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
0
Fork 0
mirror of https://github.com/tldr-pages/tldr.git synced 2025-09-05 14:33:35 +02:00

kubectl-*: refresh Korean pages (#17805)

This commit is contained in:
Nelson Figueroa 2025-08-26 02:05:37 -07:00 committed by GitHub
parent e4d26e5a2f
commit 745747d709
No known key found for this signature in database
GPG key ID: B5690EEEBB952194
10 changed files with 27 additions and 27 deletions

View file

@ -6,16 +6,16 @@
- 파일 이름이나 `stdin`으로 리소스에 설정 적용: - 파일 이름이나 `stdin`으로 리소스에 설정 적용:
`kubectl apply -f {{리소스_파일명}}` `kubectl apply {{[-f|--filename]}} {{리소스_파일명}}`
- 기본 편집기를 사용하여 리소스의 최신 마지막 적용 구성 주석 수정: - 기본 편집기를 사용하여 리소스의 최신 마지막 적용 구성 주석 수정:
`kubectl apply edit-last-applied -f {{리소스_파일명}}` `kubectl apply edit-last-applied {{[-f|--filename]}} {{리소스_파일명}}`
- 파일 내용과 일치하도록 설정하여 최신 마지막 적용 구성 주석 설정: - 파일 내용과 일치하도록 설정하여 최신 마지막 적용 구성 주석 설정:
`kubectl apply set-last-applied -f {{리소스_파일명}}` `kubectl apply set-last-applied {{[-f|--filename]}} {{리소스_파일명}}`
- 유형/이름 또는 파일로 최신 마지막 적용 구성 주석 보기: - 유형/이름 또는 파일로 최신 마지막 적용 구성 주석 보기:
`kubectl apply view-last-applied -f {{리소스_파일명}}` `kubectl apply view-last-applied {{[-f|--filename]}} {{리소스_파일명}}`

View file

@ -5,11 +5,11 @@
- 리소스 정의 파일을 사용하여 리소스 생성: - 리소스 정의 파일을 사용하여 리소스 생성:
`kubectl create -f {{경로/대상/파일.yml}}` `kubectl create {{[-f|--filename]}} {{경로/대상/파일.yml}}`
- `stdin`에서 리소스 생성: - `stdin`에서 리소스 생성:
`kubectl create -f -` `kubectl create {{[-f|--filename]}} -`
- 배포 생성: - 배포 생성:

View file

@ -5,27 +5,27 @@
- 특정 포드 삭제: - 특정 포드 삭제:
`kubectl delete pod {{포드_이름}}` `kubectl delete {{[po|pod]}} {{포드_이름}}`
- 특정 배포 삭제: - 특정 배포 삭제:
`kubectl delete deployment {{배포_이름}}` `kubectl delete {{[deploy|deployment]}} {{배포_이름}}`
- 특정 노드 삭제: - 특정 노드 삭제:
`kubectl delete node {{노드_이름}}` `kubectl delete {{[no|node]}} {{노드_이름}}`
- 지정된 네임스페이스의 모든 포드 삭제: - 지정된 네임스페이스의 모든 포드 삭제:
`kubectl delete pods --all --namespace {{네임스페이스}}` `kubectl delete {{[po|pods]}} --all --namespace {{네임스페이스}}`
- 지정된 네임스페이스의 모든 배포 및 서비스 삭제: - 지정된 네임스페이스의 모든 배포 및 서비스 삭제:
`kubectl delete deployments,services --all --namespace {{네임스페이스}}` `kubectl delete {{[deploy|deployment]}},{{[svc|services]}} --all --namespace {{네임스페이스}}`
- 모든 노드 삭제: - 모든 노드 삭제:
`kubectl delete nodes --all` `kubectl delete {{[no|nodes]}} --all`
- YAML 매니페스트에 정의된 리소스 삭제: - YAML 매니페스트에 정의된 리소스 삭제:

View file

@ -5,19 +5,19 @@
- [n]amespace의 포드 세부 정보 표시: - [n]amespace의 포드 세부 정보 표시:
`kubectl describe pods {{[-n|--namespace]}} {{네임스페이스}}` `kubectl describe {{[po|pods]}} {{[-n|--namespace]}} {{네임스페이스}}`
- [n]amespace의 노드 세부 정보 표시: - [n]amespace의 노드 세부 정보 표시:
`kubectl describe nodes {{[-n|--namespace]}} {{네임스페이스}}` `kubectl describe {{[no|nodes]}} {{[-n|--namespace]}} {{네임스페이스}}`
- [n]amespace의 특정 포드 세부 정보 표시: - [n]amespace의 특정 포드 세부 정보 표시:
`kubectl describe pods {{포드_이름}} {{[-n|--namespace]}} {{네임스페이스}}` `kubectl describe {{[po|pods]}} {{포드_이름}} {{[-n|--namespace]}} {{네임스페이스}}`
- [n]amespace의 특정 노드 세부 정보 표시: - [n]amespace의 특정 노드 세부 정보 표시:
`kubectl describe nodes {{노드_이름}} {{[-n|--namespace]}} {{네임스페이스}}` `kubectl describe {{[no|nodes]}} {{노드_이름}} {{[-n|--namespace]}} {{네임스페이스}}`
- YAML 매니페스트 [f]ile에 정의된 Kubernetes 객체의 세부 정보 표시: - YAML 매니페스트 [f]ile에 정의된 Kubernetes 객체의 세부 정보 표시:

View file

@ -9,7 +9,7 @@
- 파일로 식별된 리소스에 대한 서비스 생성: - 파일로 식별된 리소스에 대한 서비스 생성:
`kubectl expose -f {{경로/대상/파일.yml}} --port={{노드_포트}} --target-port={{컨테이너_포트}}` `kubectl expose {{[-f|--filename]}} {{경로/대상/파일.yml}} --port={{노드_포트}} --target-port={{컨테이너_포트}}`
- 컨테이너 포트와 동일한 노드 포트로 제공할 이름이 있는 서비스 생성: - 컨테이너 포트와 동일한 노드 포트로 제공할 이름이 있는 서비스 생성:

View file

@ -17,7 +17,7 @@
- 포드 정의 파일로 식별된 포드에 레이블 지정: - 포드 정의 파일로 식별된 포드에 레이블 지정:
`kubectl label -f {{포드_정의_파일}} {{키}}={{값}}` `kubectl label {{[-f|--filename]}} {{포드_정의_파일}} {{키}}={{값}}`
- 포드에서 레이블 제거: - 포드에서 레이블 제거:

View file

@ -9,7 +9,7 @@
- 특정 컨테이너의 로그 조회: - 특정 컨테이너의 로그 조회:
`kubectl logs --container {{컨테이너_이름}} {{포드_이름}}` `kubectl logs {{[-c|--container]}} {{컨테이너_이름}} {{포드_이름}}`
- 포드 내 모든 컨테이너의 로그 조회: - 포드 내 모든 컨테이너의 로그 조회:
@ -17,7 +17,7 @@
- 포드 로그 스트리밍: - 포드 로그 스트리밍:
`kubectl logs --follow {{포드_이름}}` `kubectl logs {{[-f|--follow]}} {{포드_이름}}`
- `10s`, `5m` 또는 `1h`와 같은 상대 시간 이후의 포드 로그 조회: - `10s`, `5m` 또는 `1h`와 같은 상대 시간 이후의 포드 로그 조회:

View file

@ -5,12 +5,12 @@
- 리소스 정의 파일을 사용하여 리소스 교체: - 리소스 정의 파일을 사용하여 리소스 교체:
`kubectl replace -f {{경로/대상/파일.yml}}` `kubectl replace {{[-f|--filename]}} {{경로/대상/파일.yml}}`
- `stdin`으로 전달된 입력을 사용하여 리소스 교체: - `stdin`으로 전달된 입력을 사용하여 리소스 교체:
`kubectl replace -f -` `kubectl replace {{[-f|--filename]}} -`
- 강제로 교체: 리소스를 삭제한 후 다시 생성: - 강제로 교체: 리소스를 삭제한 후 다시 생성:
`kubectl replace --force -f {{경로/대상/파일.yml}}` `kubectl replace --force {{[-f|--filename]}} {{경로/대상/파일.yml}}`

View file

@ -9,7 +9,7 @@
- 파일로 식별된 리소스 크기 조정: - 파일로 식별된 리소스 크기 조정:
`kubectl scale --replicas={{레플리카_수}} -f {{경로/대상/파일.yml}}` `kubectl scale --replicas={{레플리카_수}} {{[-f|--filename]}} {{경로/대상/파일.yml}}`
- 현재 레플리카 수를 기준으로 배포 크기 조정: - 현재 레플리카 수를 기준으로 배포 크기 조정:

View file

@ -5,12 +5,12 @@
- 노드에 taint 적용: - 노드에 taint 적용:
`kubectl taint nodes {{노드_이름}} {{라벨_키}}={{라벨_값}}:{{효과}}` `kubectl taint {{[no|nodes]}} {{노드_이름}} {{라벨_키}}={{라벨_값}}:{{효과}}`
- 노드에서 taint 제거: - 노드에서 taint 제거:
`kubectl taint nodes {{노드_이름}} {{라벨_키}}:{{효과}}-` `kubectl taint {{[no|nodes]}} {{노드_이름}} {{라벨_키}}:{{효과}}-`
- 노드에서 모든 taint 제거: - 노드에서 모든 taint 제거:
`kubectl taint nodes {{노드_이름}} {{라벨_키}}-` `kubectl taint {{[no|nodes]}} {{노드_이름}} {{라벨_키}}-`