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3d.md b/pages.ko/common/u3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18aedfd3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3d.md @@ -0,0 +1,24 @@ +# u3d + +> Unity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도구 세트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디렉토리에서 프로젝트를 올바른 Unity 버전으로 열기: + +`u3d` + +- 설치된 Unity 버전 나열: + +`u3d list` + +- 다운로드 가능한 Unity 버전 나열: + +`u3d available` + +- 최신 안정 버전의 Unity 다운로드 및 설치: + +`u3d install latest_stable` + +- 특정 Unity 버전 및 에디터 패키지 다운로드 및 설치: + +`u3d install {{2021.2.0f1}} -p {{Unity,iOS,Android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fraw-batch.md b/pages.ko/common/ufraw-batch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5b953a10c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fraw-batch.md @@ -0,0 +1,20 @@ +# ufraw-batch + +> 카메라의 RAW 파일을 표준 이미지 파일로 변환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RAW 파일을 JPEG로 변환: + +`ufraw-batch --out-type=jpg {{입력_파일(들)}}` + +- RAW 파일을 PNG로 변환: + +`ufraw-batch --out-type=png {{입력_파일(들)}}` + +- RAW 파일에서 미리보기 이미지 추출: + +`ufraw-batch --embedded-image {{입력_파일(들)}}` + +- 파일을 최대 크기 MAX1 및 MAX2로 저장: + +`ufraw-batch --size=MAX1,MAX2 {{입력_파일(들)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grep.md b/pages.ko/common/ugre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a097a05501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grep.md @@ -0,0 +1,36 @@ +# ugrep + +> 초고속 검색 도구로, 쿼리 TUI를 제공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을 재귀적으로 검색하는 쿼리 TUI 시작 (도움말은 CTRL-Z): + +`ugrep --query` + +- 정규 표현식 검색 패턴이 포함된 파일을 현재 디렉터리에서 재귀적으로 검색: + +`ugrep "{{검색_패턴}}"` + +- 특정 파일 또는 특정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에서 검색하고 일치하는 줄 번호 표시: + +`ugrep --line-number "{{검색_패턴}}"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디렉터리}}` + +- 현재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을 재귀적으로 검색하고 일치하는 파일의 이름 출력: + +`ugrep --files-with-matches "{{검색_패턴}}"` + +- 패턴에서 최대 3개의 추가, 누락 또는 불일치 문자가 있는 파일을 퍼지 검색: + +`ugrep --fuzzy={{3}} "{{검색_패턴}}"` + +- 압축 파일, Zip 및 tar 아카이브를 재귀적으로 검색: + +`ugrep --decompress "{{검색_패턴}}"` + +- 특정 글로브 패턴과 일치하는 파일만 검색: + +`ugrep --glob="{{글로브_패턴}}" "{{검색_패턴}}"` + +- C++ 소스 파일만 검색 (모든 파일 형식을 나열하려면 `--file-type=list` 사용): + +`ugrep --file-type=cpp "{{검색_패턴}}"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limit.md b/pages.ko/common/ulimi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bb311dfa4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limit.md @@ -0,0 +1,20 @@ +# ulimit + +> 사용자 제한을 조회하고 설정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모든 사용자 제한의 속성 조회: + +`ulimit -a` + +- 동시에 열 수 있는 파일 개수의 하드 제한 조회: + +`ulimit -H -n` + +- 동시에 열 수 있는 파일 개수의 소프트 제한 조회: + +`ulimit -S -n` + +- 사용자별 프로세스 최대 개수 설정: + +`ulimit -u 30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mask.md b/pages.ko/common/umask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8160e559c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mask.md @@ -0,0 +1,20 @@ +# umask + +> 사용자가 새로 생성하는 파일에 대해 제한되는 읽기/쓰기/실행 권한을 관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마스크를 8진수 표기법으로 표시: + +`umask` + +- 현재 마스크를 기호(사람이 읽기 쉬운) 모드로 표시: + +`umask -S` + +- 모든 사용자에게 읽기 권한을 허용하도록 기호로 마스크 변경 (나머지 마스크 비트는 변경되지 않음): + +`umask {{a+r}}` + +- 파일 소유자에게는 권한을 제한하지 않고, 다른 모든 사용자에게는 모든 권한을 제한하도록 마스크를 8진수로 설정: + +`umask {{077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nalias.md b/pages.ko/common/unalia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d375dff0b5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nalias.md @@ -0,0 +1,12 @@ +# unalias + +> 별칭 제거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별칭 제거: + +`unalias {{별칭_이름}}` + +- 모든 별칭 제거: + +`unalias -a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nar.md b/pages.ko/common/una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6008f5e611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nar.md @@ -0,0 +1,24 @@ +# unar + +> 아카이브 파일의 내용을 추출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아카이브를 현재 디렉토리에 추출: + +`unar {{경로/대상/아카이브}}` + +- 아카이브를 지정된 디렉토리에 추출: + +`unar -o {{경로/대상/폴더}} {{경로/대상/아카이브}}` + +- 압축 해제할 파일이 이미 존재할 경우 강제로 덮어쓰기: + +`unar -f {{경로/대상/아카이브}}` + +- 압축 해제할 파일이 이미 존재할 경우 강제로 이름 변경: + +`unar -r {{경로/대상/아카이브}}` + +- 압축 해제할 파일이 이미 존재할 경우 강제로 건너뛰기: + +`unar -s {{경로/대상/아카이브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nclutter.md b/pages.ko/common/unclutte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81ee40622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nclutter.md @@ -0,0 +1,8 @@ +# unclutter + +> 마우스 커서를 숨기는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3초 후에 마우스 커서 숨기기: + +`unclutter -idle {{3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ncrustify.md b/pages.ko/common/uncrustify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eb6bc7c4ce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ncrustify.md @@ -0,0 +1,28 @@ +# uncrustify + +> C, C++, C#, D, Java 및 Pawn 소스 코드 포매터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단일 파일 포맷팅: + +`uncrustify -f {{경로/대상/파일.cpp}} -o {{경로/대상/출력.cpp}}` + +- `stdin`에서 파일 이름을 읽고, 원본 파일 경로에 출력을 다시 쓰기 전에 백업 생성: + +`find . -name "*.cpp" | uncrustify -F - --replace` + +- 백업 생성 안 함 (파일이 버전 관리 중인 경우 유용): + +`find . -name "*.cpp" | uncrustify -F - --no-backup` + +- 사용자 지정 설정 파일을 사용하고 결과를 `stdout`에 출력: + +`uncrustify -c {{경로/대상/uncrustify.cfg}} -f {{경로/대상/파일.cpp}}` + +- 설정 변수를 명시적으로 설정: + +`uncrustify --set {{옵션}}={{값}}` + +- 새 설정 파일 생성: + +`uncrustify --update-config -o {{경로/대상/new.cfg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nexpand.md b/pages.ko/common/unexpan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ae9ec22c1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nexpand.md @@ -0,0 +1,24 @@ +# unexpand + +> 공백을 탭으로 변환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각 파일의 공백을 탭으로 변환하여 `stdout`에 출력: + +`unexpand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`stdout`에서 읽어온 공백을 탭으로 변환: + +`unexpand` + +- 처음의 공백만이 아닌 모든 공백을 변환: + +`unexpand -a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앞부분의 공백 시퀀스만 변환 (옵션 -a를 무시): + +`unexpand --first-only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탭을 8칸이 아닌 지정한 문자 수만큼 떨어뜨려 변환 (-a 활성화): + +`unexpand -t {{숫자}} {{경로/대상/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nflatten.md b/pages.ko/common/unflatte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8e327c2a8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nflatten.md @@ -0,0 +1,17 @@ +# unflatten + +> 방향 그래프의 레이아웃 가로 세로 비율을 개선하기 위해 조정. +> Graphviz 필터: `acyclic`, `bcomps`, `comps`, `edgepaint`, `gvcolor`, `gvpack`, `mingle`, `nop`, `sccmap`, `tred`, & `unflatten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하나 이상의 방향 그래프를 조정하여 레이아웃 가로 세로 비율을 개선: + +`unflatten {{경로/대상/input1.gv}} {{경로/대상/input2.gv ...}} > {{경로/대상/output.gv}}` + +- `unflatten`을 `dot` 레이아웃 전처리기로 사용하여 가로 세로 비율 개선: + +`unflatten {{경로/대상/입력.gv}} | dot -T {{png}} {{경로/대상/출력.png}}` + +- 도움말 표시: + +`unflatten -?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nimatrix.md b/pages.ko/common/unimatrix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516f96e9c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nimatrix.md @@ -0,0 +1,25 @@ +# unimatrix + +> 유니코드 문자를 사용하여 매트릭스 느낌을 시뮬레이션. +> 같이 보기: `cmatrix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`cmatrix`의 기본 출력을 모방 (유니코드 없이, TTY에서 작동): + +`unimatrix --no-bold --speed {{96}} --character-list {{o}}` + +- 볼드체 없이, 느리게, 이모지, 숫자 및 일부 기호 사용: + +`unimatrix --no-bold --speed {{50}} --character-list {{ens}}` + +- 문자 색상 변경: + +`unimatrix --color {{red|green|blue|white|...}}` + +- 문자 집합을 코드로 선택 (`unimatrix --help`에서 사용 가능한 문자 집합 확인): + +`unimatrix --character-list {{문자_집합}}` + +- 스크롤 속도 변경: + +`unimatrix --speed {{숫자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niq.md b/pages.ko/common/uniq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51afb45ff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niq.md @@ -0,0 +1,25 @@ +# uniq + +> 입력 또는 파일에서 고유한 줄을 출력합니다. +> 인접하지 않은 반복 줄을 감지하지 않으므로 먼저 정렬해야 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각 줄을 한 번씩만 표시: + +`sort {{경로/대상/파일}} | uniq` + +- 고유한 줄만 표시: + +`sort {{경로/대상/파일}} | uniq -u` + +- 중복된 줄만 표시: + +`sort {{경로/대상/파일}} | uniq -d` + +- 각 줄의 발생 횟수와 함께 해당 줄 표시: + +`sort {{경로/대상/파일}} | uniq -c` + +- 각 줄의 발생 횟수를 표시하고, 가장 자주 발생한 순서로 정렬: + +`sort {{경로/대상/파일}} | uniq -c | sort -nr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nison.md b/pages.ko/common/uniso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0d21cc77f4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nison.md @@ -0,0 +1,20 @@ +# unison + +> 양방향 파일 동기화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두 디렉토리 동기화 (이 두 디렉토리가 처음으로 동기화될 때 로그 생성): + +`unison {{경로/대상/폴더_1}} {{경로/대상/폴더_2}}` + +- (충돌 없는) 기본값 자동 수락: + +`unison {{경로/대상/폴더_1}} {{경로/대상/폴더_2}} -auto` + +- 패턴을 사용하여 일부 파일 무시: + +`unison {{경로/대상/폴더_1}} {{경로/대상/폴더_2}} -ignore {{패턴}}` + +- 설명서 보기: + +`unison -doc {{주제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nits.md b/pages.ko/common/unit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33ab7ad8d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nits.md @@ -0,0 +1,32 @@ +# units + +> 두 단위 사이의 변환을 수행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대화형 모드로 실행: + +`units` + +- 대화형 모드에서 특정 문자열이 포함된 모든 단위 나열: + +`search {{문자열}}` + +- 두 간단한 단위 간의 변환 표시: + +`units {{쿼트}} {{테이블스푼}}` + +- 수량을 포함한 단위 간 변환: + +`units "{{15 파운드}}" {{킬로그램}}` + +- 두 복합 단위 간의 변환 표시: + +`units "{{미터/초}}" "{{인치/시간}}"` + +- 서로 다른 차원의 단위 간의 변환 표시: + +`units "{{에이커}}" "{{제곱피트}}"` + +- 바이트 배수의 변환 표시: + +`units "{{15 메가바이트}}" {{바이트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nlink.md b/pages.ko/common/unlink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168055e655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nlink.md @@ -0,0 +1,9 @@ +# unlink + +>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에 대한 링크를 제거. +> 해당 링크가 파일의 마지막 링크인 경우 파일 내용이 손실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지정된 파일이 마지막 링크인 경우 해당 파일 제거: + +`unlink {{경로/대상/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np.md b/pages.ko/common/un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02e0893d1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np.md @@ -0,0 +1,13 @@ +# unp + +> 모든 아카이브를 추출. +> 관련 압축 해제 도구가 설치되어야 함, 예: RAR의 경우 `unrar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아카이브 추출: + +`unp {{경로/대상/아카이브.zip}}` + +- 여러 아카이브 추출: + +`unp {{경로/대상/아카이브1.tar.gz}} {{경로/대상/아카이브2.rar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nrar.md b/pages.ko/common/unra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e1ca81f8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nrar.md @@ -0,0 +1,24 @@ +# unrar + +> RAR 압축 파일을 추출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원본 디렉토리 구조로 파일 추출: + +`unrar x {{압축파일.rar}}` + +- 지정된 경로에 원본 디렉토리 구조로 파일 추출: + +`unrar x {{압축파일.rar}} {{경로/대상/추출}}` + +- 현재 디렉토리에 디렉토리 구조를 무시하고 파일 추출: + +`unrar e {{압축파일.rar}}` + +- 압축 파일 내 각 파일의 무결성 검사: + +`unrar t {{압축파일.rar}}` + +- 압축 해제 없이 압축 파일 내의 파일 목록 표시: + +`unrar l {{압축파일.rar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nset.md b/pages.ko/common/unse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3bf902571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nset.md @@ -0,0 +1,16 @@ +# unset + +> 셸 변수 또는 함수를 제거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변수 `foo`를 제거하거나, 변수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함수 `foo`를 제거: + +`unset {{foo}}` + +- 변수 `foo`와 `bar` 제거: + +`unset -v {{foo}} {{bar}}` + +- 함수 `my_func` 제거: + +`unset -f {{my_func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nzip.md b/pages.ko/common/unzip.md index fd824d0a73..5303caad96 100644 --- a/pages.ko/common/unzip.md +++ b/pages.ko/common/unzip.md @@ -1,22 +1,22 @@ # unzip -> ZIP 아카이브에서 파일/폴더 추출. +> Zip 아카이브에서 파일/디렉토리를 추출. > 같이 보기: `zip`. > 더 많은 정보: . -- 특정 폴더의 모든 파일/폴더를 현재 폴더로 추출: +- 특정 아카이브에서 모든 파일/디렉토리를 현재 디렉토리에 추출: `unzip {{경로/대상/아카이브1.zip 경로/대상/아카이브2.zip ...}}` -- 아카이브에서 특정 경로로 파일/폴더 추출: +- 아카이브에서 파일/디렉토리를 특정 경로로 추출: `unzip {{경로/대상/아카이브1.zip 경로/대상/아카이브2.zip ...}} -d {{경로/대상/출력}}` -- 아카이브에서 `stdout`으로 파일/폴더 추출: +- 아카이브에서 파일/디렉토리를 추출하고 추출된 파일 이름과 함께 `stdout`으로 출력: `unzip -c {{경로/대상/아카이브1.zip 경로/대상/아카이브2.zip ...}}` -- 추출된 파일 이름과 함께 파일 내용을 `stdout`으로 추출: +- 비ASCII 문자(예: 중국어나 일본어 문자)를 포함한 파일 이름이 있는 Windows에서 생성된 아카이브를 추출: `unzip -O {{gbk}} {{경로/대상/아카이브1.zip 경로/대상/아카이브2.zip ...}}` @@ -26,4 +26,4 @@ - 아카이브에서 특정 파일 추출: -`unzip -j {{경로/대상/아카이브.zip}} {{경로/대상/아카이브1_파일 경로/대상/아카이브2_파일 ...}}` +`unzip -j {{경로/대상/아카이브.zip}} {{경로/대상/아카이브_내_파일1 경로/대상/아카이브_내_파일2 ...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nzstd.md b/pages.ko/common/unzst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e283233869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nzstd.md @@ -0,0 +1,7 @@ +# unzstd + +> 이 명령은 `zstd --decompress`의 별칭입니다. + +- 원본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zstd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pdog.md b/pages.ko/common/updog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d32f6c70e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pdog.md @@ -0,0 +1,25 @@ +# updog + +> Python의 SimpleHTTPServer를 대체하는 도구. +> HTTP/S를 통해 업로드와 다운로드를 지원하며, 임시 SSL 인증서를 설정하고 HTTP 기본 인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디렉토리에 대한 HTTP 서버 시작: + +`updog` + +- 지정된 디렉토리에 대한 HTTP 서버 시작: + +`updog --directory {{/경로/대상/폴더}}` + +- 지정된 포트에서 HTTP 서버 시작: + +`updog --port {{포트}}` + +-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HTTP 서버 시작 (로그인 시 사용자 이름을 비워두고 비밀번호 필드에 비밀번호 입력): + +`updog --password {{비밀번호}}` + +- SSL을 통한 전송 암호화 활성화: + +`updog --ssl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pt.md b/pages.ko/common/up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efe4290bde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pt.md @@ -0,0 +1,38 @@ +# upt + +>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패키지를 관리하기 위한 통합 인터페이스로, Windows, 여러 Linux 배포판, macOS, FreeBSD, Haiku 등을 지원합니다. +> 기본 OS 패키지 관리자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. +> 같이 보기: `flatpak`, `brew`, `scoop`, `apt`, `dnf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사용 가능한 패키지 목록 업데이트: + +`upt update` + +- 특정 패키지 검색: + +`upt search {{검색_어구}}` + +- 패키지에 대한 정보 표시: + +`upt info {{패키지}}` + +- 특정 패키지 설치: + +`upt install {{패키지}}` + +- 특정 패키지 제거: + +`upt {{remove|uninstall}} {{패키지}}` + +- 설치된 모든 패키지 업그레이드: + +`upt upgrade` + +- 특정 패키지 업그레이드: + +`upt upgrade {{패키지}}` + +- 설치된 패키지 목록 나열: + +`upt list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px.md b/pages.ko/common/upx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a4cc3551d4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px.md @@ -0,0 +1,16 @@ +# upx + +> 실행 파일을 압축하거나 압축 해제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실행 파일 압축: + +`upx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실행 파일 압축 해제: + +`upx -d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자세한 도움말: + +`upx --help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sers.md b/pages.ko/common/user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2de47b9a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sers.md @@ -0,0 +1,13 @@ +# users + +> 로그인한 사용자 목록을 표시. +> 같이 보기: `useradd`, `userdel`, `usermod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로그인한 사용자 명 출력: + +`users` + +- 주어진 파일에 따라 로그인한 사용자 명 출력: + +`users {{/var/log/wmtp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sql.md b/pages.ko/common/usq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5cf37d53a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sql.md @@ -0,0 +1,32 @@ +# usql + +> SQL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범용 CLI 인터페이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데이터베이스에 연결: + +`usql {{sqlserver|mysql|postgres|sqlite3|...}}://{{사용자_명}}:{{비밀번호}}@{{호스트}}:{{포트}}/{{데이터베이스_명}}` + +- 파일에서 명령 실행: + +`usql --file={{경로/대상/query.sql}}` + +- 특정 SQL 명령 실행: + +`usql --command="{{sql_명령}}"` + +- `usql` 프롬프트에서 SQL 명령 실행: + +`{{프롬프트}}=> {{명령}}` + +-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표시: + +`{{프롬프트}}=> \d` + +- 특정 파일로 쿼리 결과 내보내기: + +`{{프롬프트}}=> \g {{경로/대상/결과_파일}}` + +- CSV 파일에서 특정 테이블로 데이터 가져오기: + +`{{프롬프트}}=> \copy {{경로/대상/데이터.csv}} {{테이블_명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udecode.md b/pages.ko/common/uudecod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b9bc8a1c6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udecode.md @@ -0,0 +1,12 @@ +# uudecode + +> `uuencode`로 인코딩된 파일을 디코딩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`uuencode`로 인코딩된 파일을 디코딩하여 `stdout`에 출력: + +`uudecode {{경로/대상/인코딩된_파일}}` + +- `uuencode`로 인코딩된 파일을 디코딩하여 파일에 저장: + +`uudecode -o {{경로/대상/디코딩된_파일}} {{경로/대상/인코딩된_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uencode.md b/pages.ko/common/uuencod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0d7341b664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uencode.md @@ -0,0 +1,16 @@ +# uuencode + +> 바이너리 파일을 ASCII로 인코딩하여 단순 ASCII 인코딩만 지원하는 매체를 통해 전송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파일을 인코딩하여 `stdout`에 결과 출력: + +`uuencode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}} {{디코딩_후_출력_파일_이름}}` + +- 파일을 인코딩하여 결과를 파일에 저장: + +`uuencode -o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}}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}} {{디코딩_후_출력_파일_이름}}` + +- 기본 uuencode 인코딩 대신 Base64를 사용하여 파일을 인코딩하고 결과를 파일에 저장: + +`uuencode -m -o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}}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}} {{디코딩_후_출력_파일_이름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v-python.md b/pages.ko/common/uv-pytho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f8d929a7c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v-python.md @@ -0,0 +1,28 @@ +# uv python + +> Python 버전 및 설치 관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사용 가능한 모든 Python 설치 목록: + +`uv python list` + +- Python 버전 설치: + +`uv python install {{버전}}` + +- Python 버전 제거: + +`uv python uninstall {{버전}}` + +- Python 설치 검색: + +`uv python find {{버전}}` + +- 현재 프로젝트를 특정 Python 버전을 사용하도록 고정: + +`uv python pin {{버전}}` + +- `uv` Python 설치 디렉터리 표시: + +`uv python dir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v-tool.md b/pages.ko/common/uv-too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0be97f589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v-tool.md @@ -0,0 +1,24 @@ +# uv tool + +> Python 패키지가 제공하는 명령을 설치하고 실행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패키지를 설치하지 않고 명령 실행: + +`uv tool run {{명령}}` + +- Python 패키지를 시스템 전역에 설치: + +`uv tool install {{패키지}}` + +- 설치된 Python 패키지 업그레이드: + +`uv tool upgrade {{패키지}}` + +- Python 패키지 제거: + +`uv tool uninstall {{패키지}}` + +- 시스템 전역에 설치된 Python 패키지 나열: + +`uv tool list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v.md b/pages.ko/common/uv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3d30ac1b75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v.md @@ -0,0 +1,37 @@ +# uv + +> 빠른 Python 패키지 및 프로젝트 관리자. +> `tool` 및 `python`과 같은 일부 하위 명령에는 자체 사용 설명서가 있습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디렉토리에 새 Python 프로젝트 생성: + +`uv init` + +- 주어진 이름의 디렉토리에 새 Python 프로젝트 생성: + +`uv init {{프로젝트_이름}}` + +- 프로젝트에 새 패키지 추가: + +`uv add {{패키지}}` + +- 프로젝트에서 패키지 제거: + +`uv remove {{패키지}}` + +- 프로젝트 환경에서 스크립트 실행: + +`uv run {{경로/대상/스크립트.py}}` + +- 프로젝트 환경에서 명령 실행: + +`uv run {{명령}}` + +- `pyproject.toml`에서 프로젝트 환경 업데이트: + +`uv sync` + +- 프로젝트의 의존성에 대한 lock 파일 생성: + +`uv lock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uvicorn.md b/pages.ko/common/uvicor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9f38a75e0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uvicorn.md @@ -0,0 +1,24 @@ +# uvicorn + +> 비동기 프로젝트를 위한 Python ASGI HTTP 서버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Python 웹 앱 실행: + +`uvicorn {{import.path:app_object}}` + +- localhost에서 포트 8080으로 수신 대기: + +`uvicorn --host {{localhost}} --port {{8080}} {{임포트.경로:앱_객체}}` + +- 라이브 리로드 활성화: + +`uvicorn --reload {{임포트.경로:앱_객체}}` + +-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4개의 워커 프로세스 사용: + +`uvicorn --workers {{4}} {{임포트.경로:앱_객체}}` + +- HTTPS를 통해 앱 실행: + +`uvicorn --ssl-certfile {{cert.pem}} --ssl-keyfile {{key.pem}} {{임포트.경로:앱_객체}}`