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iff --git a/pages.ko/common/gacutil.md b/pages.ko/common/gacuti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1bd8eea042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gacutil.md @@ -0,0 +1,16 @@ +# gacutil + +> 전역 어셈블리 캐시 (Global Assembly Cache, CAG) 관리 유틸리티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지정된 어셈블리를 GAC에 설치: + +`gacutil -i {{경로/대상/어셈블리.dll}}` + +- GAC에서 지정된 어셈블리를 제거: + +`gacutil -i {{어셈블리_표시_이름}}` + +- GAC의 내용을 출력: + +`gacutil -l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gallery-dl.md b/pages.ko/common/gallery-d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531b25280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gallery-dl.md @@ -0,0 +1,20 @@ +# gallery-dl + +> 여러 이미지 호스팅 사이트에서 이미지 갤러리와 컬렉션 다운로드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지정된 URL에서 이미지 다운로드: + +`gallery-dl "{{url}}"` + +- 웹 브라우저에서 기존 쿠키를 검색 (로그인이 필요한 사이트에 유용): + +`gallery-dl --cookies-from-browser {{browser}} "{{주소}}"` + +-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인증을 지원하는 사이트에서 이미지의 직접 URL을 가져옴: + +`gallery-dl --get-urls --username {{사용자명}} --password {{비밀번호}} "{{주소}}"` + +- 장 번호와 언어별로 만화 장을 필터링: + +`gallery-dl --chapter-filter "{{10 <= chapter < 20}}" --option "lang={{언어_코드}}" "{{주소}}"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gammastep.md b/pages.ko/common/gammaste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9b174f2b7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gammastep.md @@ -0,0 +1,28 @@ +# Gammastep + +> 하루 중 시간에 따라 화면의 색온도를 조정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낮(예: 5700k)과 밤(예: 3600k)에 특정 온도([t]emperature)로 Gammastep은 켜기: + +`gammastep -t {{5700}}:{{3600}}` + +- 수동으로 지정한 사용자 정의 위치([l]ocation)로 Gammastep을 켜기: + +`gammastep -l {{latitude}}:{{longitude}}` + +- 낮(예: 70%)과 밤(예: 40%)의 특정 화면 밝기([b]rightness)로 최소 밝기 10% 및 최대 밝기 100%로 Gammastep을 켜기: + +`gammastep -b {{0.7}}:{{0.4}}` + +- 사용자 정의 [g]amma 레벨 (0과 1 사이)로 Gammastep을 켜기: + +`gammastep -g {{red}}:{{green}}:{{blue}}` + +- 지속적으로 변하지 않는 색온도(c[O]nstant) Gammastep을 켜기: + +`gammastep -O {{온도}}` + +- Gammastep에 의해 적용된 온도 조정 재설정: + +`gammastep -x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ganache-cli.md b/pages.ko/common/ganache-cli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1964e05b9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ganache-cli.md @@ -0,0 +1,32 @@ +# ganache-cli + +> 이더리움 개발을 위한 개인 블록체인 Ganache의 명령줄 버전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Ganache 실행: + +`ganache-cli` + +- 특정 수의 계정으로 Ganache를 실행: + +`ganache-cli --accounts={{계정_의_수}}` + +- Ganache를 실행하고 기본적으로 사용 가능한 계정을 잠금: + +`ganache-cli --secure` + +- Ganache 서버를 실행하고 특정 계정을 잠금 해제: + +`ganache-cli --secure --unlock "{{계정_개인_키1}}" --unlock "{{계정_개인_키2}}"` + +- 특정 계정과 잔액으로 Ganache을 실행: + +`ganache-cli --account="{{계정_개인_키}},{{계정_잔액}}"` + +- 기본 잔액이 있는 계정으로 Ganache를 실행: + +`ganache-cli --defaultBalanceEther={{기본_잔액}}` + +- Ganache를 실행하고 모든 요청을 `stdout`에 기록: + +`ganache-cli --verbose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gatsby.md b/pages.ko/common/gatsby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3d3a44156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gatsby.md @@ -0,0 +1,24 @@ +# gatsby + +> React용 정적 사이트 생성기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새로운 사이트 생성: + +`gatsby new {{사이트_이름}}` + +- Gatsby '스타터'를 사용하여 새로운 사이트 생성: + +`gatsby new {{사이트_이름}} {{스타터_깃허브_레포_주소}}` + +- 라이브 다시 로드하는 로컬 새발 서버를 시작: + +`gatsby develop` + +- 프로덕션 빌드를 수행하고 정적 HTML을 생성: + +`gatsby build` + +- 프로덕션 빌드를 제공하는 로컬 서버를 시작: + +`gatsby serve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gau.md b/pages.ko/common/gau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cb595868e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gau.md @@ -0,0 +1,32 @@ +# gau + +> 모든 URL 가져오기: AlienVault의 Open Threat Exchange, Wayback Machine, 및 모든 도메인에 대한 Common Crawl에서 알려진 URL을 가져옴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AlienVault의 Open Threat Exchange, Wayback Machine, Common Crawl 및 URLScan에서 도메인의 모든 URL을 가져옴: + +`gau {{example.com}}` + +- 여러 도메인의 URL을 가져옴: + +`gau {{도메인1 도메인2 ...}}` + +- 여러 스레드를 실행하여 입력 파일에서 여러 도메인의 모든 URL을 가져옴: + +`gau --threads {{4}} < {{경로/대상/도메인.txt}}` + +- 출력([o]utput) 결과를 파일에 기록: + +`gau {{example.com}} --o {{경로/대상/찾은_주소.txt}}` + +- 특정 제공업체의 URL만 검색: + +`gau --providers {{wayback|commoncrawl|otx|urlscan}} {{example.com}}` + +- 여러 제공업체의 URL 검색: + +`gau --providers {{wayback,otx,...}} {{example.com}}` + +- 특정 날짜 범위 내의 URL 검색: + +`gau --from {{YYYYMM}} --to {{YYYYMM}} {{example.com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gcal.md b/pages.ko/common/gca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aaadd62a6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gcal.md @@ -0,0 +1,24 @@ +# gcal + +> 달력 표시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이번 달의 달력 표시: + +`gcal` + +- 2010년 2월의 달력 표시: + +`gcal 2 2010` + +- 주 번호가 포함된 달력 시트 제공: + +`gcal --with-week-number` + +- 한 주의 시작일을 한 주의 첫 번째 날(월요일)로 변경: + +`gcal --starting-day=1` + +- 오늘을 중심으로 이전, 이번, 다음 달을 표시: + +`gcal .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gcalcli.md b/pages.ko/common/gcalcli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dec72004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gcalcli.md @@ -0,0 +1,33 @@ +# gcalcli + +> Google 캘린더와 상호작용. +> 처음 실행 시 Google API 인증을 요청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향후 7일 동안의 모든 캘린더에 대한 이벤트를 나열: + +`gcalcli agenda` + +- 특정 날짜부터 또는 그 사이에 시작되는 이벤트 표시(예: "내일"과 같은 상대 날짜도 사용): + +`gcalcli agenda {{mm/dd}} [{{mm/dd}}]` + +- 특정 캘린더의 이벤트 나열: + +`gcalcli --calendar {{캘린더_이름}} agenda` + +- 주별 이벤트의 ASCII 달력을 표시: + +`gcalcli calw` + +- 한 달 동안의 이벤트에 대한 ASCII 달력을 표시: + +`gcalcli calm` + +- 캘린더에 이벤트를 빠르게 추가: + +`gcalcli --calendar {{캘린더_이름}} quick "{{mm/dd}} {{HH:MM}} {{이벤트_이름}}"` + +- 캘린더에 이벤트를 추가. 대화형 프롬프트를 트리거: + +`gcalcli --calendar "{{캘린더_이름}}" add`