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irror of
https://github.com/tldr-pages/tldr.git
synced 2025-04-29 23:24:55 +02:00
windows/*: add and update Korean translation (#14641)
Co-authored-by: Chooooo <contact@choo.ooo> Co-authored-by: Sebastiaan Speck <12570668+sebastiaanspeck@users.noreply.github.com>
This commit is contained in:
parent
29d6bd2563
commit
60276104db
47 changed files with 1064 additions and 3 deletions
20
pages.ko/windows/add-appxpackage.md
Normal file
20
pages.ko/windows/add-appxpackag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Add-AppxPackage
|
||||
|
||||
> 서명된 앱 패키지(`.appx`, `.msix`, `.appxbundle`, `.msixbundle`)를 사용자 계정에 추가하는 PowerShell 유틸리티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powershell/module/appx/Add-AppxPackage>.
|
||||
|
||||
- 앱 패키지 추가:
|
||||
|
||||
`Add-AppxPackage -Path {{경로\대상\패키지.msix}}`
|
||||
|
||||
- 의존성과 함께 앱 패키지 추가:
|
||||
|
||||
`Add-AppxPackage -Path {{경로\대상\패키지.msix}} -DependencyPath {{경로\대상\의존성.msix}}`
|
||||
|
||||
- 앱 설치 파일을 사용하여 앱 설치:
|
||||
|
||||
`Add-AppxPackage -AppInstallerFile {{경로\대상\앱.appinstaller}}`
|
||||
|
||||
- 서명되지 않은 패키지 추가:
|
||||
|
||||
`Add-AppxPackage -Path {{경로\대상\패키지.msix}} -DependencyPath {{경로\대상\의존성.msix}} -AllowUnsigned`
|
20
pages.ko/windows/assoc.md
Normal file
20
pages.ko/windows/assoc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assoc
|
||||
|
||||
> 파일 확장자와 파일 유형 간의 연결을 표시하거나 변경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assoc>.
|
||||
|
||||
- 파일 확장자와 파일 유형 간의 모든 연결 나열:
|
||||
|
||||
`assoc`
|
||||
|
||||
- 특정 확장자의 연결된 파일 유형 표시:
|
||||
|
||||
`assoc {{.txt}}`
|
||||
|
||||
- 특정 확장자의 연결된 파일 유형 설정:
|
||||
|
||||
`assoc .{{txt}}={{txtfile}}`
|
||||
|
||||
- `assoc`의 출력을 한 화면씩 보기:
|
||||
|
||||
`assoc | {{more}}`
|
28
pages.ko/windows/attrib.md
Normal file
28
pages.ko/windows/attrib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
# attrib
|
||||
|
||||
> 파일 또는 디렉터리의 속성을 표시하거나 변경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attrib>.
|
||||
|
||||
-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에 설정된 모든 속성 표시:
|
||||
|
||||
`attrib`
|
||||
|
||||
- 특정 디렉터리의 파일에 설정된 모든 속성 표시:
|
||||
|
||||
`attrib {{경로\대상\디렉터리}}`
|
||||
|
||||
-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과 [d]디렉터리에 설정된 모든 속성 표시:
|
||||
|
||||
`attrib /d`
|
||||
|
||||
- 현재 디렉터리와 [s]하위 디렉터리의 파일에 설정된 모든 속성 표시:
|
||||
|
||||
`attrib /s`
|
||||
|
||||
- 파일 또는 디렉터리에 `[r]읽기 전용`, `[a]보관`, `[s]시스템`, `[h]숨김`, `콘텐츠 [i]인덱싱 안 함` 속성 추가:
|
||||
|
||||
`attrib +{{r|a|s|h|i}} {{경로\대상\파일_또는_디렉터리1 경로\대상\파일_또는_디렉터리2 ...}}`
|
||||
|
||||
- 파일 또는 디렉터리의 특정 속성 제거:
|
||||
|
||||
`attrib -{{r|a|s|h|i}} {{경로\대상\파일_또는_디렉터리1 경로\대상\파일_또는_디렉터리2 ...}}`
|
28
pages.ko/windows/azcopy.md
Normal file
28
pages.ko/windows/azcopy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
# azcopy
|
||||
|
||||
> Azure 클라우드 스토리지 계정에 업로드하기 위한 파일 전송 도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azure/storage/common/storage-use-azcopy-v10>.
|
||||
|
||||
- Azure 테넌트에 로그인:
|
||||
|
||||
`azopy login`
|
||||
|
||||
- 로컬 파일 업로드:
|
||||
|
||||
`azcopy copy '{{경로\대상\소스_파일}}' 'https://{{스토리지_계정_이름}}.blob.core.windows.net/{{컨테이너_이름}}/{{블롭_이름}}'`
|
||||
|
||||
- `.txt` 및 `.jpg` 확장자를 가진 파일 업로드:
|
||||
|
||||
`azcopy copy '{{경로\대상\소스_폴더}}' 'https://{{스토리지_계정_이름}}.blob.core.windows.net/{{컨테이너_이름}}' --include-pattern '{{*.txt;*.jpg}}'`
|
||||
|
||||
- 두 Azure 스토리지 계정 간에 컨테이너 직접 복사:
|
||||
|
||||
`azcopy copy 'https://{{소스_스토리지_계정_이름}}.blob.core.windows.net/{{컨테이너_이름}}' 'https://{{목적지_스토리지_계정_이름}}.blob.core.windows.net/{{컨테이너_이름}}'`
|
||||
|
||||
- 로컬 디렉터리와 동기화하고 소스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파일을 대상에서 삭제:
|
||||
|
||||
`azcopy sync '{{경로\대상\소스_폴더}}' 'https://{{스토리지_계정_이름}}.blob.core.windows.net/{{컨테이너_이름}}' --recursive --delete-destination=true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azcopy --help`
|
24
pages.ko/windows/bcdboot.md
Normal file
24
pages.ko/windows/bcdboot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bcdboot
|
||||
|
||||
> 부트 파일을 구성하거나 복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hardware/manufacture/desktop/bcdboot-command-line-options-techref-di>.
|
||||
|
||||
- 소스 Windows 폴더의 BCD 파일을 사용하여 시스템 파티션 초기화:
|
||||
|
||||
`bcdboot {{C:\Windows}}`
|
||||
|
||||
- [v]erbose 모드 활성화:
|
||||
|
||||
`bcdboot {{C:\Windows}} /v`
|
||||
|
||||
- 시스템 파티션의 볼륨 문자 지정:
|
||||
|
||||
`bcdboot {{C:\Windows}} /s {{S:}}`
|
||||
|
||||
- [l]ocale 지정:
|
||||
|
||||
`bcdboot {{C:\Windows}} /l {{en-us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볼륨으로 부트 파일을 복사할 때 [f]irmware 유형 지정:
|
||||
|
||||
`bcdboot {{C:\Windows}} /s {{S:}} /f {{UEFI|BIOS|ALL}}`
|
7
pages.ko/windows/bleachbit.md
Normal file
7
pages.ko/windows/bleachbit.md
Normal file
|
@ -0,0 +1,7 @@
|
|||
# bleachbit
|
||||
|
||||
> 이 명령은 `bleachbit_console`의 별칭입니다.
|
||||
|
||||
- 원본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|
||||
|
||||
`tldr bleachbit_console`
|
24
pages.ko/windows/bleachbit_console.md
Normal file
24
pages.ko/windows/bleachbit_consol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bleachbit_console
|
||||
|
||||
> 파일 시스템의 정크 파일을 정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docs.bleachbit.org/doc/command-line-interface.html>.
|
||||
|
||||
- Bleachbit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(GUI) 버전 시작:
|
||||
|
||||
`bleachbit_console.exe --gui`
|
||||
|
||||
- 파일을 영구 삭제:
|
||||
|
||||
`bleachbit_console.exe --shred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사용 가능한 클리너 옵션 나열:
|
||||
|
||||
`bleachbit_console.exe --list-cleaners`
|
||||
|
||||
- 실제 정리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삭제될 파일과 다른 변경 사항 미리 보기:
|
||||
|
||||
`bleachbit_console.exe --preview {{--preset|cleaner1.option1 cleaner2.* ...}}`
|
||||
|
||||
- 정리 작업 수행 및 파일 삭제:
|
||||
|
||||
`bleachbit_console.exe --clean {{--preset|cleaner1.option1 cleaner2.* ...}}`
|
33
pages.ko/windows/cd.md
Normal file
33
pages.ko/windows/cd.md
Normal file
|
@ -0,0 +1,33 @@
|
|||
# cd
|
||||
|
||||
>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를 표시하거나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.
|
||||
> PowerShell에서는 이 명령이 `Set-Location`의 별칭입니다. 이 문서는 Command Prompt(`cmd`) 버전의 `cd`를 기반으로 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cd>.
|
||||
|
||||
- PowerShell의 동등한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|
||||
|
||||
`tldr set-location`
|
||||
|
||||
- 현재 디렉토리의 경로 표시:
|
||||
|
||||
`cd`
|
||||
|
||||
- 같은 드라이브의 특정 디렉토리로 이동:
|
||||
|
||||
`cd {{경로\대상\디렉토리}}`
|
||||
|
||||
- 다른 [d]rive의 특정 디렉토리로 이동:
|
||||
|
||||
`cd /d {{C}}:{{경로\대상\디렉토리}}`
|
||||
|
||||
- 현재 디렉토리의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:
|
||||
|
||||
`cd ..`
|
||||
|
||||
- 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:
|
||||
|
||||
`cd %userprofile%`
|
||||
|
||||
- 현재 드라이브의 루트로 이동:
|
||||
|
||||
`cd \`
|
24
pages.ko/windows/certutil.md
Normal file
24
pages.ko/windows/certutil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certutil
|
||||
|
||||
> 인증서 정보를 관리하고 구성하는 도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certutil>.
|
||||
|
||||
- 구성 정보 또는 파일 덤프:
|
||||
|
||||
`certutil {{파일_이름}}`
|
||||
|
||||
- 파일을 16진수로 인코딩:
|
||||
|
||||
`certutil -encodehex {{경로\대상\입력_파일}} {{경로\대상\출력_파일}}`
|
||||
|
||||
- 파일을 Base64로 인코딩:
|
||||
|
||||
`certutil -encode {{경로\대상\입력_파일}} {{경로\대상\출력_파일}}`
|
||||
|
||||
- Base64로 인코딩된 파일을 디코딩:
|
||||
|
||||
`certutil -decode {{경로\대상\입력_파일}} {{경로\대상\출력_파일}}`
|
||||
|
||||
- 파일에 대한 암호화 해시 생성 및 표시:
|
||||
|
||||
`certutil -hashfile {{경로\대상\입력_파일}} {{md2|md4|md5|sha1|sha256|sha384|sha512}}`
|
12
pages.ko/windows/chdir.md
Normal file
12
pages.ko/windows/chdir.md
Normal file
|
@ -0,0 +1,12 @@
|
|||
# chdir
|
||||
|
||||
> 이 명령은 명령 프롬프트의 `cd` 및 이후 PowerShell의 `Set-Location`의 별칭입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chdir>.
|
||||
|
||||
- 원본 명령 프롬프트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|
||||
|
||||
`tldr cd`
|
||||
|
||||
- 원본 PowerShell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|
||||
|
||||
`tldr set-location`
|
20
pages.ko/windows/chkdsk.md
Normal file
20
pages.ko/windows/chkdsk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chkdsk
|
||||
|
||||
> 파일 시스템 및 볼륨 메타데이터의 오류를 검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chkdsk>.
|
||||
|
||||
- 검사할 드라이브 문자(콜론 포함), 마운트 지점 또는 볼륨 이름 지정:
|
||||
|
||||
`chkdsk {{볼륨}}`
|
||||
|
||||
- 특정 볼륨의 오류 수정:
|
||||
|
||||
`chkdsk {{볼륨}} /f`
|
||||
|
||||
- 검사 전에 특정 볼륨을 마운트 해제:
|
||||
|
||||
`chkdsk {{볼륨}} /x`
|
||||
|
||||
- 로그 파일 크기를 특정 크기로 변경 (NTFS 전용):
|
||||
|
||||
`chkdsk /l{{크기}}`
|
28
pages.ko/windows/choice.md
Normal file
28
pages.ko/windows/choic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
# choice
|
||||
|
||||
> 사용자에게 선택지를 제시하고 선택한 선택지의 색인을 반환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choice>.
|
||||
|
||||
- 현재 사용자에게 `Y` 또는 `N` 선택지를 제시:
|
||||
|
||||
`choice`
|
||||
|
||||
- 현재 사용자에게 특정 세트에서 [c]hoice 선택지를 제시:
|
||||
|
||||
`choice /c {{AB}}`
|
||||
|
||||
- 현재 사용자에게 특정 [m]essage와 함께 선택지를 제시:
|
||||
|
||||
`choice /m "{{메시지}}"`
|
||||
|
||||
- 현재 사용자에게 대소문자를 구분하는 [c]ase-[s]ensitive [c]hoice 선택지를 특정 세트에서 제시:
|
||||
|
||||
`choice /cs /c {{Ab}}`
|
||||
|
||||
- 현재 사용자에게 선택지를 제시하고, 특정 [t]ime 내에 [d]efault 선택지를 선호:
|
||||
|
||||
`choice /t {{5}} /d {{N}}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choice /?`
|
37
pages.ko/windows/chromium.md
Normal file
37
pages.ko/windows/chromium.md
Normal file
|
@ -0,0 +1,37 @@
|
|||
# chromium
|
||||
|
||||
> 주로 Google에서 개발 및 유지 관리하는 오픈 소스 웹 브라우저.
|
||||
> 참고: 원하는 웹 브라우저에 따라 `chromium` 명령을 `brave`, `google-chrome`, `microsoft-edge`/`msedge`, `opera`, 또는 `vivaldi`로 대체해야 할 수 있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chromium.org/developers/how-tos/run-chromium-with-flags/>.
|
||||
|
||||
- 특정 URL 또는 파일 열기:
|
||||
|
||||
`chromium {{https://example.com|경로/대상/파일.html}}`
|
||||
|
||||
- 시크릿 모드로 열기 (Microsoft Edge의 경우 `--inprivate` 사용):
|
||||
|
||||
`{{chromium --incognito|msedge --inprivate}} {{example.com}}`
|
||||
|
||||
- 새 창으로 열기:
|
||||
|
||||
`chromium --new-window {{example.com}}`
|
||||
|
||||
- 애플리케이션 모드로 열기 (툴바, URL 바, 버튼 등 없이):
|
||||
|
||||
`chromium --app={{https://example.com}}`
|
||||
|
||||
- 프록시 서버 사용:
|
||||
|
||||
`chromium --proxy-server="{{socks5://hostname:66}}" {{example.com}}`
|
||||
|
||||
- 사용자 정의 프로필 디렉토리로 열기:
|
||||
|
||||
`chromium --user-data-dir={{경로/대상/폴더}}`
|
||||
|
||||
- CORS 검증 없이 열기 (API 테스트에 유용):
|
||||
|
||||
`chromium --user-data-dir={{경로/대상/폴더}} --disable-web-security`
|
||||
|
||||
- 열리는 각 탭에 대해 개발자 도구 창과 함께 열기:
|
||||
|
||||
`chromium --auto-open-devtools-for-tabs`
|
20
pages.ko/windows/cipher.md
Normal file
20
pages.ko/windows/cipher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cipher
|
||||
|
||||
> NTFS 볼륨에서 디렉터리와 파일의 암호화를 표시하거나 변경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cipher>.
|
||||
|
||||
- 특정 암호화된 파일 또는 디렉터리에 대한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cipher /c:{{경로\대상\파일_또는_디렉터리}}`
|
||||
|
||||
- 파일 또는 디렉터리를 [e]암호화 (디렉터리가 표시되므로 이후에 추가된 파일도 암호화됨):
|
||||
|
||||
`cipher /e:{{경로\대상\파일_또는_디렉터리}}`
|
||||
|
||||
- 파일 또는 디렉터리 [d]암호 해독:
|
||||
|
||||
`cipher /d:{{경로\대상\파일_또는_디렉터리}}`
|
||||
|
||||
- 파일 또는 디렉터리를 안전하게 제거:
|
||||
|
||||
`cipher /w:{{경로\대상\파일_또는_디렉터리}}`
|
9
pages.ko/windows/clear-host.md
Normal file
9
pages.ko/windows/clear-host.md
Normal file
|
@ -0,0 +1,9 @@
|
|||
# Clear-Host
|
||||
|
||||
> 화면을 지웁니다.
|
||||
> 참고: 이 명령어는 PowerShell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powershell/module/microsoft.powershell.core/clear-host>.
|
||||
|
||||
- 화면 지우기:
|
||||
|
||||
`cls`
|
17
pages.ko/windows/clear-recyclebin.md
Normal file
17
pages.ko/windows/clear-recyclebin.md
Normal file
|
@ -0,0 +1,17 @@
|
|||
# Clear-RecycleBin
|
||||
|
||||
> 휴지통의 항목을 삭제.
|
||||
> 이 명령은 PowerShell 버전 5.1 이하 또는 7.1 이상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powershell/module/microsoft.powershell.management/clear-recyclebin>.
|
||||
|
||||
- 휴지통의 모든 항목 삭제:
|
||||
|
||||
`Clear-RecycleBin`
|
||||
|
||||
- 특정 드라이브의 휴지통 삭제:
|
||||
|
||||
`Clear-RecycleBin -DriveLetter {{C}}`
|
||||
|
||||
- 추가 확인 없이 휴지통 삭제:
|
||||
|
||||
`Clear-RecycleBin -Force`
|
7
pages.ko/windows/clear.md
Normal file
7
pages.ko/windows/clear.md
Normal file
|
@ -0,0 +1,7 @@
|
|||
# clear
|
||||
|
||||
> PowerShell에서 이 명령은 `Clear-Host`의 별칭입니다.
|
||||
|
||||
- 원본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|
||||
|
||||
`tldr clear-host`
|
20
pages.ko/windows/clip.md
Normal file
20
pages.ko/windows/clip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clip
|
||||
|
||||
> 입력 내용을 Windows 클립보드에 복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clip>.
|
||||
|
||||
- 명령줄 출력 결과를 Windows 클립보드로 파이프:
|
||||
|
||||
`{{dir}} | clip`
|
||||
|
||||
- 파일의 내용을 Windows 클립보드에 복사:
|
||||
|
||||
`clip < {{경로\대상\파일.ext}}`
|
||||
|
||||
- 끝에 줄 바꿈이 있는 텍스트를 Windows 클립보드에 복사:
|
||||
|
||||
`echo {{일부 텍스트}} | clip`
|
||||
|
||||
- 끝에 줄 바꿈이 없는 텍스트를 Windows 클립보드에 복사:
|
||||
|
||||
`echo | set /p="some text" | clip`
|
13
pages.ko/windows/cls.md
Normal file
13
pages.ko/windows/cls.md
Normal file
|
@ -0,0 +1,13 @@
|
|||
# cls
|
||||
|
||||
> 화면을 지웁니다.
|
||||
> PowerShell에서는 이 명령이 `Clear-Host`의 별칭입니다. 이 문서는 명령 프롬프트(`cmd`) 버전의 `cls`를 기반으로 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cls>.
|
||||
|
||||
- 해당 PowerShell 명령의 문서 보기:
|
||||
|
||||
`tldr clear-host`
|
||||
|
||||
- 화면 지우기:
|
||||
|
||||
`cls`
|
36
pages.ko/windows/cmd.md
Normal file
36
pages.ko/windows/cmd.md
Normal file
|
@ -0,0 +1,36 @@
|
|||
# cmd
|
||||
|
||||
> Windows 명령 인터프리터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cmd>.
|
||||
|
||||
- 대화형 셸 세션 시작:
|
||||
|
||||
`cmd`
|
||||
|
||||
- 특정 [c]ommands 실행:
|
||||
|
||||
`cmd /c {{echo Hello world}}`
|
||||
|
||||
- 특정 스크립트 실행:
|
||||
|
||||
`cmd {{경로\대상\script.bat}}`
|
||||
|
||||
- 특정 명령을 실행한 후 대화형 셸로 진입:
|
||||
|
||||
`cmd /k {{echo Hello world}}`
|
||||
|
||||
- 명령 출력에서 `echo`가 비활성화된 대화형 셸 세션 시작:
|
||||
|
||||
`cmd /q`
|
||||
|
||||
- 지연된 [v]ariable 확장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된 대화형 셸 세션 시작:
|
||||
|
||||
`cmd /v:{{on|off}}`
|
||||
|
||||
- 명령 [e]xtensions가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된 대화형 셸 세션 시작:
|
||||
|
||||
`cmd /e:{{on|off}}`
|
||||
|
||||
- [u]nicode 인코딩을 사용하는 대화형 셸 세션 시작:
|
||||
|
||||
`cmd /u`
|
16
pages.ko/windows/cmdkey.md
Normal file
16
pages.ko/windows/cmdkey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
# cmdkey
|
||||
|
||||
> 저장된 사용자 이름 및 비밀번호를 생성, 표시, 삭제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cmdkey>.
|
||||
|
||||
- 모든 사용자 자격 증명 나열:
|
||||
|
||||
`cmdkey /list`
|
||||
|
||||
- 서버에 액세스하는 사용자의 자격 증명 저장:
|
||||
|
||||
`cmdkey /add:{{서버_이름}} /user:{{사용자_이름}}`
|
||||
|
||||
- 특정 대상의 자격 증명 삭제:
|
||||
|
||||
`cmdkey /delete {{대상_이름}}`
|
36
pages.ko/windows/cmstp.md
Normal file
36
pages.ko/windows/cmstp.md
Normal file
|
@ -0,0 +1,36 @@
|
|||
# cmstp
|
||||
|
||||
> 연결 서비스 프로필을 관리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cmstp>.
|
||||
|
||||
- 특정 프로필 설치:
|
||||
|
||||
`cmstp "{{경로\대상\프로필_파일}}"`
|
||||
|
||||
- 바탕 화면 바로가기를 생성하지 않고 설치:
|
||||
|
||||
`cmstp /ns "{{경로\대상\프로필_파일}}"`
|
||||
|
||||
- 의존성 검사를 생략하고 설치:
|
||||
|
||||
`cmstp /nf "{{경로\대상\프로필_파일}}"`
|
||||
|
||||
- 현재 사용자만을 위해 설치:
|
||||
|
||||
`cmstp /su "{{경로\대상\프로필_파일}}"`
|
||||
|
||||
- 모든 사용자를 위해 설치 (관리자 권한 필요):
|
||||
|
||||
`cmstp /au "{{경로\대상\프로필_파일}}"`
|
||||
|
||||
- 프롬프트 없이 조용히 설치:
|
||||
|
||||
`cmstp /s "{{경로\대상\프로필_파일}}"`
|
||||
|
||||
- 특정 프로필 제거:
|
||||
|
||||
`cmstp /u "{{경로\대상\프로필_파일}}"`
|
||||
|
||||
- 확인 프롬프트 없이 조용히 제거:
|
||||
|
||||
`cmstp /u /s "{{경로\대상\프로필_파일}}"`
|
16
pages.ko/windows/color.md
Normal file
16
pages.ko/windows/color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
# color
|
||||
|
||||
> 콘솔의 전경 및 배경 색상을 설정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color>.
|
||||
|
||||
- 콘솔 색상을 기본값으로 설정:
|
||||
|
||||
`color`
|
||||
|
||||
- 사용 가능한 색상 값 및 세부 정보 나열:
|
||||
|
||||
`color /?`
|
||||
|
||||
- 16진수 번호(`1-9,a-f`)를 사용하여 콘솔 전경 및 배경을 특정 색상으로 설정:
|
||||
|
||||
`color {{전경_코드}}{{배경_코드}}`
|
37
pages.ko/windows/comp.md
Normal file
37
pages.ko/windows/comp.md
Normal file
|
@ -0,0 +1,37 @@
|
|||
# comp
|
||||
|
||||
> 두 파일 또는 파일 집합의 내용을 비교.
|
||||
> 파일 집합을 비교하려면 와일드카드(*)를 사용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comp>.
|
||||
|
||||
- 파일을 대화형으로 비교:
|
||||
|
||||
`comp`
|
||||
|
||||
- 지정된 두 파일 비교:
|
||||
|
||||
`comp {{경로\대상\파일1}} {{경로\대상\파일2}}`
|
||||
|
||||
- 두 파일 집합 비교:
|
||||
|
||||
`comp {{경로\대상\폴더1}}\* {{경로\대상\폴더2}}\*`
|
||||
|
||||
- 차이점을 10진수 형식으로 표시:
|
||||
|
||||
`comp /d {{경로\대상\파일1}} {{경로\대상\파일2}}`
|
||||
|
||||
- 차이점을 ASCII 형식으로 표시:
|
||||
|
||||
`comp /a {{경로\대상\파일1}} {{경로\대상\파일2}}`
|
||||
|
||||
- 차이점에 대한 줄 번호 표시:
|
||||
|
||||
`comp /l {{경로\대상\파일1}} {{경로\대상\파일2}}`
|
||||
|
||||
-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파일 비교:
|
||||
|
||||
`comp /c {{경로\대상\파일1}} {{경로\대상\파일2}}`
|
||||
|
||||
- 각 파일의 처음 5줄만 비교:
|
||||
|
||||
`comp /n=5 {{경로\대상\파일1}} {{경로\대상\파일2}}`
|
16
pages.ko/windows/curl.md
Normal file
16
pages.ko/windows/curl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
# curl
|
||||
|
||||
> PowerShell에서는 원본 `curl` 프로그램(<https://curl.se>)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이 명령이 `Invoke-WebRequest`의 별칭일 수 있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powershell/module/microsoft.powershell.utility/invoke-webrequest>.
|
||||
|
||||
- 원본 `curl`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|
||||
|
||||
`tldr curl -p common`
|
||||
|
||||
- PowerShell의 `Invoke-WebRequest`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|
||||
|
||||
`tldr invoke-webrequest`
|
||||
|
||||
- `curl`이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버전 번호를 출력하여 확인. 이 명령이 오류로 평가된다면, PowerShell이 이 명령을 `Invoke-WebRequest`로 대체했을 수 있습니다:
|
||||
|
||||
`curl --version`
|
37
pages.ko/windows/del.md
Normal file
37
pages.ko/windows/del.md
Normal file
|
@ -0,0 +1,37 @@
|
|||
# del
|
||||
|
||||
> 하나 이상의 파일 삭제.
|
||||
> PowerShell에서는 이 명령이 `Remove-Item`의 별칭입니다. 이 문서는 명령 프롬프트(`cmd`) 버전의 `del`을 기준으로 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del>.
|
||||
|
||||
- 동등한 PowerShell 명령의 문서 보기:
|
||||
|
||||
`tldr remove-item`
|
||||
|
||||
- 하나 이상의 파일 또는 패턴 삭제:
|
||||
|
||||
`del {{파일_패턴1 파일_패턴2 ...}}`
|
||||
|
||||
- 각 파일을 삭제하기 전에 확인 요청:
|
||||
|
||||
`del {{파일_패턴}} /p`
|
||||
|
||||
- 읽기 전용 파일 강제 삭제:
|
||||
|
||||
`del {{파일_패턴}} /f`
|
||||
|
||||
- 모든 하위 디렉토리에서 파일을 재귀적으로 삭제:
|
||||
|
||||
`del {{파일_패턴}} /s`
|
||||
|
||||
- 글로벌 와일드카드를 기반으로 파일 삭제 시 확인 요청 안 함:
|
||||
|
||||
`del {{파일_패턴}} /q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 및 사용 가능한 속성 목록 보기:
|
||||
|
||||
`del /?`
|
||||
|
||||
- 지정된 속성을 기반으로 파일 삭제:
|
||||
|
||||
`del {{파일_패턴}} /a {{속성}}`
|
24
pages.ko/windows/dir.md
Normal file
24
pages.ko/windows/dir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dir
|
||||
|
||||
> 디렉토리 내용을 나열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dir>.
|
||||
|
||||
- 현재 디렉토리의 내용 표시:
|
||||
|
||||
`dir`
|
||||
|
||||
- 지정된 디렉토리의 내용 표시:
|
||||
|
||||
`dir {{경로\대상\폴더}}`
|
||||
|
||||
- 숨겨진 파일을 포함하여 현재 디렉토리의 내용 표시:
|
||||
|
||||
`dir /a`
|
||||
|
||||
- 숨겨진 파일을 포함하여 지정된 디렉토리의 내용 표시:
|
||||
|
||||
`dir {{경로\대상\폴더}} /a`
|
||||
|
||||
- 추가 정보 없이 디렉토리 및 파일의 간단한 목록 표시:
|
||||
|
||||
`dir /b`
|
32
pages.ko/windows/diskpart.md
Normal file
32
pages.ko/windows/diskpart.md
Normal file
|
@ -0,0 +1,32 @@
|
|||
# diskpart
|
||||
|
||||
> 디스크, 볼륨 및 파티션 관리 도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diskpart>.
|
||||
|
||||
- 관리 명령 프롬프트에서 diskpart를 실행하여 명령줄에 진입:
|
||||
|
||||
`diskpart`
|
||||
|
||||
- 모든 디스크 나열:
|
||||
|
||||
`list disk`
|
||||
|
||||
- 볼륨 선택:
|
||||
|
||||
`select volume {{볼륨}}`
|
||||
|
||||
- 선택된 볼륨에 드라이브 문자 할당:
|
||||
|
||||
`assign letter {{문자}}`
|
||||
|
||||
- 새 파티션 생성:
|
||||
|
||||
`create partition primary`
|
||||
|
||||
- 선택된 볼륨 활성화:
|
||||
|
||||
`active`
|
||||
|
||||
- diskpart 종료:
|
||||
|
||||
`exit`
|
32
pages.ko/windows/doskey.md
Normal file
32
pages.ko/windows/doskey.md
Normal file
|
@ -0,0 +1,32 @@
|
|||
# doskey
|
||||
|
||||
> 매크로, Windows 명령 및 명령줄을 관리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doskey>.
|
||||
|
||||
- 사용 가능한 매크로 나열:
|
||||
|
||||
`doskey /macros`
|
||||
|
||||
- 새 매크로 생성:
|
||||
|
||||
`doskey {{이름}} = "{{명령}}"`
|
||||
|
||||
- 특정 실행 파일에 대한 새 매크로 생성:
|
||||
|
||||
`doskey /exename={{실행파일}} {{이름}} = "{{명령}}"`
|
||||
|
||||
- 매크로 제거:
|
||||
|
||||
`doskey {{이름}} =`
|
||||
|
||||
- 메모리에 저장된 모든 명령 표시:
|
||||
|
||||
`doskey /history`
|
||||
|
||||
- 매크로를 파일에 저장하여 휴대성 확보:
|
||||
|
||||
`doskey /macros > {{경로\대상\macinit_파일}}`
|
||||
|
||||
- 파일에서 매크로 로드:
|
||||
|
||||
`doskey /macrofile = {{경로\대상\macinit_파일}}`
|
32
pages.ko/windows/driverquery.md
Normal file
32
pages.ko/windows/driverquery.md
Normal file
|
@ -0,0 +1,32 @@
|
|||
# driverquery
|
||||
|
||||
> 설치된 장치 드라이버에 대한 정보를 표시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driverquery>.
|
||||
|
||||
- 설치된 모든 장치 드라이버 목록 표시:
|
||||
|
||||
`driverquery`
|
||||
|
||||
- 지정된 형식으로 드라이버 목록 표시:
|
||||
|
||||
`driverquery /fo {{table|list|csv}}`
|
||||
|
||||
- 서명 여부를 나타내는 열과 함께 드라이버 목록 표시:
|
||||
|
||||
`driverquery /si`
|
||||
|
||||
- 출력 목록에서 헤더 제외:
|
||||
|
||||
`driverquery /nh`
|
||||
|
||||
- 원격 컴퓨터의 드라이버 목록 표시:
|
||||
|
||||
`driverquery /s {{호스트명}} /u {{사용자명}} /p {{비밀번호}}`
|
||||
|
||||
- 자세한 정보와 함께 드라이버 목록 표시:
|
||||
|
||||
`driverquery /v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driverquery /?`
|
21
pages.ko/windows/enable-pnpdevice.md
Normal file
21
pages.ko/windows/enable-pnpdevic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1 @@
|
|||
# Enable-PnpDevice
|
||||
|
||||
> Enable-PnpDevice cmdlet은 플러그 앤 플레이(PnP) 장치를 활성화합니다. 장치를 활성화하려면 관리자 계정을 사용해야 합니다.
|
||||
> 참고: 이 명령은 PowerShell을 통해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powershell/module/pnpdevice/enable-pnpdevice>.
|
||||
|
||||
- 장치 활성화:
|
||||
|
||||
`Enable-PnpDevice -InstanceId 'Get-PnpDevice 명령을 통해 검색된 값'`
|
||||
|
||||
- 비활성화된 모든 PnP 장치 활성화:
|
||||
|
||||
`Get-PnpDevice | Where-Object {$_.Problem -eq 22} | Enable-PnpDevice`
|
||||
|
||||
- 확인 없이 장치 활성화:
|
||||
|
||||
`Enable-PnpDevice -InstanceId 'Get-PnpDevice 명령을 통해 검색된 값' -Confirm:$False`
|
||||
|
||||
- cmdlet 실행 시의 결과를 예측:
|
||||
|
||||
`Enable-PnpDevice -InstanceId 'USB\VID_5986&;PID_0266&;MI_00\7&;1E5D3568&;0&;0000' -WhatIf:$True`
|
21
pages.ko/windows/eventcreate.md
Normal file
21
pages.ko/windows/eventcreat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1 @@
|
|||
# eventcreate
|
||||
|
||||
> 이벤트 로그에 사용자 정의 항목을 생성.
|
||||
> 이벤트 ID는 1에서 1000 사이의 숫자여야 함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eventcreate>.
|
||||
|
||||
- 로그에 주어진 ID(1-1000)로 새로운 이벤트 생성:
|
||||
|
||||
`eventcreate /t {{성공|오류|경고|정보}} /id {{id}} /d "{{메시지}}"`
|
||||
|
||||
- 특정 이벤트 로그에 이벤트 생성:
|
||||
|
||||
`eventcreate /l {{로그_이름}} /t {{유형}} /id {{id}} /d "{{메시지}}"`
|
||||
|
||||
- 특정 소스로 이벤트 생성:
|
||||
|
||||
`eventcreate /so {{소스_이름}} /t {{유형}} /id {{id}} /d "{{메시지}}"`
|
||||
|
||||
- 원격 컴퓨터의 이벤트 로그에 이벤트 생성:
|
||||
|
||||
`eventcreate /s {{호스트명}} /u {{사용자명}} /p {{비밀번호}} /t {{유형}} /id {{id}} /d "{{메시지}}"`
|
16
pages.ko/windows/exit.md
Normal file
16
pages.ko/windows/exit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
# exit
|
||||
|
||||
> 현재 CMD 인스턴스 또는 현재 배치 파일을 종료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exit>.
|
||||
|
||||
- 현재 CMD 인스턴스 종료:
|
||||
|
||||
`exit`
|
||||
|
||||
- 현재 배치 스크립트 종료:
|
||||
|
||||
`exit /b`
|
||||
|
||||
- 특정 종료 코드를 사용하여 종료:
|
||||
|
||||
`exit {{2}}`
|
24
pages.ko/windows/expand.md
Normal file
24
pages.ko/windows/expand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expand
|
||||
|
||||
> Windows Cabinet 파일 압축 해제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expand>.
|
||||
|
||||
- 단일 파일 Cabinet 파일을 지정한 디렉토리로 압축 해제:
|
||||
|
||||
`expand {{경로\대상\파일.cab}} {{경로\대상\디렉토리}}`
|
||||
|
||||
- 소스 Cabinet 파일 내 파일 목록 표시:
|
||||
|
||||
`expand {{경로\대상\파일.cab}} {{경로\대상\디렉토리}} -d`
|
||||
|
||||
- Cabinet 파일의 모든 파일 압축 해제:
|
||||
|
||||
`expand {{경로\대상\파일.cab}} {{경로\대상\디렉토리}} -f:*`
|
||||
|
||||
- Cabinet 파일에서 특정 파일 압축 해제:
|
||||
|
||||
`expand {{경로\대상\파일.cab}} {{경로\대상\디렉토리}} -f:{{경로\대상\파일}}`
|
||||
|
||||
- 압축 해제 시 디렉토리 구조를 무시하고 단일 디렉토리에 추가:
|
||||
|
||||
`expand {{경로\대상\파일.cab}} {{경로\대상\디렉토리}} -i`
|
16
pages.ko/windows/explorer.md
Normal file
16
pages.ko/windows/explorer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
# explorer
|
||||
|
||||
> Windows 파일 탐색기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s64.com/nt/explorer.html>.
|
||||
|
||||
- Windows 탐색기 열기:
|
||||
|
||||
`explorer`
|
||||
|
||||
- 현재 디렉토리에서 Windows 탐색기 열기:
|
||||
|
||||
`explorer .`
|
||||
|
||||
- 특정 디렉토리에서 Windows 탐색기 열기:
|
||||
|
||||
`explorer {{경로\대상\폴더}}`
|
33
pages.ko/windows/fc.md
Normal file
33
pages.ko/windows/fc.md
Normal file
|
@ -0,0 +1,33 @@
|
|||
# fc
|
||||
|
||||
> 두 파일 또는 파일 집합 간의 차이점을 비교.
|
||||
> 와일드카드(*)를 사용하여 파일 집합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fc>.
|
||||
|
||||
- 지정된 두 파일 비교:
|
||||
|
||||
`fc {{경로\대상\파일1}} {{경로\대상\파일2}}`
|
||||
|
||||
-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비교:
|
||||
|
||||
`fc /c {{경로\대상\파일1}} {{경로\대상\파일2}}`
|
||||
|
||||
- 파일을 유니코드 텍스트로 비교:
|
||||
|
||||
`fc /u {{경로\대상\파일1}} {{경로\대상\파일2}}`
|
||||
|
||||
- 파일을 ASCII 텍스트로 비교:
|
||||
|
||||
`fc /l {{경로\대상\파일1}} {{경로\대상\파일2}}`
|
||||
|
||||
- 파일을 이진으로 비교:
|
||||
|
||||
`fc /b {{경로\대상\파일1}} {{경로\대상\파일2}}`
|
||||
|
||||
- 탭을 공백으로 확장하지 않음:
|
||||
|
||||
`fc /t {{경로\대상\파일1}} {{경로\대상\파일2}}`
|
||||
|
||||
- 비교를 위해 공백(탭 및 공백) 압축:
|
||||
|
||||
`fc /w {{경로\대상\파일1}} {{경로\대상\파일2}}`
|
20
pages.ko/windows/find.md
Normal file
20
pages.ko/windows/find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find
|
||||
|
||||
> 파일에서 지정된 문자열 찾기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find>.
|
||||
|
||||
- 지정된 문자열을 포함하는 줄 찾기:
|
||||
|
||||
`find "{{문자열}}" {{경로\대상\파일_또는_폴더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문자열을 포함하지 않는 줄 표시:
|
||||
|
||||
`find "{{문자열}}" {{경로\대상\파일_또는_폴더}} /v`
|
||||
|
||||
- 지정된 문자열을 포함하는 줄의 개수 표시:
|
||||
|
||||
`find "{{문자열}}" {{경로\대상\파일_또는_폴더}} /c`
|
||||
|
||||
- 줄 번호와 함께 줄 목록 표시:
|
||||
|
||||
`find "{{문자열}}" {{경로\대상\파일_또는_폴더}} /n`
|
36
pages.ko/windows/findstr.md
Normal file
36
pages.ko/windows/findstr.md
Normal file
|
@ -0,0 +1,36 @@
|
|||
# findstr
|
||||
|
||||
> 하나 이상의 파일에서 지정된 텍스트를 찾기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findstr>.
|
||||
|
||||
- 모든 파일에서 하나 이상의 문자열 찾기:
|
||||
|
||||
`findstr "{{문자열1 문자열2 ...}}" *`
|
||||
|
||||
- 파이프된 명령의 출력에서 하나 이상의 문자열 찾기:
|
||||
|
||||
`{{dir}} | findstr "{{문자열1 문자열2 ...}}"`
|
||||
|
||||
- 모든 파일을 [s]재귀적으로 검색하여 하나 이상의 문자열 찾기:
|
||||
|
||||
`findstr /s "{{문자열1 문자열2 ...}}" *`
|
||||
|
||||
-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문자열 찾기:
|
||||
|
||||
`findstr /i "{{문자열1 문자열2 ...}}" *`
|
||||
|
||||
- 정규 표현식을 사용하여 모든 파일에서 문자열 찾기:
|
||||
|
||||
`findstr /r "{{표현식}}" *`
|
||||
|
||||
- 모든 텍스트 파일에서 공백이 포함된 문자열을 그대로 찾기:
|
||||
|
||||
`findstr /c:"{{문자열1 문자열2 ...}}" *.txt`
|
||||
|
||||
- 일치하는 각 줄 앞에 줄 번호 표시:
|
||||
|
||||
`findstr /n "{{문자열1 문자열2 ...}}" *`
|
||||
|
||||
- 일치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파일 이름만 표시:
|
||||
|
||||
`findstr /m "{{문자열1 문자열2 ...}}" *`
|
21
pages.ko/windows/finger.md
Normal file
21
pages.ko/windows/finger.md
Normal file
|
@ -0,0 +1,21 @@
|
|||
# finger
|
||||
|
||||
> 지정된 시스템의 사용자 정보 반환.
|
||||
> 원격 시스템은 Finger 서비스를 실행 중이어야 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finger>.
|
||||
|
||||
- 특정 사용자에 대한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finger {{사용자}}@{{호스트}}`
|
||||
|
||||
- 지정된 호스트의 모든 사용자에 대한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finger @{{호스트}}`
|
||||
|
||||
- 더 긴 형식으로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finger {{사용자}}@{{호스트}} -l`
|
||||
|
||||
- 도움말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finger /?`
|
16
pages.ko/windows/fondue.md
Normal file
16
pages.ko/windows/fondue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
# fondue
|
||||
|
||||
> 선택적 Windows 기능 설치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fondue>.
|
||||
|
||||
- 특정 Windows 기능 활성화:
|
||||
|
||||
`fondue /enable-feature:{{기능}}`
|
||||
|
||||
- 사용자에게 모든 출력 메시지 숨기기:
|
||||
|
||||
`fondue /enable-feature:{{기능}} /hide-ux:all`
|
||||
|
||||
- 오류 보고를 위한 호출자 프로세스 이름 지정:
|
||||
|
||||
`fondue /enable-feature:{{기능}} /caller-name:{{이름}}`
|
24
pages.ko/windows/for.md
Normal file
24
pages.ko/windows/for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for
|
||||
|
||||
> 조건에 따라 명령을 여러 번 실행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for>.
|
||||
|
||||
- 지정된 집합에 대해 명령 실행:
|
||||
|
||||
`for %{{변수}} in ({{항목_a 항목_b 항목_c}}) do ({{echo 루프가 실행됩니다}})`
|
||||
|
||||
- 주어진 숫자 범위를 반복:
|
||||
|
||||
`for /l %{{변수}} in ({{시작}}, {{단계}}, {{끝}}) do ({{echo 루프가 실행됩니다}})`
|
||||
|
||||
- 주어진 파일 목록을 반복:
|
||||
|
||||
`for %{{변수}} in ({{경로\대상\파일1.ext 경로\대상\파일2.ext ...}}) do ({{echo 루프가 실행됩니다}})`
|
||||
|
||||
- 주어진 디렉토리 목록을 반복:
|
||||
|
||||
`for /d %{{변수}} in ({{경로\대상\폴더1.ext 경로\대상\폴더2.ext ...}}) do ({{echo 루프가 실행됩니다}})`
|
||||
|
||||
- 모든 디렉토리에서 지정된 명령 수행:
|
||||
|
||||
`for /d %{{변수}} in (*) do (if exist %{{변수}} {{echo 루프가 실행됩니다}})`
|
28
pages.ko/windows/forfiles.md
Normal file
28
pages.ko/windows/forfiles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
# forfiles
|
||||
|
||||
> 지정한 명령어를 실행할 파일을 선택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forfiles>.
|
||||
|
||||
- 현재 디렉토리에서 파일 검색:
|
||||
|
||||
`forfiles`
|
||||
|
||||
- 특정 디렉토리에서 파일 검색:
|
||||
|
||||
`forfiles /p {{경로\대상\폴더}}`
|
||||
|
||||
- 각 파일에 대해 지정된 명령어 실행:
|
||||
|
||||
`forfiles /c "{{명령어}}"`
|
||||
|
||||
- 특정 글로브 패턴을 사용하여 파일 검색:
|
||||
|
||||
`forfiles /m {{글로브_패턴}}`
|
||||
|
||||
- 파일을 재귀적으로 검색:
|
||||
|
||||
`forfiles /s`
|
||||
|
||||
- 5일 이상된 파일 검색:
|
||||
|
||||
`forfiles /d +{{5}}`
|
24
pages.ko/windows/fsutil.md
Normal file
24
pages.ko/windows/fsutil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fsutil
|
||||
|
||||
> 파일 시스템 볼륨에 대한 정보를 표시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fsutil>.
|
||||
|
||||
- 볼륨 목록 표시:
|
||||
|
||||
`fsutil volume list`
|
||||
|
||||
- 볼륨의 파일 시스템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fsutil fsInfo volumeInfo {{드라이브_문자|볼륨_경로}}`
|
||||
|
||||
- 모든 볼륨의 파일 시스템 자동 복구 현재 상태 표시:
|
||||
|
||||
`fsutil repair state`
|
||||
|
||||
- 모든 볼륨의 더티 비트 상태 표시:
|
||||
|
||||
`fsutil dirty query`
|
||||
|
||||
- 볼륨의 더티 비트 상태 설정:
|
||||
|
||||
`fsutil dirty set {{드라이브_문자|볼륨_경로}}`
|
36
pages.ko/windows/ftp.md
Normal file
36
pages.ko/windows/ftp.md
Normal file
|
@ -0,0 +1,36 @@
|
|||
# ftp
|
||||
|
||||
> 로컬 및 원격 FTP 서버 간에 파일을 상호작용하며 전송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ftp>.
|
||||
|
||||
- 원격 FTP 서버에 상호작용하며 연결:
|
||||
|
||||
`ftp {{호스트}}`
|
||||
|
||||
- 익명 사용자로 로그인:
|
||||
|
||||
`ftp -A {{호스트}}`
|
||||
|
||||
- 초기 연결 시 자동 로그인 비활성화:
|
||||
|
||||
`ftp -n {{호스트}}`
|
||||
|
||||
- FTP 명령 목록이 포함된 파일 실행:
|
||||
|
||||
`ftp -s:{{경로\대상\파일}} {{호스트}}`
|
||||
|
||||
- 여러 파일 다운로드(글롭 표현식):
|
||||
|
||||
`mget {{*.png}}`
|
||||
|
||||
- 여러 파일 업로드(글롭 표현식):
|
||||
|
||||
`mput {{*.zip}}`
|
||||
|
||||
- 원격 서버에서 여러 파일 삭제:
|
||||
|
||||
`mdelete {{*.txt}}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ftp --help`
|
16
pages.ko/windows/ftype.md
Normal file
16
pages.ko/windows/ftype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
# ftype
|
||||
|
||||
> 파일 확장자 연결에 사용되는 파일 형식을 표시하거나 수정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ftype>.
|
||||
|
||||
- 모든 파일 형식 목록 표시:
|
||||
|
||||
`ftype`
|
||||
|
||||
- 특정 파일 형식에 연결된 프로그램 표시:
|
||||
|
||||
`ftype {{파일_형식}}`
|
||||
|
||||
- 특정 파일 형식에 연결된 프로그램 설정:
|
||||
|
||||
`ftype {{파일_형식}}="{{경로/대상/실행_파일}}"`
|
|
@ -1,8 +1,12 @@
|
|||
# rd
|
||||
|
||||
> 이 명령은 `rmdir` 의 에일리어스 (별칭) 입니다.
|
||||
> 이 명령은 Command Prompt에서는 `rmdir`의 별칭이며, PowerShell에서는 `Remove-Item`의 별칭입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earn.microsoft.com/windows-server/administration/windows-commands/rd>.
|
||||
|
||||
- 원본 명령의 도큐멘테이션 (설명서) 보기:
|
||||
- 원본 Command Prompt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|
||||
|
||||
`tldr rmdir`
|
||||
|
||||
- 원본 PowerShell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
|
||||
|
||||
`tldr remove-item`
|
||||
|
|
|
@ -17,7 +17,7 @@
|
|||
|
||||
- Find strings using a case-insensitive search:
|
||||
|
||||
`findstr /i "{{string1 string2 ...}}" *"`
|
||||
`findstr /i "{{string1 string2 ...}}" *`
|
||||
|
||||
- Find strings in all files using regular expressions:
|
||||
|
||||
|
|
Loading…
Add table
Reference in a new issu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