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irror of
https://github.com/tldr-pages/tldr.git
synced 2025-04-29 23:24:55 +02:00
gl*: add Korean translation (#14347)
This commit is contained in:
parent
5732e50f81
commit
8f861e49fa
15 changed files with 400 additions and 0 deletions
24
pages.ko/common/glab-alias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glab-alias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|||
|
# glab alias
|
||||||
|
|
||||||
|
> GitLab CLI 명령어 별칭을 관리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lab.readthedocs.io/en/latest/alias>.
|
||||||
|
|
||||||
|
- 하위 명령어 도움말을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alias`
|
||||||
|
|
||||||
|
- `glab`이 사용하도록 구성된 모든 별칭을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alias list`
|
||||||
|
|
||||||
|
- `glab` 하위 명령 별칭을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alias set {{mrv}} '{{mr view}}'`
|
||||||
|
|
||||||
|
- 쉘 명령을 `glab` 하위 명령으로 설정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alias set --shell {{alias_이름}} {{명령어}}`
|
||||||
|
|
||||||
|
- 명령 단축키 삭제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alias delete {{alias_이름}}`
|
20
pages.ko/common/glab-auth.md
Normal file
20
pages.ko/common/glab-auth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|||
|
# glab auth
|
||||||
|
|
||||||
|
> GitLab 호스트로 인증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lab.readthedocs.io/en/latest/auth>.
|
||||||
|
|
||||||
|
- 대화형 프롬프트로 로그인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auth login`
|
||||||
|
|
||||||
|
- 토큰으로 로그인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auth login --token {{토큰}}`
|
||||||
|
|
||||||
|
- 인증 상태 확인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auth status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GitLab 인스턴스에 로그인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auth login --hostname {{gitlab.example.com}}`
|
28
pages.ko/common/glab-issue.md
Normal file
28
pages.ko/common/glab-issu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|||
|
# glab issue
|
||||||
|
|
||||||
|
> GitLab 이슈 관리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lab.readthedocs.io/en/latest/issue>.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이슈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issue view {{이슈_번호}}`
|
||||||
|
|
||||||
|
- 기본 웹 브라우저에 특정 문제를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issue view {{이슈_번호}} --web`
|
||||||
|
|
||||||
|
- 기본 웹 브라우저에 새로운 이슈를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issue create --web`
|
||||||
|
|
||||||
|
- `bug` 라벨이 있는 최근 10개 문제를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issue list --per-page {{10}} --label "{{bug}}"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사용자가 작성한 닫힌 이슈를 나열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issue list --closed --author {{사용자명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이슈 다시 열기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issue reopen {{이슈_번호}}`
|
24
pages.ko/common/glab-mr-create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glab-mr-creat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|||
|
# glab mr create
|
||||||
|
|
||||||
|
> GitLab 병합 요청을 관리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lab.readthedocs.io/en/latest/mr/create.html>.
|
||||||
|
|
||||||
|
- 대화형으로 병합 요청을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mr create`
|
||||||
|
|
||||||
|
- 현재 브랜치의 커밋 메시지에서 제목과 설명을 결정하여 병합 요청을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mr create --fill`
|
||||||
|
|
||||||
|
- 초안 병합 요청을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mr create --draft`
|
||||||
|
|
||||||
|
- 대상 브랜치, 제목 및 설명을 지정하는 병합 요청을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mr create --target-branch {{대상_브랜치}} --title "{{제목}}" --description "{{설명}}"`
|
||||||
|
|
||||||
|
- 기본 웹 브라우저에서 병합 요청 열기를 시작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mr create --web`
|
24
pages.ko/common/glab-mr-merge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glab-mr-merg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|||
|
# glab mr merge
|
||||||
|
|
||||||
|
> GitLab 병합 요청을 관리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lab.readthedocs.io/en/latest/mr/merge.html>.
|
||||||
|
|
||||||
|
- 현재 브랜치와 관련된 병합 요청을 대화식으로 병합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mr merge`
|
||||||
|
|
||||||
|
- 지정된 병합 요청을 대화식으로 병합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mr merge {{mr_번호}}`
|
||||||
|
|
||||||
|
- 로컬과 원격 모두에서 브랜치를 제거하여 병합 요청을 병합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mr merge --remove-source-branch`
|
||||||
|
|
||||||
|
- 현재 병합 요청을 메시지 본문과 함께 하나의 커밋으로 스쿼시하고 병합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mr merge --squash --message="{{커밋_메시지_본체}}"`
|
||||||
|
|
||||||
|
- 도움말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mr merge --help`
|
33
pages.ko/common/glab-mr.md
Normal file
33
pages.ko/common/glab-mr.md
Normal file
|
@ -0,0 +1,33 @@
|
||||||
|
# glab mr
|
||||||
|
|
||||||
|
> GitLab 병합 요청을 관리.
|
||||||
|
> `create`와 같은 일부 하위 명령어에는 자체 사용법 문서가 있음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lab.readthedocs.io/en/latest/mr>.
|
||||||
|
|
||||||
|
- 병합 요청을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mr create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병합 요청을 로컬에서 확인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mr checkout {{mr_번호}}`
|
||||||
|
|
||||||
|
- 병합 요청의 변경 사항을 확인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mr diff`
|
||||||
|
|
||||||
|
- 현재 브랜치에 대한 병합 요청을 승인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mr approve`
|
||||||
|
|
||||||
|
- 현재 분기와 관련된 병합 요청을 대화형으로 병합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mr merge`
|
||||||
|
|
||||||
|
- 대화형으로 병합 요청을 편집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mr update`
|
||||||
|
|
||||||
|
- 병합 요청의 대상 브랜치를 편집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mr update --target-branch {{브랜치_이름}}`
|
24
pages.ko/common/glab-pipeline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glab-pipelin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|||
|
# glab pipeline
|
||||||
|
|
||||||
|
> GitLab CI/CD 파이프라인을 나열, 보고, 실행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lab.readthedocs.io/en/latest/pipeline>.
|
||||||
|
|
||||||
|
- 현재 브랜치에서 실행 중인 파이프라인을 보기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pipeline status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분기에서 실행 중인 파이프라인을 보기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pipeline status --branch {{브랜치_이름}}`
|
||||||
|
|
||||||
|
- 파이프라인 목록을 가져옴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pipeline list`
|
||||||
|
|
||||||
|
- 현재 브랜치에서 수동 파이프라인을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pipeline run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브랜치에서 수동 파이프라인을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pipeline run --branch {{브랜치_이름}}`
|
28
pages.ko/common/glab-release.md
Normal file
28
pages.ko/common/glab-releas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|||
|
# glab release
|
||||||
|
|
||||||
|
> GitLab 배포 관맄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lab.readthedocs.io/en/latest/release>.
|
||||||
|
|
||||||
|
- Gitlab 저장소의 릴리스 목록은 30개 항목으로 제한됨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release list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릴리스에 대한 정보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release view {{태그}}`
|
||||||
|
|
||||||
|
- 새로운 배포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release create {{태그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배포 삭제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release delete {{태그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릴리스에서 리소스 다운로드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release download {{태그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릴리스에 리소스 업로드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release upload {{태그}}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
|
24
pages.ko/common/glab-repo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glab-repo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|||
|
# glab repo
|
||||||
|
|
||||||
|
> GitLab 레포지토리 작업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lab.readthedocs.io/en/latest/repo/index.html#synopsis>.
|
||||||
|
|
||||||
|
- 새로운 저장소를 생성 (저장소 이름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, 기본 이름은 현재 디렉터리의 이름이 됨)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repo create {{이름}}`
|
||||||
|
|
||||||
|
- 레포지토리 복제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repo clone {{소유자}}/{{레포지토리}}`
|
||||||
|
|
||||||
|
- 레포지토리 포크 및 복제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repo fork {{소유자}}/{{레포지토리}} --clone`
|
||||||
|
|
||||||
|
- 기본 웹 브라우저에서 레포지토리 보기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repo view {{소유자}}/{{레포지토리}} --web`
|
||||||
|
|
||||||
|
- GitLab 인스턴스에서 일부 레포지토리를 검색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repo search -s {{검색_문자열}}`
|
33
pages.ko/common/glab.md
Normal file
33
pages.ko/common/glab.md
Normal file
|
@ -0,0 +1,33 @@
|
||||||
|
# glab
|
||||||
|
|
||||||
|
> GitLab으로 원활하게 작업.
|
||||||
|
> `config`와 같은 일부 하위 명령에는 자체 사용법 문서가 있음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profclems/glab>.
|
||||||
|
|
||||||
|
- 로컬에서 GitLab 저장소를 복제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repo clone {{소유자}}/{{레포지토리}}`
|
||||||
|
|
||||||
|
- 새로운 이슈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issue create`
|
||||||
|
|
||||||
|
- 현재 저장소의 공개 이슈를 보고 필터링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issue list`
|
||||||
|
|
||||||
|
- 기본 브라우저에서 이슈 보기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issue view --web {{이슈_번호}}`
|
||||||
|
|
||||||
|
- 병합 요청을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mr create`
|
||||||
|
|
||||||
|
- 기본 웹 브라우저에서 풀 요청 보기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mr view --web {{pr_번호}}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풀 요청을 로컬에서 확인:
|
||||||
|
|
||||||
|
`glab mr checkout {{pr_번호}}`
|
33
pages.ko/common/gladtex.md
Normal file
33
pages.ko/common/gladtex.md
Normal file
|
@ -0,0 +1,33 @@
|
||||||
|
# gladtex
|
||||||
|
|
||||||
|
> HTML 파일용 LaTeX 수식 전처리기.
|
||||||
|
> LaTeX 수식을 이미지로 변환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gladtex.1>.
|
||||||
|
|
||||||
|
- HTML로 변환:
|
||||||
|
|
||||||
|
`gladtex {{경로/대상/입력파일.htex}}`
|
||||||
|
|
||||||
|
- 변환된 파일을 특정 위치에 저장:
|
||||||
|
|
||||||
|
`gladtex {{경로/대상/입력파일.htex}} -o {{경로/대상/출력파일.html}}`
|
||||||
|
|
||||||
|
- 생성된 이미지를 특정 디렉토리([d]irectory)에 저장:
|
||||||
|
|
||||||
|
`gladtex {{경로/대상/입력파일.htex}} -d {{경로/대상/이미지_출력_디렉토리}}`
|
||||||
|
|
||||||
|
- 이미지 해상도([r]esolution) 설정 (dpi 단위, 기본값은 100):
|
||||||
|
|
||||||
|
`gladtex {{경로/대상/입력파일.htex}} -r {{resolution}}`
|
||||||
|
|
||||||
|
- 변환 후 LaTeX 파일 유지([k]eep) :
|
||||||
|
|
||||||
|
`gladtex {{경로/대상/입력파일.htex}} -k`
|
||||||
|
|
||||||
|
- 이미지의 배경([b]ackground) 및 전경([f]oreground)색 설정:
|
||||||
|
|
||||||
|
`gladtex {{경로/대상/입력파일.htex}} -b {{배경_색}} -f {{전경_색}}`
|
||||||
|
|
||||||
|
- `pandoc` 및 `gladtex`를 사용하여 마크다운을 HTML로 변환:
|
||||||
|
|
||||||
|
`pandoc -s -t html --gladtex {{경로/대상/입력파일.md}} | gladtex -o {{경로/대상/출력파일.html}}`
|
24
pages.ko/common/glances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glances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|||
|
# glances
|
||||||
|
|
||||||
|
> 크로스 플랫폼 시스템 모니터링 도구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nicolargo.github.io/glances/>.
|
||||||
|
|
||||||
|
- 터미널에서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glances`
|
||||||
|
|
||||||
|
- 웹 서버 모드에서 실행하여 브라우저에 결과를 표시:
|
||||||
|
|
||||||
|
`glances -w`
|
||||||
|
|
||||||
|
- other Glances 클라이언트의 연결을 허용하려면 서버 모드에서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glances -s`
|
||||||
|
|
||||||
|
- Glances 서버에 연결:
|
||||||
|
|
||||||
|
`glances -c {{호스트명}}`
|
||||||
|
|
||||||
|
- (웹) 서버 모드에서 비밀번호가 필요:
|
||||||
|
|
||||||
|
`glances -s --password`
|
36
pages.ko/common/gleam.md
Normal file
36
pages.ko/common/gleam.md
Normal file
|
@ -0,0 +1,36 @@
|
||||||
|
# gleam
|
||||||
|
|
||||||
|
> "확장 가능한 타입 안전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친숙한 언어!"인 Gleam용 컴파일러, 빌드 도구, 패키지 관리자 및 코드 포맷터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leam.run/writing-gleam/command-line-reference/>.
|
||||||
|
|
||||||
|
- 새로운 gleam 프로젝트 생성:
|
||||||
|
|
||||||
|
`gleam new {{프로젝트_이름}}`
|
||||||
|
|
||||||
|
- gleam 프로젝트 빌드 및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gleam run`
|
||||||
|
|
||||||
|
- 프로젝트 빌드:
|
||||||
|
|
||||||
|
`gleam build`
|
||||||
|
|
||||||
|
- 특정 플랫폼 및 런타임에 대한 프로젝트를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gleam run --target {{플랫폼}} --runtime {{런타임}}`
|
||||||
|
|
||||||
|
- 프로젝트에 16진수 종속성을 추가:
|
||||||
|
|
||||||
|
`gleam add {{의존성_이름}}`
|
||||||
|
|
||||||
|
- 프로젝트 테스트 실행:
|
||||||
|
|
||||||
|
`gleam test`
|
||||||
|
|
||||||
|
- 소스 코드 형식 포맷팅:
|
||||||
|
|
||||||
|
`gleam format`
|
||||||
|
|
||||||
|
- 프로젝트를 확인:
|
||||||
|
|
||||||
|
`gleam check`
|
21
pages.ko/common/glib-compile-resources.md
Normal file
21
pages.ko/common/glib-compile-resources.md
Normal file
|
@ -0,0 +1,21 @@
|
||||||
|
# glib-compile-resources
|
||||||
|
|
||||||
|
> 리소스 파일 (예: 이미지)을 바이너리 리소스 번들로 컴파일.
|
||||||
|
> GResource API를 사용해 GTK 애플리케이션에 연결될 수 있음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glib-compile-resources>.
|
||||||
|
|
||||||
|
- `file.gresource.xml`에서 참조된 리소스를 .gresource 바이너리로 컴파일:
|
||||||
|
|
||||||
|
`glib-compile-resources {{파일.gresource.xml}}`
|
||||||
|
|
||||||
|
- `file.gresource.xml`에서 참조된 리소스를 C 소스 파일로 컴파일:
|
||||||
|
|
||||||
|
`glib-compile-resources --generate-source {{파일.gresource.xml}}`
|
||||||
|
|
||||||
|
- `file.gresource.xml`의 리소스를 `.c`, `.h` 또는 `.gresource` 확장자를 사용하여 선택한 대상 파일로 컴파일:
|
||||||
|
|
||||||
|
`glib-compile-resources --generate --target={{file.ext}} {{파일.gresource.xml}}`
|
||||||
|
|
||||||
|
- `file.gresource.xml`에서 참조되는 리소스 파일 목록을 출력:
|
||||||
|
|
||||||
|
`glib-compile-resources --generate-dependencies {{파일.gresource.xml}}`
|
24
pages.ko/common/glow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glow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|||
|
# glow
|
||||||
|
|
||||||
|
> 터미널에서 마크다운을 렌더링.
|
||||||
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charmbracelet/glow>.
|
||||||
|
|
||||||
|
- glow 실행하고 보려는 파일을 선택:
|
||||||
|
|
||||||
|
`glow`
|
||||||
|
|
||||||
|
- Markdown 파일을 터미널에 렌더링:
|
||||||
|
|
||||||
|
`glow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||
|
|
||||||
|
- 페이지네이터를 사용하여 Markdown 파일 보기:
|
||||||
|
|
||||||
|
`glow -p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||
|
|
||||||
|
- URL에서 파일 보기:
|
||||||
|
|
||||||
|
`glow {{https://example.com/file.md}}`
|
||||||
|
|
||||||
|
- GitHub/GitLab README 보기:
|
||||||
|
|
||||||
|
`glow {{github.com/소유자/디렉토리}}`
|
Loading…
Add table
Reference in a new issu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