump` + +- 특정 MAC 주소로 모니터 모드의 가상 인터페이스 생성: + +`sudo iw dev {{wlp}} interface add "{{가상_인터페이스_이름}}" type monitor addr {{12:34:56:aa:bb:cc}}` + +- 가상 인터페이스 삭제: + +`sudo iw dev "{{가상_인터페이스_이름}}" del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w.md b/pages.ko/linux/iw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47c20b019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w.md @@ -0,0 +1,37 @@ +# iw + +> 무선 장치를 표시하고 조작. +> 같이 보기: `iw dev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사용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 스캔: + +`iw dev {{wlp}} scan` + +- 오픈된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: + +`iw dev {{wlp}} connect {{SSID}}` + +- 현재 연결 종료: + +`iw dev {{wlp}} disconnect` + +- 현재 연결 정보 표시: + +`iw dev {{wlp}} link` + +- 모든 물리적 및 논리적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나열: + +`iw dev` + +- 모든 물리적 하드웨어 인터페이스의 무선 기능 나열: + +`iw phy` + +- 커널의 현재 무선 규제 도메인 정보 나열: + +`iw reg get` + +- 모든 명령에 대한 도움말 표시: + +`iw help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wconfig.md b/pages.ko/linux/iwconfig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ba7b6eece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wconfig.md @@ -0,0 +1,20 @@ +# iwconfig + +>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매개변수를 구성하고 표시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모든 인터페이스의 매개변수 및 통계 표시: + +`iwconfig` + +- 특정 인터페이스의 매개변수 및 통계 표시: + +`iwconfig {{인터페이스}}` + +- 특정 인터페이스의 ESSID(네트워크 이름) 설정 (예: eth0 또는 wlp2s0): + +`iwconfig {{인터페이스}} {{새_네트워크_이름}}` + +- 특정 인터페이스의 운영 모드 설정: + +`iwconfig {{인터페이스}} mode {{Ad-Hoc|Managed|Master|Repeater|Secondary|Monitor|Auto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wctl.md b/pages.ko/linux/iwct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056d5b33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wctl.md @@ -0,0 +1,28 @@ +# iwctl + +> `iwd` 네트워크 서플리컨트를 제어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대화형 모드 시작, 이 모드에서는 자동 완성 기능과 함께 명령어를 직접 입력할 수 있습니다: + +`iwctl` + +- 일반 도움말 호출: + +`iwctl --help` + +- Wi-Fi 스테이션 표시: + +`iwctl station list` + +- 스테이션으로 네트워크 검색 시작: + +`iwctl station {{스테이션}} scan` + +- 스테이션에서 찾은 네트워크 표시: + +`iwctl station {{스테이션}} get-networks` + +- 스테이션으로 네트워크에 연결, 자격 증명이 필요할 경우 요청받습니다: + +`iwctl station {{스테이션}} connect {{네트워크_이름}}` diff --git a/pages.ko/linux/iwlist.md b/pages.ko/linux/iwlis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dc08dffc0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linux/iwlist.md @@ -0,0 +1,36 @@ +# iwlist + +>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자세한 정보 가져오기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범위 내 액세스 포인트 및 애드혹 셀 목록 표시: + +`iwlist {{무선_인터페이스}} scan` + +- 장치에서 사용 가능한 주파수 표시: + +`iwlist {{무선_인터페이스}} frequency` + +- 장치가 지원하는 비트 전송률 나열: + +`iwlist {{무선_인터페이스}} rate` + +- 현재 설정된 WPA 인증 매개변수 나열: + +`iwlist {{무선_인터페이스}} auth` + +- 장치에 설정된 모든 WPA 암호화 키 나열: + +`iwlist {{무선_인터페이스}} wpakeys` + +- 지원되는 암호화 키 크기 및 장치에 설정된 모든 암호화 키 나열: + +`iwlist {{무선_인터페이스}} keys` + +- 장치의 다양한 전원 관리 속성과 모드 나열: + +`iwlist {{무선_인터페이스}} power` + +- 장치에 설정된 일반 정보 요소 나열(WPA 지원에 사용됨): + +`iwlist {{무선_인터페이스}} genie` diff --git a/pages/linux/ifstat.md b/pages/linux/ifstat.md index 7b07aea4e9..cdd805160e 100644 --- a/pages/linux/ifstat.md +++ b/pages/linux/ifstat.md @@ -13,4 +13,4 @@ - View error rate: -`ifstat {-e|--errors}}` +`ifstat {{-e|--errors}}`