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athtool.md b/pages.ko/common/oathtoo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a349ee6dd2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athtool.md @@ -0,0 +1,16 @@ +# oathtool + +> OATH 일회성 비밀번호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TOTP 토큰 생성 (Google Authenticator처럼 동작): + +`oathtool --totp --base32 "{{비밀}}"` + +- 특정 시간에 대한 TOTP 토큰 생성: + +`oathtool --totp --now "{{2004-02-29 16:21:42}}" --base32 "{{비밀}}"` + +- TOTP 토큰 검증: + +`oathtool --totp --base32 "{{비밀}}" "{{토큰}}"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bjdump.md b/pages.ko/common/objdum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8b1ad3ad5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bjdump.md @@ -0,0 +1,24 @@ +# objdump + +> 오브젝트 파일에 대한 정보를 표시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파일 헤더 정보를 표시: + +`objdump -f {{바이너리}}` + +- 모든 헤더 정보를 표시: + +`objdump -x {{바이너리}}` + +- 실행 가능한 섹션의 디스어셈블리 출력 표시: + +`objdump -d {{바이너리}}` + +- 인텔 구문으로 실행 가능한 섹션의 디스어셈블리 출력 표시: + +`objdump -M intel -d {{바이너리}}` + +- 모든 섹션의 전체 바이너리 헥스 덤프 표시: + +`objdump -s {{바이너리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bs.md b/pages.ko/common/ob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d938bc447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bs.md @@ -0,0 +1,33 @@ +# obs + +> 오픈 브로드캐스터 소프트웨어. +> 비디오 녹화 및 라이브 스트리밍 프로그램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OBS 실행: + +`obs` + +- OBS를 포터블 모드로 실행: + +`obs --portable` + +- 실행 시 자동으로 비디오 녹화를 시작: + +`obs --startrecording` + +- 실행 시 자동으로 리플레이 버퍼 시작: + +`obs --startreplaybuffer` + +- 실행 시 자동으로 스트리밍 시작: + +`obs --startstreaming` + +- 실행 시 시스템 트레이로 최소화: + +`obs --minimize-to-tray` + +- 로그를 더 자세하게 남기기 (디버깅용): + +`obs --verbose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c.md b/pages.ko/common/oc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8d2120cb2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c.md @@ -0,0 +1,33 @@ +# oc + +> OpenShift 컨테이너 플랫폼 CLI. +> 애플리케이션 및 컨테이너 관리를 허용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OpenShift 컨테이너 플랫폼 서버에 로그인: + +`oc login` + +- 새 프로젝트 생성: + +`oc new-project {{프로젝트_이름}}` + +- 기존 프로젝트로 전환: + +`oc project {{프로젝트_이름}}` + +- 프로젝트에 새 애플리케이션 추가: + +`oc new-app {{저장소_URL}} --name {{애플리케이션}}` + +- 컨테이너에 원격 셸 세션 열기: + +`oc rsh {{포드_이름}}` + +- 프로젝트 내 포드 나열: + +`oc get pods` + +- 현재 세션에서 로그아웃: + +`oc logout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caml.md b/pages.ko/common/ocam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14bf4dedb9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caml.md @@ -0,0 +1,17 @@ +# ocaml + +> OCaml REPL (읽기-평가-출력-루프). +> OCaml 명령을 해석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사용자로부터 OCaml 명령을 입력받아 실행: + +`ocaml` + +- 파일에서 OCaml 명령을 읽어 실행: + +`ocaml {{경로/대상/파일.ml}}` + +- 모듈과 함께 OCaml 스크립트 실행: + +`ocaml {{모듈1}} {{모듈2}} {{경로/대상/파일.ml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camlc.md b/pages.ko/common/ocamlc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6dcd48ce0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camlc.md @@ -0,0 +1,17 @@ +# ocamlc + +> OCaml 바이트코드 컴파일러. +> OCaml 인터프리터로 실행 가능한 실행 파일을 생성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소스 파일로부터 바이너리 생성: + +`ocamlc {{경로/대상/소스_파일.ml}}` + +- 소스 파일로부터 이름이 지정된 바이너리 생성: + +`ocamlc -o {{경로/대상/바이너리}} {{경로/대상/소스_파일.ml}}` + +- 자동으로 모듈 시그니처(인터페이스) 파일 생성: + +`ocamlc -i {{경로/대상/소스_파일.ml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camlfind.md b/pages.ko/common/ocamlfin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20a6086e0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camlfind.md @@ -0,0 +1,17 @@ +# ocamlfind + +> OCaml을 위한 findlib 패키지 관리자. +> 외부 라이브러리로 실행 파일을 연결하는 과정을 단순화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소스 파일을 네이티브 바이너리로 컴파일하고 패키지와 링크: + +`ocamlfind ocamlopt -package {{패키지1}},{{패키지2}} -linkpkg -o {{경로/대상/실행파일}} {{경로/대상/소스.ml}}` + +- 소스 파일을 바이트코드 바이너리로 컴파일하고 패키지와 링크: + +`ocamlfind ocamlc -package {{패키지1}},{{패키지2}} -linkpkg -o {{경로/대상/실행파일}} {{경로/대상/소스.ml}}` + +- 다른 플랫폼용으로 크로스 컴파일: + +`ocamlfind -toolchain {{크로스_툴체인}} ocamlopt -o {{경로/대상/실행파일}} {{경로/대상/소스.ml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camlopt.md b/pages.ko/common/ocamlop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ba74a23b0e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camlopt.md @@ -0,0 +1,13 @@ +# ocamlopt + +> OCaml 네이티브 코드 컴파일러. +> 네이티브 실행 파일을 생성합니다. 예: Linux의 ELF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소스 파일 컴파일: + +`ocamlopt -o {{경로/대상/바이너리}} {{경로/대상/소스_파일.ml}}` + +- 디버깅을 활성화하여 컴파일: + +`ocamlopt -g -o {{경로/대상/바이너리}} {{경로/대상/소스_파일.ml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ctave.md b/pages.ko/common/octav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e8c13f4a2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ctave.md @@ -0,0 +1,28 @@ +# octave + +> 과학 계산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대화형 세션 시작: + +`octave` + +- 특정 스크립트 파일 실행: + +`octave {{경로/대상/스크립트.m}}` + +- 특정 인수를 사용하여 스크립트 파일 실행: + +`octave {{경로/대상/스크립트.m}} {{인수1 인수2 ...}}` + +- GUI를 사용하여 대화형 세션 시작: + +`octave --gui` + +- 도움말 표시: + +`octave --help` + +- 버전 표시: + +`octave --version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ctez-client.md b/pages.ko/common/octez-clien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d6c4ac269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ctez-client.md @@ -0,0 +1,32 @@ +# octez-client + +> Tezos 블록체인과 상호작용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과 같은 Tezos RPC 노드에 연결하여 클라이언트 구성: + +`octez-client -E {{엔드포인트}} config update` + +- 계정을 생성하고 로컬 별칭을 지정: + +`octez-client gen keys {{별칭}}` + +- 별칭이나 주소로 계정의 잔액 확인: + +`octez-client get balance for {{별칭_또는_주소}}` + +- 다른 계정으로 tez 전송: + +`octez-client transfer {{5}} from {{별칭|주소}} to {{별칭|주소}}` + +- 스마트 계약 생성(배포), 로컬 별칭 지정 및 초기 저장소를 Michelson-인코딩된 값으로 설정: + +`octez-client originate contract {{별칭}} transferring {{0}} from {{별칭|주소}} running {{경로/대상/소스_파일.tz}} --init "{{초기_저장소}}" --burn_cap {{1}}` + +- 별칭이나 주소로 스마트 계약 호출 및 Michelson-인코딩된 매개변수 전달: + +`octez-client transfer {{0}} from {{별칭|주소}} to {{계약}} --entrypoint "{{엔트리포인트}}" --arg "{{매개변수}}" --burn-cap {{1}}` + +- 도움말 표시: + +`octez-client man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d.md b/pages.ko/common/o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60a489304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d.md @@ -0,0 +1,29 @@ +# od + +> 파일 내용을 8진수, 10진수 또는 16진수 형식으로 표시. +> 선택적으로 각 줄에 대한 바이트 오프셋 및/또는 인쇄 가능한 표현을 표시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기본 설정으로 파일 표시: 8진수 형식, 8바이트 단위로 줄바꿈, 8진수 바이트 오프셋, 중복 줄은 `*`로 대체: + +`od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자세한 모드로 파일 표시, 즉 중복 줄을 `*`로 대체하지 않음: + +`od -v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16진수 형식(2바이트 단위)으로 파일 표시, 10진수 형식의 바이트 오프셋: + +`od --format={{x}} --address-radix={{d}} -v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16진수 형식(1바이트 단위)으로 파일 표시, 4바이트 단위로 줄바꿈: + +`od --format={{x1}} --width={{4}} -v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16진수 형식과 문자 표현으로 파일 표시, 바이트 오프셋은 출력하지 않음: + +`od --format={{xz}} --address-radix={{n}} -v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500번째 바이트부터 시작하여 파일의 100바이트만 읽기: + +`od --read-bytes 100 --skip-bytes=500 -v {{경로/대상/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dps-auth.md b/pages.ko/common/odps-auth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6cf558051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dps-auth.md @@ -0,0 +1,33 @@ +# odps auth + +> ODPS (Open Data Processing Service)에서 사용자 권한 관리. +> 같이 보기: `odps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프로젝트에 사용자 추가: + +`add user {{사용자명}};` + +- 사용자에게 권한 집합 부여: + +`grant {{작업_목록}} on {{객체_유형}} {{객체_이름}} to user {{사용자명}};` + +- 사용자의 권한 보기: + +`show grants for {{사용자명}};` + +- 사용자 역할 생성: + +`create role {{역할_이름}};` + +- 역할에 권한 집합 부여: + +`grant {{작업_목록}} on {{객체_유형}} {{객체_이름}} to role {{역할_이름}};` + +- 역할의 권한 설명: + +`desc role {{역할_이름}};` + +- 사용자에게 역할 부여: + +`grant {{역할_이름}} to {{사용자명}};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dps-func.md b/pages.ko/common/odps-func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16dba1eac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dps-func.md @@ -0,0 +1,21 @@ +# odps func + +> ODPS (Open Data Processing Service)에서 함수 관리. +> 같이 보기: `odps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프로젝트의 함수 표시: + +`list functions;` + +- `.jar` 리소스를 사용하여 Java 함수 생성: + +`create function {{함수_이름}} as {{경로.대상.패키지.Func}} using '{{패키지.jar}}';` + +- `.py` 리소스를 사용하여 Python 함수 생성: + +`create function {{함수_이름}} as {{스크립트.Func}} using '{{스크립트.py}}';` + +- 함수 삭제: + +`drop function {{함수_이름}};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dps-inst.md b/pages.ko/common/odps-ins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0b2aae3385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dps-inst.md @@ -0,0 +1,25 @@ +# odps inst + +> ODPS(오픈 데이터 프로세싱 서비스)에서 인스턴스를 관리합니다. +> 같이 보기: `odps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사용자가 생성한 인스턴스 보기: + +`show instances;` + +- 인스턴스의 세부 정보 설명: + +`desc instance {{인스턴스_ID}};` + +- 인스턴스 상태 확인: + +`status {{인스턴스_ID}};` + +- 인스턴스 종료를 대기하며 로그 및 진행 정보를 출력: + +`wait {{인스턴스_ID}};` + +- 인스턴스 종료: + +`kill {{인스턴스_ID}};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dps-resource.md b/pages.ko/common/odps-resourc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e90a51e038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dps-resource.md @@ -0,0 +1,29 @@ +# odps resource + +> ODPS(Open Data Processing Service)에서 리소스를 관리. +> 같이 보기: `odps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프로젝트의 리소스 표시: + +`list resources;` + +- 파일 리소스 추가: + +`add file {{파일명}} as {{별칭}};` + +- 아카이브 리소스 추가: + +`add archive {{아카이브.tar.gz}} as {{별칭}};` + +- .jar 리소스 추가: + +`add jar {{패키지.jar}};` + +- .py 리소스 추가: + +`add py {{스크립트.py}};` + +- 리소스 삭제: + +`drop resource {{리소스_이름}};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dps-table.md b/pages.ko/common/odps-tabl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12811e67d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dps-table.md @@ -0,0 +1,25 @@ +# odps table + +> ODPS(Open Data Processing Service)에서 테이블을 생성하고 수정. +> 같이 보기: `odps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파티션과 수명 주기가 있는 테이블 생성: + +`create table {{테이블_이름}} ({{열}} {{타입}}) partitioned by ({{열}} {{타입}}) lifecycle {{일수}};` + +- 다른 테이블의 정의를 기반으로 테이블 생성: + +`create table {{테이블_이름}} like {{다른_테이블}};` + +- 테이블에 파티션 추가: + +`alter table {{테이블_이름}} add partition ({{파티션_명세}});` + +- 테이블에서 파티션 삭제: + +`alter table {{테이블_이름}} drop partition ({{파티션_명세}});` + +- 테이블 삭제: + +`drop table {{테이블_이름}};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dps-tunnel.md b/pages.ko/common/odps-tunnel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eb8d627122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dps-tunnel.md @@ -0,0 +1,21 @@ +# odps tunnel + +> ODPS(Open Data Processing Service)에서의 데이터 터널. +> 같이 보기: `odps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테이블을 로컬 파일로 다운로드: + +`tunnel download {{테이블_이름}} {{경로/대상/파일}};` + +- 로컬 파일을 테이블 파티션에 업로드: + +`tunnel upload {{경로/대상/파일}} {{테이블_이름}}/{{파티션_사양}};` + +- 필드 및 레코드 구분자를 지정하여 테이블 업로드: + +`tunnel upload {{경로/대상/파일}} {{테이블_이름}} -fd {{필드_구분자}} -rd {{레코드_구분자}};` + +- 여러 스레드를 사용하여 테이블 업로드: + +`tunnel upload {{경로/대상/파일}} {{테이블_이름}} -threads {{스레드_수}};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dps.md b/pages.ko/common/odps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ebe07a81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dps.md @@ -0,0 +1,29 @@ +# odps + +> Aliyun ODPS (Open Data Processing Service) 명령줄 도구. +> `inst`와 같은 일부 하위 명령에는 자체 사용 설명서가 있습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사용자 지정 구성 파일로 명령줄 시작: + +`odpscmd --config={{odps_config.ini}}` + +- 현재 프로젝트 변경: + +`use {{프로젝트_이름}};` + +- 현재 프로젝트의 테이블 표시: + +`show tables;` + +- 테이블 설명: + +`desc {{테이블_이름}};` + +- 테이블 파티션 표시: + +`show partitions {{테이블_이름}};` + +- 파티션 설명: + +`desc {{테이블_이름}} partition ({{파티션_명세}});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fflineimap.md b/pages.ko/common/offlineima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c07a6963e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fflineimap.md @@ -0,0 +1,16 @@ +# offlineimap + +> 원격 IMAP 서버를 로컬 Maildir 폴더와 동기화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자동 새로 고침 없이 한 번 동기화: + +`offlineimap -o` + +- 특정 계정 동기화: + +`offlineimap -a {{계정}}` + +- 특정 폴더 동기화: + +`offlineimap -f {{폴더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gr2ogr.md b/pages.ko/common/ogr2og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ac2727f96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gr2ogr.md @@ -0,0 +1,28 @@ +# ogr2ogr + +> 지리공간 벡터 데이터를 파일 형식 간에 변환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쉐이프파일을 지오패키지로 변환: + +`ogr2ogr -f GPKG {{경로/대상/출력.gpkg}} {{경로/대상/입력.shp}}` + +- 조건에 맞는 특징만 포함하도록 GeoJSON 축소: + +`ogr2ogr -where '{{myProperty > 42}}' -f {{GeoJSON}} {{경로/대상/출력.geojson}} {{경로/대상/입력.geojson}}` + +- 지오패키지의 좌표 참조 시스템을 `EPSG:4326`에서 `EPSG:3857`로 변경: + +`ogr2ogr -s_srs {{EPSG:4326}} -t_srs {{EPSG:3857}} -f GPKG {{경로/대상/출력.gpkg}} {{경로/대상/입력.gpkg}}` + +- CSV 파일을 지오패키지로 변환하며 좌표 열의 이름을 지정하고 좌표 참조 시스템 할당: + +`ogr2ogr -f GPKG {{경로/대상/출력.gpkg}} {{경로/대상/입력.csv}} -oo X_POSSIBLE_NAMES={{경도}} -oo Y_POSSIBLE_NAMES={{위도}} -a_srs {{EPSG:4326}}` + +- 지오패키지를 PostGIS 데이터베이스로 로드: + +`ogr2ogr -f PostgreSQL PG:dbname="{{데이터베이스_이름}}" {{경로/대상/입력.gpkg}}` + +- 주어진 경계 상자로 지오패키지 파일의 레이어를 자르기: + +`ogr2ogr -spat {{최소_x}} {{최소_y}} {{최대_x}} {{최대_y}} -f GPKG {{경로/대상/출력.gpkg}} {{경로/대상/입력.gpkg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grinfo.md b/pages.ko/common/ogrinfo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97df9841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grinfo.md @@ -0,0 +1,32 @@ +# ogrinfo + +> OGR 지원 데이터 소스에 대한 정보를 나열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지원되는 형식 나열: + +`ogrinfo --formats` + +- 데이터 소스의 레이어 나열: + +`ogrinfo {{경로/대상/입력.gpkg}}` + +- 데이터 소스의 특정 레이어에 대한 자세한 정보 얻기: + +`ogrinfo {{경로/대상/입력.gpkg}} {{레이어_이름}}` + +- 데이터 소스의 특정 레이어에 대한 요약 정보 표시: + +`ogrinfo -so {{경로/대상/입력.gpkg}} {{레이어_이름}}` + +- 데이터 소스의 모든 레이어 요약 정보 표시: + +`ogrinfo -so -al {{경로/대상/입력.gpkg}}` + +- 조건에 맞는 피처의 자세한 정보 표시: + +`ogrinfo -where '{{속성_이름 > 42}}' {{경로/대상/입력.gpkg}} {{레이어_이름}}` + +- SQL을 사용하여 데이터 소스의 레이어 업데이트: + +`ogrinfo {{경로/대상/입력.geojson}} -dialect SQLite -sql "{{UPDATE input SET attribute_name = 'foo'}}"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grmerge.py.md b/pages.ko/common/ogrmerge.py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89c13f1e0e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grmerge.py.md @@ -0,0 +1,16 @@ +# ogrmerge.py + +> 여러 벡터 데이터셋을 하나로 병합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각 입력 셰이프파일에 대해 레이어가 포함된 GeoPackage 생성: + +`ogrmerge.py -f {{GPKG}} -o {{경로/대상/출력.gpkg}} {{경로/대상/입력1.shp 경로/대상/입력2.shp ...}}` + +- 각 입력 GeoJSON에 대해 레이어가 포함된 가상 데이터 소스(VRT) 생성: + +`ogrmerge.py -f {{VRT}} -o {{경로/대상/출력.vrt}} {{경로/대상/입력1.geojson 경로/대상/입력2.geojson ...}}` + +- 두 벡터 데이터셋을 연결하고 속성 'source_name'에 데이터셋의 소스 이름 저장: + +`ogrmerge.py -single -f {{GeoJSON}} -o {{경로/대상/출력.geojson}} -src_layer_field_name country {{소스_이름}} {{경로/대상/입력1.shp 경로/대상/입력2.shp ...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hdear-cli.md b/pages.ko/common/ohdear-cli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6029673d1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hdear-cli.md @@ -0,0 +1,20 @@ +# ohdear-cli + +> Laravel Zero로 작성된 비공식 Oh Dear CLI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세부 정보 표시: + +`ohdear-cli me` + +- Oh Dear에 새 사이트 추가: + +`ohdear-cli sites:add {{url}}` + +- 사이트 목록과 현재 상태 표시: + +`ohdear-cli sites:list` + +- 특정 사이트에 대한 세부 정보 표시: + +`ohdear-cli sites:show {{사이트_id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kular.md b/pages.ko/common/okula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7803addf5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kular.md @@ -0,0 +1,28 @@ +# okular + +> 문서 보기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문서 뷰어 시작: + +`okular` + +- 특정 문서 열기: + +`okular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 + +- 특정 페이지에서 문서 열기: + +`okular --page {{페이지_번호}}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특정 문서를 프레젠테이션 모드에서 열기: + +`okular --presentation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특정 문서를 열고 인쇄 대화상자 시작: + +`okular --print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문서를 열고 특정 문자열 검색: + +`okular --find {{검색_문자열}} {{경로/대상/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llama.md b/pages.ko/common/ollama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a6e56cf905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llama.md @@ -0,0 +1,37 @@ +# ollama + +> 대규모 언어 모델 실행기. +> 사용 가능한 모델 목록은 를 참조하세요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다른 명령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데몬 시작: + +`ollama serve` + +- 모델을 실행하고 대화: + +`ollama run {{모델}}` + +- 단일 프롬프트로 모델 실행: + +`ollama run {{모델}} {{프롬프트}}` + +- 다운로드된 모델 나열: + +`ollama list` + +- 특정 모델 가져오기/업데이트: + +`ollama pull {{모델}}` + +- 실행 중인 모델 나열: + +`ollama ps` + +- 모델 삭제: + +`ollama rm {{모델}}` + +- `Modelfile`로부터 모델 생성: + +`ollama create {{새_모델_이름}} -f {{경로/대상/Modelfile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mf.md b/pages.ko/common/omf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93355d956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mf.md @@ -0,0 +1,29 @@ +# omf + +> Oh My Fish, Fishshell 프레임워크. +> fish 셸을 확장하고 수정하기 위한 패키지 설치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하나 이상의 패키지 설치: + +`omf install {{이름}}` + +- 설치된 패키지 나열: + +`omf list` + +- 사용 가능한 테마 나열: + +`omf theme` + +- 테마 적용: + +`omf theme {{이름}}` + +- 테마 또는 패키지 제거: + +`omf remove {{이름}}` + +- Oh My Fish 제거: + +`omf destroy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mz.md b/pages.ko/common/omz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2faf8e8681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mz.md @@ -0,0 +1,32 @@ +# omz + +> Oh My Zsh 명령줄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Oh My Zsh 업데이트: + +`omz update` + +- 최신 업데이트에서 변경된 사항 출력: + +`omz changelog` + +- 현재 Zsh 세션과 Oh My Zsh 다시 시작: + +`omz reload` + +- 사용 가능한 모든 플러그인 나열: + +`omz plugin list` + +- Oh My Zsh 플러그인 활성화/비활성화: + +`omz plugin {{enable|disable}} {{플러그인}}` + +- 사용 가능한 모든 테마 나열: + +`omz theme list` + +- `~/.zshrc`에서 Oh My Zsh 테마 설정: + +`omz theme set {{테마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nefetch.md b/pages.ko/common/onefetch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ae402b8ed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nefetch.md @@ -0,0 +1,36 @@ +# onefetch + +> 로컬 Git 저장소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 및 코드 통계를 표시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Git 저장소에 대한 통계 표시: + +`onefetch` + +- 지정된 디렉토리의 Git 저장소에 대한 통계 표시: + +`onefetch {{경로/대상/폴더}}` + +- 봇에 의해 만들어진 커밋 무시: + +`onefetch --no-bots` + +- 병합 커밋 무시: + +`onefetch --no-merges` + +- 언어 로고의 ASCII 아트를 출력하지 않음: + +`onefetch --no-art` + +- `n`명의 작성자, 언어 또는 파일 변경량을 표시 (기본값: 각각 3, 6, 3): + +`onefetch --number-of-{{authors|languages|file-churns}} {{n}}` + +- 지정된 파일 및 디렉토리 무시: + +`onefetch {{-e|--exclude}}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|정규식}}` + +- 지정된 범주에서만 언어 감지 (기본값: 프로그래밍 및 마크업): + +`onefetch {{-T|--type}} {{programming|markup|prose|data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nionsearch.md b/pages.ko/common/onionsearch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2e1bde6be5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nionsearch.md @@ -0,0 +1,25 @@ +# onionsearch + +> 다양한 `.onion` 검색 엔진에서 URL을 스크랩. +> 참고: `onionsearch`는 `localhost:9050`에서 실행되는 Tor 프록시가 필요하며, `.onion` 웹사이트를 방문하려면 Tor 지원 브라우저가 필요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모든 검색 엔진에서 결과 요청: + +`onionsearch "{{문자열}}"` + +- 특정 검색 엔진에서 검색 결과 요청: + +`onionsearch "{{문자열}}" --engines {{tor66 deeplink phobos ...}}` + +- 검색 시 특정 검색 엔진 제외: + +`onionsearch "{{문자열}}" --exclude {{candle ahmia ...}}` + +- 엔진당 로드할 페이지 수 제한: + +`onionsearch "{{stuxnet}}" --engines {{tor66 deeplink phobos ...}} --limit {{3}}` + +- 지원되는 모든 검색 엔진 나열: + +`onionsearch --help | grep -A1 -i "supported engines"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oniprobe.md b/pages.ko/common/ooniprob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b8b16aeb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oniprobe.md @@ -0,0 +1,33 @@ +# ooniprobe + +> 네트워크 간섭의 열린 관측소 (OONI). +> 웹사이트 및 앱 차단 여부를 테스트하세요. 네트워크의 속도 및 성능을 측정하세요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수행된 모든 테스트 나열: + +`ooniprobe list` + +- 특정 테스트에 대한 정보 표시: + +`ooniprobe list {{7}}` + +- 사용 가능한 모든 테스트 실행: + +`ooniprobe run all` + +- 특정 테스트 수행: + +`ooniprobe run {{performance}}` + +- 특정 웹사이트의 가용성 확인: + +`ooniprobe run websites --input {{https://ooni.org/}}` + +- 파일에 나열된 모든 웹사이트의 가용성 확인: + +`ooniprobe run websites --input-file {{경로/대상/my-websites.txt}}` + +- JSON 형식으로 테스트에 대한 자세한 정보 표시: + +`ooniprobe show {{9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p.md b/pages.ko/common/op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acbc374029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p.md @@ -0,0 +1,36 @@ +# op + +> 1Password의 데스크탑 앱을 위한 공식 CLI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1Password 계정에 로그인: + +`op signin` + +- 모든 금고 나열: + +`op vault list` + +- 항목 세부 정보를 JSON 형식으로 출력: + +`op item get {{항목_이름}} --format json` + +- 기본 금고에 카테고리를 지정하여 새 항목 생성: + +`op item create --category {{카테고리_이름}}` + +- 참조된 비밀을 `stdout`에 출력: + +`op read {{비밀_참조}}` + +- 내보낸 환경 변수에서 비밀 참조를 명령에 전달: + +`op run -- {{명령}}` + +- 환경 파일에서 비밀 참조를 명령에 전달: + +`op run --env-file {{경로/대상/환경_파일.env}} -- {{명령}}` + +- 파일에서 비밀 참조를 읽어 일반 텍스트 비밀을 파일에 저장: + +`op inject --in-file {{경로/대상/입력_파일}} --out-file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pam.md b/pages.ko/common/opam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566f356d8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pam.md @@ -0,0 +1,37 @@ +# opam + +> OCaml 패키지 관리자. +> OCaml 컴파일러, 도구 및 라이브러리를 관리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첫 사용을 위한 opam 초기화: + +`opam init` + +- 패키지 검색: + +`opam search {{쿼리}}` + +- 패키지 및 모든 의존성 설치: + +`opam install {{패키지}}` + +- 패키지에 대한 자세한 정보 표시: + +`opam show {{패키지}}` + +- 설치된 모든 패키지 나열: + +`opam list` + +- 로컬 패키지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: + +`opam update` + +- 설치된 모든 패키지 업그레이드: + +`opam upgrade` + +- 도움말 표시: + +`opam help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pen.fish.md b/pages.ko/common/open.fish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b16e100c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pen.fish.md @@ -0,0 +1,25 @@ +# open + +> 파일, 디렉토리 및 URI를 기본 애플리케이션으로 엽니다. +> 이 명령은 내장 `open` 명령이 없는 운영 체제(예: Haiku 및 macOS)에서 fish를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관련 애플리케이션으로 파일 열기: + +`open {{경로/대상/파일.ext}}` + +- 현재 디렉토리에서 주어진 확장자를 가진 모든 파일을 관련 애플리케이션으로 열기: + +`open {{*.ext}}` + +- 기본 파일 관리자로 디렉토리 열기: + +`open {{경로/대상/폴더}}` + +- 기본 웹 브라우저로 웹사이트 열기: + +`open {{https://example.com}}` + +- 처리할 수 있는 기본 애플리케이션으로 특정 URI 열기: + +`open {{tel:123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pen.md b/pages.ko/common/ope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d88ea5b7a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pen.md @@ -0,0 +1,11 @@ +# open + +> `open`은 동일한 이름을 가진 여러 명령을 지칭할 수 있습니다. + +- macOS에서 사용 가능한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open -p osx` + +- fish를 통해 사용 가능한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open.fish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penai.md b/pages.ko/common/openai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be8a5ecc0a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penai.md @@ -0,0 +1,20 @@ +# openai + +> OpenAI API에 접근할 수 있는 CLI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모델 나열: + +`openai api models.list` + +- 완료 생성: + +`openai api completions.create --model {{ada}} --prompt {{"Hello world"}}` + +- 채팅 완료 생성: + +`openai api chat_completions.create --model {{gpt-3.5-turbo}} --message {{user "Hello world"}}` + +- DALL·E API를 통해 이미지 생성: + +`openai api image.create --prompt {{"two dogs playing chess, cartoon"}} --num-images {{1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penconnect.md b/pages.ko/common/openconnec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11df7c72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penconnect.md @@ -0,0 +1,24 @@ +# openconnect + +> Cisco AnyConnect VPN 및 기타 VPN을 위한 VPN 클라이언트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서버에 연결: + +`openconnect {{vpn.example.org}}` + +-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도록 서버에 연결: + +`openconnect --background {{vpn.example.org}}` + +-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연결 종료: + +`killall -SIGINT openconnect` + +- 설정 파일에서 옵션을 읽어 서버에 연결: + +`openconnect --config={{경로/대상/파일}} {{vpn.example.org}}` + +- 특정 SSL 클라이언트 인증서로 인증하여 서버에 연결: + +`openconnect --certificate={{경로/대상/파일}} {{vpn.example.org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penscad.md b/pages.ko/common/opensca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7445c72a72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penscad.md @@ -0,0 +1,16 @@ +# openscad + +> 솔리드 3D CAD 객체를 생성하는 소프트웨어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파일 열기: + +`openscad {{경로/대상/button.scad}}` + +- 파일을 STL로 변환: + +`openscad -o {{경로/대상/button.stl}} {{경로/대상/button.scad}}` + +- 특정 색 구성표로 파일을 PNG로 렌더링: + +`openscad -o {{경로/대상/button.png}} --colorscheme {{Sunset}} {{경로/대상/button.scad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penttd.md b/pages.ko/common/opentt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b56c058fa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penttd.md @@ -0,0 +1,32 @@ +# openttd + +> Microprose 게임 "Transport Tycoon Deluxe"의 오픈 소스 클론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새 게임 시작: + +`openttd -g` + +- 시작 시 저장된 게임 불러오기: + +`openttd -g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지정된 창 해상도로 시작: + +`openttd -r {{1920x1080}}` + +- 사용자 정의 구성 파일로 시작: + +`openttd -c {{경로/대상/파일}}` + +- 선택된 비디오, 사운드, 음악 드라이버로 시작: + +`openttd -v {{비디오_드라이버}} -s {{사운드_드라이버}} -m {{음악_드라이버}}` + +- 백그라운드에서 포크된 전용 서버 시작: + +`openttd -f -D {{호스트}}:{{포트}}` + +- 비밀번호로 서버 참가: + +`openttd -n {{호스트}}:{{포트}}#{{플레이어_이름}} -p {{비밀번호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penvpn.md b/pages.ko/common/openvpn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2253ce57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penvpn.md @@ -0,0 +1,28 @@ +# openvpn + +> OpenVPN 클라이언트 및 데몬 바이너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구성 파일을 사용하여 서버에 연결: + +`sudo openvpn {{경로/대상/클라이언트.conf}}` + +- bob.example.com 호스트에서 안전하지 않은 피어-투-피어 터널 설정 시도: + +`sudo openvpn --remote {{alice.example.com}} --dev {{tun1}} --ifconfig {{10.4.0.1}} {{10.4.0.2}}` + +- 암호화 없이 대기 중인 bob.example.com 호스트에 연결: + +`sudo openvpn --remote {{bob.example.com}} --dev {{tun1}} --ifconfig {{10.4.0.2}} {{10.4.0.1}}` + +- 암호화 키를 생성하고 파일에 저장: + +`openvpn --genkey secret {{경로/대상/키}}` + +- 고정 키를 사용하여 bob.example.com 호스트에서 피어-투-피어 터널 설정 시도: + +`sudo openvpn --remote {{alice.example.com}} --dev {{tun1}} --ifconfig {{10.4.0.1}} {{10.4.0.2}} --secret {{경로/대상/키}}` + +- bob.example.com에서 사용된 동일한 고정 키로 대기 중인 bob.example.com 호스트에 연결: + +`sudo openvpn --remote {{bob.example.com}} --dev {{tun1}} --ifconfig {{10.4.0.2}} {{10.4.0.1}} --secret {{경로/대상/키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pera.md b/pages.ko/common/opera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113e55a2b6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pera.md @@ -0,0 +1,8 @@ +# opera + +> 이 명령은 `chromium`의 별칭입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원본 명령에 대한 문서 보기: + +`tldr chromium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pt.md b/pages.ko/common/op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a5a6f0d9d3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pt.md @@ -0,0 +1,16 @@ +# opt + +> LLVM 소스 파일을 최적화하고 분석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비트코드 파일에 최적화 또는 분석 실행: + +`opt -{{패스명}} {{경로/대상/파일.bc}} -S -o {{파일_opt.bc}}` + +- 함수의 제어 흐름 그래프를 `.dot` 파일로 출력: + +`opt {{-dot-cfg}} -S {{경로/대상/파일.bc}} -disable-output` + +- 프로그램을 2단계로 최적화하고 결과를 다른 파일로 출력: + +`opt -O2 {{경로/대상/파일.bc}} -S -o {{경로/대상/출력_파일.bc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ptipng.md b/pages.ko/common/optipng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384423864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ptipng.md @@ -0,0 +1,28 @@ +# optipng + +> PNG 파일 최적화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기본 설정으로 PNG 압축: + +`optipng {{경로/대상/파일.png}}` + +- 최상의 압축으로 PNG 압축: + +`optipng -o{{7}} {{경로/대상/파일.png}}` + +- 가장 빠른 압축으로 PNG 압축: + +`optipng -o{{0}} {{경로/대상/파일.png}}` + +- PNG를 압축하고 인터레이싱 추가: + +`optipng -i {{1}} {{경로/대상/파일.png}}` + +- PNG를 압축하고 모든 메타데이터(파일 타임스탬프 포함) 보존: + +`optipng -preserve {{경로/대상/파일.png}}` + +- PNG를 압축하고 모든 메타데이터 제거: + +`optipng -strip all {{경로/대상/파일.png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pusenc.md b/pages.ko/common/opusenc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4a429c0881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pusenc.md @@ -0,0 +1,20 @@ +# opusenc + +> WAV 또는 FLAC 오디오를 Opus로 변환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기본 옵션을 사용하여 WAV를 Opus로 변환: + +`opusenc {{경로/대상/입력.wav}} {{경로/대상/출력.opus}}` + +- 스테레오 오디오를 최고 품질 수준으로 변환: + +`opusenc --bitrate {{512}} {{경로/대상/입력.wav}} {{경로/대상/출력.opus}}` + +- 5.1 서라운드 사운드 오디오를 최고 품질 수준으로 변환: + +`opusenc --bitrate {{1536}} {{경로/대상/입력.flac}} {{경로/대상/출력.opus}}` + +- 음성 오디오를 최저 품질 수준으로 변환: + +`opusenc {{경로/대상/입력.wav}} --downmix-mono --bitrate {{6}} {{경로/대상/출력.opus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rca-c.md b/pages.ko/common/orca-c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ba122b0209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rca-c.md @@ -0,0 +1,37 @@ +# orca-c + +> ORCA 라이브 프로그래밍 환경의 C 포트. +> ORCA는 절차적 시퀀서를 생성하기 위한 난해한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빈 작업 공간으로 ORCA 시작: + +`orca-c` + +- 특정 파일을 열며 ORCA 시작: + +`orca-c {{경로/대상/파일.orca}}` + +- 특정 템포로 ORCA 시작 (기본값은 120): + +`orca-c --bpm {{분당_비트수}}` + +- 그리드 크기를 설정하여 ORCA 시작: + +`orca-c --initial-size {{열}}x{{행}}` + +- 최대 실행 취소 단계 수를 설정하여 ORCA 시작 (기본값은 100): + +`orca-c --undo-limit {{제한}}` + +- ORCA 내부에서 메인 메뉴 표시: + +`F1` + +- ORCA 내부에서 모든 단축키 표시: + +`?` + +- ORCA 내부에서 모든 ORCA 연산자 표시: + +` + g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sage.md b/pages.ko/common/osag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a23cefb79f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sage.md @@ -0,0 +1,25 @@ +# osage + +> `graphviz` 파일에서 `clustered` 네트워크 그래프 이미지를 렌더링. +> 레이아웃: `dot`, `neato`, `twopi`, `circo`, `fdp`, `sfdp`, `osage` 및 `patchwork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입력 파일 이름과 출력 형식에 기반하여 파일 이름이 정해진 PNG 이미지 렌더링 (대문자 -O): + +`osage -T {{png}} -O {{경로/대상/입력.gv}}` + +- 지정된 출력 파일 이름으로 SVG 이미지 렌더링 (소문자 -o): + +`osage -T {{svg}} -o {{경로/대상/이미지.svg}} {{경로/대상/입력.gv}}` + +- PS, PDF, SVG, Fig, PNG, GIF, JPEG, JSON, 또는 DOT 형식으로 출력 렌더링: + +`osage -T {{형식}} -O {{경로/대상/입력.gv}}` + +- `stdin`과 `stdout`을 사용하여 GIF 이미지 렌더링: + +`echo "{{digraph {this -> that} }}" | osage -T {{gif}} > {{경로/대상/이미지.gif}}` + +- 도움말 표시: + +`osage -?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smium.md b/pages.ko/common/osmium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330bba58b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smium.md @@ -0,0 +1,36 @@ +# osmium + +> OpenStreetMap (OSM) 파일을 처리하는 다목적 도구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파일 정보 표시: + +`osmium fileinfo {{경로/대상/입력.osm}}` + +- 내용 표시: + +`osmium show {{경로/대상/입력.osm}}` + +- 파일 형식을 PBF에서 XML로 변환: + +`osmium cat {{경로/대상/입력.osm.pbf}} -o {{경로/대상/출력.osm}}` + +- 주어진 경계 상자에 의해 지리적 영역 추출: + +`osmium extract -b {{최소_경도}},{{최소_위도}},{{최대_경도}},{{최대_위도}} {{경로/대상/입력.pbf}} -o {{경로/대상/출력.pbf}}` + +- GeoJSON 파일에 의해 지리적 영역 추출: + +`osmium extract -p {{경로/대상/다각형.geojson}} {{경로/대상/입력.pbf}} -o {{경로/대상/출력.pbf}}` + +- "restaurant"으로 태그된 모든 객체 필터링: + +`osmium tags-filter {{경로/대상/입력.pbf}} amenity=restaurant -o {{경로/대상/출력.pbf}}` + +- "highway"로 태그된 "way" 객체 필터링: + +`osmium tags-filter {{경로/대상/입력.pbf}} w/highway -o {{경로/대상/출력.pbf}}` + +- "building"으로 태그된 "way" 및 "relation" 객체 필터링: + +`osmium tags-filter {{경로/대상/입력.pbf}} wr/building -o {{경로/대상/출력.pbf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sv-scanner.md b/pages.ko/common/osv-scanne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c62aa4b5a5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sv-scanner.md @@ -0,0 +1,28 @@ +# osv-scanner + +> 다양한 매체에서 의존성을 스캔하고 OSV 데이터베이스와 대조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Docker 이미지를 스캔: + +`osv-scanner -D {{도커_이미지_이름}}` + +- 패키지 잠금 파일을 스캔: + +`osv-scanner -L {{경로/대상/잠금파일}}` + +- SBOM 파일을 스캔: + +`osv-scanner -S {{경로/대상/sbom_파일}}` + +- 여러 디렉토리를 재귀적으로 스캔: + +`osv-scanner -r {{디렉토리1 디렉토리2 ...}}` + +- Git 저장소 스캔 건너뛰기: + +`osv-scanner --skip-git {{-r|-D}} {{대상}}` + +- 결과를 JSON 형식으로 출력: + +`osv-scanner --json {{-D|-L|-S|-r}} {{대상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uch.md b/pages.ko/common/ouch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f491955164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uch.md @@ -0,0 +1,20 @@ +# ouch + +> 파일 및 디렉터리를 압축하고 해제하는 명령줄 유틸리티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파일 압축 해제: + +`ouch decompress {{경로/대상/아카이브.tar.xz}}` + +- 특정 위치에 파일 압축 해제: + +`ouch decompress {{경로/대상/아카이브.tar.xz}} --dir {{경로/대상/폴더}}` + +- 여러 파일 압축 해제: + +`ouch decompress {{경로/대상/아카이브1.tar 경로/대상/아카이브2.tar.gz ...}}` + +- 파일 압축: + +`ouch compress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 {{경로/대상/아카이브.zip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oxipng.md b/pages.ko/common/oxipng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bc8c4869d1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oxipng.md @@ -0,0 +1,36 @@ +# oxipng + +> PNG 파일의 압축을 무손실로 개선합니다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PNG 파일 압축 (기본적으로 파일을 덮어씀): + +`oxipng {{경로/대상/파일.png}}` + +- PNG 파일을 압축하고 출력 파일을 새 파일로 저장: + +`oxipng --out {{경로/대상/출력.png}} {{경로/대상/파일.png}}` + +-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PNG 파일을 다중 스레드를 사용하여 압축: + +`oxipng "*.png"` + +- 설정된 최적화 레벨로 파일 압축 (기본값은 2): + +`oxipng --opt {{0|1|2|3|4|5|6|max}} {{경로/대상/파일.png}}` + +- PNG 인터레이싱 유형 설정 (`0`은 인터레이싱 제거, `1`은 Adam7 인터레이싱 적용, `keep`은 기존 인터레이싱 유지; 기본값은 `0`): + +`oxipng --interlace {{0|1|keep}} {{경로/대상/파일.png}}` + +- 알파 채널이 있는 이미지에 추가 최적화 수행: + +`oxipng --alpha {{경로/대상/파일.png}}` + +- 더 느리지만 강력한 Zopfli 압축기를 최대 최적화로 사용: + +`oxipng --zopfli --opt max {{경로/대상/파일.png}}` + +- 모든 비중요 메타데이터 청크 제거: + +`oxipng --strip all {{경로/대상/파일.png}}`