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irror of
https://github.com/tldr-pages/tldr.git
synced 2025-04-29 23:24:55 +02:00
common/k*: add Korean translation (#14560)
This commit is contained in:
parent
4e659ba38f
commit
b6bf0c2f48
41 changed files with 1041 additions and 0 deletions
24
pages.ko/common/k3d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k3d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k3d
|
||||
|
||||
> Docker 내에 k3s 클러스터를 쉽게 생성할 수 있는 래퍼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k3d.io>.
|
||||
|
||||
- 클러스터 생성:
|
||||
|
||||
`k3d cluster create {{클러스터_이름}}`
|
||||
|
||||
- 클러스터 삭제:
|
||||
|
||||
`k3d cluster delete {{클러스터_이름}}`
|
||||
|
||||
- 새로운 컨테이너화된 k3s 노드 생성:
|
||||
|
||||
`k3d node create {{노드_이름}}`
|
||||
|
||||
- Docker에서 k3d 클러스터로 이미지 가져오기:
|
||||
|
||||
`k3d image import {{이미지_이름}} --cluster {{클러스터_이름}}`
|
||||
|
||||
- 새로운 레지스트리 생성:
|
||||
|
||||
`k3d registry create {{레지스트리_이름}}`
|
36
pages.ko/common/k6.md
Normal file
36
pages.ko/common/k6.md
Normal file
|
@ -0,0 +1,36 @@
|
|||
# k6
|
||||
|
||||
> 엔지니어링 팀을 위한 오픈 소스 부하 테스트 도구 및 SaaS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k6.io>.
|
||||
|
||||
- 로컬에서 부하 테스트 실행:
|
||||
|
||||
`k6 run {{스크립트.js}}`
|
||||
|
||||
- 주어진 가상 사용자 수와 지속 시간으로 로컬에서 부하 테스트 실행:
|
||||
|
||||
`k6 run --vus {{10}} --duration {{30s}} {{스크립트.js}}`
|
||||
|
||||
- 주어진 환경 변수를 사용하여 로컬에서 부하 테스트 실행:
|
||||
|
||||
`k6 run -e {{HOSTNAME=example.com}} {{스크립트.js}}`
|
||||
|
||||
- InfluxDB를 사용하여 결과를 저장하며 로컬에서 부하 테스트 실행:
|
||||
|
||||
`k6 run --out influxdb={{http://localhost:8086/k6db}} {{스크립트.js}}`
|
||||
|
||||
- 응답 본문을 버리면서 (상당히 빠르게) 로컬에서 부하 테스트 실행:
|
||||
|
||||
`k6 run --discard-response-bodies {{스크립트.js}}`
|
||||
|
||||
- 기본 JavaScript 호환 모드를 사용하여 (상당히 빠르게) 로컬에서 부하 테스트 실행:
|
||||
|
||||
`k6 run --compatibility-mode=base {{스크립트.js}}`
|
||||
|
||||
- 비밀 토큰을 사용하여 클라우드 서비스에 로그인:
|
||||
|
||||
`k6 login cloud --token {{비밀}}`
|
||||
|
||||
-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부하 테스트 실행:
|
||||
|
||||
`k6 cloud {{스크립트.js}}`
|
16
pages.ko/common/k8s-unused-secret-detector.md
Normal file
16
pages.ko/common/k8s-unused-secret-detector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
# k8s-unused-secret-detector
|
||||
|
||||
> 사용되지 않는 Kubernetes 시크릿 감지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dtan4/k8s-unused-secret-detector>.
|
||||
|
||||
- 사용되지 않는 시크릿 감지:
|
||||
|
||||
`k8s-unused-secret-detector`
|
||||
|
||||
- 특정 네임스페이스에서 사용되지 않는 시크릿 감지:
|
||||
|
||||
`k8s-unused-secret-detector -n {{네임스페이스}}`
|
||||
|
||||
- 특정 네임스페이스에서 사용되지 않는 시크릿 삭제:
|
||||
|
||||
`k8s-unused-secret-detector -n {{네임스페이스}} | kubectl delete secret -n {{네임스페이스}}`
|
32
pages.ko/common/k8sec.md
Normal file
32
pages.ko/common/k8sec.md
Normal file
|
@ -0,0 +1,32 @@
|
|||
# k8sec
|
||||
|
||||
> Kubernetes 시크릿 관리 도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dtan4/k8sec>.
|
||||
|
||||
- 모든 시크릿 나열:
|
||||
|
||||
`k8sec list`
|
||||
|
||||
- 특정 시크릿을 base64로 인코딩된 문자열로 나열:
|
||||
|
||||
`k8sec list {{비밀_이름}} --base64`
|
||||
|
||||
- 시크릿 값 설정:
|
||||
|
||||
`k8sec set {{비밀_이름}} {{key=값}}`
|
||||
|
||||
- base64로 인코딩된 값 설정:
|
||||
|
||||
`k8sec set --base64 {{비밀_이름}} {{key=인코딩된_값}}`
|
||||
|
||||
- 시크릿 해제:
|
||||
|
||||
`k8sec unset {{비밀_이름}}`
|
||||
|
||||
- 파일에서 시크릿 불러오기:
|
||||
|
||||
`k8sec load -f {{경로/대상/파일}} {{비밀_이름}}`
|
||||
|
||||
- 파일로 시크릿 덤프:
|
||||
|
||||
`k8sec dump -f {{경로/대상/파일}} {{비밀_이름}}`
|
20
pages.ko/common/k9s.md
Normal file
20
pages.ko/common/k9s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k9s
|
||||
|
||||
> Kubernetes 클러스터를 보고 관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k9scli.io/topics/commands/>.
|
||||
|
||||
- kubeconfig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클러스터 관리:
|
||||
|
||||
`k9s --context {{kubeconfig_컨텍스트_이름}}`
|
||||
|
||||
- 읽기 전용 모드로 클러스터 관리 (수정을 초래할 수 있는 모든 명령 비활성화):
|
||||
|
||||
`k9s --readonly --cluster {{클러스터_이름}}`
|
||||
|
||||
- 주어진 Kubernetes 네임스페이스를 사용하여 클러스터 관리:
|
||||
|
||||
`k9s --namespace {{Kubernetes_네임스페이스}} --cluster {{클러스터_이름}}`
|
||||
|
||||
- pod 보기로 k9s를 실행하고 디버그 로깅을 활성화하여 클러스터 관리:
|
||||
|
||||
`k9s --command {{pod}} --logLevel debug --cluster {{클러스터_이름}}`
|
12
pages.ko/common/kaggle.md
Normal file
12
pages.ko/common/kaggle.md
Normal file
|
@ -0,0 +1,12 @@
|
|||
# kaggle
|
||||
|
||||
> Python 3로 구현된 Kaggle 공식 CLI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Kaggle/kaggle-api>.
|
||||
|
||||
- 현재 구성 값 보기:
|
||||
|
||||
`kaggle config view`
|
||||
|
||||
- 대회 데이터셋에서 특정 파일 다운로드:
|
||||
|
||||
`kaggle competitions download {{대회}} -f {{파일명}}`
|
20
pages.ko/common/kahlan.md
Normal file
20
pages.ko/common/kahlan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kahlan
|
||||
|
||||
> PHP용 단위 테스트 및 행동 주도 개발 테스트 프레임워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kahlan.github.io>.
|
||||
|
||||
- "spec" 디렉토리의 모든 사양 실행:
|
||||
|
||||
`kahlan`
|
||||
|
||||
- 특정 구성 파일을 사용하여 사양 실행:
|
||||
|
||||
`kahlan --config={{경로/대상/구성_파일}}`
|
||||
|
||||
- 리포터를 사용하여 사양 실행 및 출력:
|
||||
|
||||
`kahlan --reporter={{dot|bar|json|tap|verbose}}`
|
||||
|
||||
- 코드 커버리지와 함께 사양 실행 (세부 수준은 0에서 4 사이):
|
||||
|
||||
`kahlan --coverage={{세부_수준}}`
|
37
pages.ko/common/kak.md
Normal file
37
pages.ko/common/kak.md
Normal file
|
@ -0,0 +1,37 @@
|
|||
# kak
|
||||
|
||||
> Kakoune는 "다중 선택" 패러다임을 구현한 모드 기반 코드 편집기입니다.
|
||||
> 데이터를 여러 위치에서 동시에 선택 및 편집할 수 있으며, 사용자는 동일한 세션에 연결하여 공동 편집을 할 수 있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kakoune.org>.
|
||||
|
||||
- 파일을 열고 명령 실행을 위한 일반 모드로 진입:
|
||||
|
||||
`kak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일반 모드에서 삽입 모드로 전환하여 파일에 텍스트 작성:
|
||||
|
||||
`i`
|
||||
|
||||
- 삽입 모드를 벗어나 일반 모드로 돌아가기:
|
||||
|
||||
`<Esc>`
|
||||
|
||||
- 현재 파일에서 "foo"를 모든 "bar"로 대체:
|
||||
|
||||
`%s{{foo}}<Enter>c{{bar}}<Esc>`
|
||||
|
||||
- 모든 보조 선택을 해제하고 주 선택만 유지:
|
||||
|
||||
`<Space>`
|
||||
|
||||
- 숫자를 검색하고 처음 두 개 선택:
|
||||
|
||||
`/\d+<Enter>N`
|
||||
|
||||
- 파일의 내용을 삽입:
|
||||
|
||||
`!cat {{경로/대상/파일}}<Enter>`
|
||||
|
||||
- 현재 파일 저장:
|
||||
|
||||
`:w<Enter>`
|
29
pages.ko/common/katana.md
Normal file
29
pages.ko/common/katana.md
Normal file
|
@ -0,0 +1,29 @@
|
|||
# katana
|
||||
|
||||
> 자동화 파이프라인에서의 실행에 중점을 둔 빠른 크롤러로, 헤드리스 및 비헤드리스 크롤링을 모두 제공합니다.
|
||||
> 같이 보기: `gau`, `scrapy`, `waymore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projectdiscovery/katana>.
|
||||
|
||||
- URL 목록을 크롤링:
|
||||
|
||||
`katana -list {{https://example.com,https://google.com,...}}`
|
||||
|
||||
- Chromium을 사용하여 헤드리스 모드로 URL 크롤링:
|
||||
|
||||
`katana -u {{https://example.com}} -headless`
|
||||
|
||||
- `subfinder`를 사용하여 서브도메인을 찾고, [p]a[s]sive 소스(Wayback Machine, Common Crawl, AlienVault)로 URL 검색:
|
||||
|
||||
`subfinder -list {{경로/대상/domains.txt}} | katana -passive`
|
||||
|
||||
- 프록시(http/socks5)를 통해 요청 전달하고 파일에서 사용자 정의 [H]eaders 사용:
|
||||
|
||||
`katana -proxy {{http://127.0.0.1:8080}} -headers {{경로/대상/headers.txt}} -u {{https://example.com}}`
|
||||
|
||||
- 크롤링 [s]trategy, 크롤링할 하위 디렉토리의 [d]epth, 속도 제한(초당 요청 수) 지정:
|
||||
|
||||
`katana -strategy {{depth-first|breadth-first}} -depth {{값}} -rate-limit {{값}} -u {{https://example.com}}`
|
||||
|
||||
- `subfinder`를 사용하여 서브도메인을 찾고, 각 서브도메인을 최대 시간 동안 크롤링하며 결과를 [o]utput 파일에 저장:
|
||||
|
||||
`subfinder -list {{경로/대상/domains.txt}} | katana -crawl-duration {{값}} -output {{경로/대상/output.txt}}`
|
32
pages.ko/common/kate.md
Normal file
32
pages.ko/common/kate.md
Normal file
|
@ -0,0 +1,32 @@
|
|||
# kate
|
||||
|
||||
> KDE의 고급 텍스트 편집기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kate-editor.org/>.
|
||||
|
||||
- 특정 파일 열기:
|
||||
|
||||
`kate {{경로/대상/파일1 경로/대상/파일2 ...}}`
|
||||
|
||||
- 특정 원격 파일 열기:
|
||||
|
||||
`kate {{https://example.com/경로/대상/파일1 https://example.com/경로/대상/파일2 ...}}`
|
||||
|
||||
- 이미 열려 있는 경우에도 새 편집기 인스턴스 생성:
|
||||
|
||||
`kate --new`
|
||||
|
||||
- 특정 줄에 커서를 놓고 파일 열기:
|
||||
|
||||
`kate --line {{줄_번호}}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특정 줄과 열에 커서를 놓고 파일 열기:
|
||||
|
||||
`kate --line {{줄_번호}} --column {{열_번호}}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`stdin`에서 파일 생성:
|
||||
|
||||
`cat {{경로/대상/파일}} | kate --stdin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kate --help`
|
20
pages.ko/common/kcadm.sh.md
Normal file
20
pages.ko/common/kcadm.sh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kcadm.sh
|
||||
|
||||
> 관리 작업 수행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keycloak.org/docs/latest/server_admin/#admin-cli>.
|
||||
|
||||
- 인증된 세션 시작:
|
||||
|
||||
`kcadm.sh config credentials --server {{호스트}} --realm {{영역_이름}} --user {{사용자명}} --password {{비밀번호}}`
|
||||
|
||||
- 사용자 생성:
|
||||
|
||||
`kcadm.sh create users -s username={{사용자명}} -r {{영역_이름}}`
|
||||
|
||||
- 모든 영역 나열:
|
||||
|
||||
`kcadm.sh get realms`
|
||||
|
||||
- JSON 구성으로 영역 업데이트:
|
||||
|
||||
`kcadm.sh update realms/{{영역_이름}} -f {{경로/대상/파일.json}}`
|
36
pages.ko/common/kcat.md
Normal file
36
pages.ko/common/kcat.md
Normal file
|
@ -0,0 +1,36 @@
|
|||
# kcat
|
||||
|
||||
> Apache Kafka 생산자 및 소비자 도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edenhill/kcat>.
|
||||
|
||||
- 최신 오프셋부터 메시지 소비:
|
||||
|
||||
`kcat -C -t {{토픽}} -b {{브로커}}`
|
||||
|
||||
- 가장 오래된 오프셋부터 메시지를 소비하고 마지막 메시지를 받은 후 종료:
|
||||
|
||||
`kcat -C -t {{토픽}} -b {{브로커}} -o beginning -e`
|
||||
|
||||
- Kafka 소비자 그룹으로 메시지 소비:
|
||||
|
||||
`kcat -G {{그룹_ID}} {{토픽}} -b {{브로커}}`
|
||||
|
||||
- `stdin`에서 읽어 메시지 게시:
|
||||
|
||||
`echo {{메시지}} | kcat -P -t {{토픽}} -b {{브로커}}`
|
||||
|
||||
- 파일에서 읽어 메시지 게시:
|
||||
|
||||
`kcat -P -t {{토픽}} -b {{브로커}}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모든 토픽 및 브로커의 메타데이터 나열:
|
||||
|
||||
`kcat -L -b {{브로커}}`
|
||||
|
||||
- 특정 토픽의 메타데이터 나열:
|
||||
|
||||
`kcat -L -t {{토픽}} -b {{브로커}}`
|
||||
|
||||
- 특정 시간에 대한 토픽/파티션의 오프셋 가져오기:
|
||||
|
||||
`kcat -Q -t {{토픽}}:{{파티션}}:{{유닉스_타임스탬프}} -b {{브로커}}`
|
36
pages.ko/common/kdeconnect-cli.md
Normal file
36
pages.ko/common/kdeconnect-cli.md
Normal file
|
@ -0,0 +1,36 @@
|
|||
# kdeconnect-cli
|
||||
|
||||
> 파일이나 텍스트를 장치에 공유하거나, 벨소리를 울리거나, 잠금을 해제하는 등 여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KDE Connect를 사용하세요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kdeconnect.kde.org>.
|
||||
|
||||
- 모든 장치 나열:
|
||||
|
||||
`kdeconnect-cli --list-devices`
|
||||
|
||||
- 사용 가능한 장치(페어링되고 접근 가능한) 나열:
|
||||
|
||||
`kdeconnect-cli --list-available`
|
||||
|
||||
- 특정 장치와 페어링 요청, 장치 ID 지정:
|
||||
|
||||
`kdeconnect-cli --pair --device {{장치_ID}}`
|
||||
|
||||
- 장치의 벨소리를 울리기, 장치 이름 지정:
|
||||
|
||||
`kdeconnect-cli --ring --name "{{장치_이름}}"`
|
||||
|
||||
- URL 또는 파일을 페어링된 장치와 공유, 장치 ID 지정:
|
||||
|
||||
`kdeconnect-cli --share {{url|경로/대상/파일}} --device {{장치_ID}}`
|
||||
|
||||
- 선택적 첨부 파일과 함께 특정 번호로 SMS 보내기:
|
||||
|
||||
`kdeconnect-cli --name "{{장치_이름}}" --send-sms "{{메시지}}" --destination {{전화번호}} --attachment {{경로/대상/파일}}`
|
||||
|
||||
- 특정 장치 잠금 해제:
|
||||
|
||||
`kdeconnect-cli --name "{{장치_이름}}" --unlock`
|
||||
|
||||
- 특정 장치에서 키 입력 시뮬레이션:
|
||||
|
||||
`kdeconnect-cli --name "{{장치_이름}}" --send-keys {{키}}`
|
28
pages.ko/common/kdenlive.md
Normal file
28
pages.ko/common/kdenlive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
# kdenlive
|
||||
|
||||
> KDE의 비선형 비디오 편집기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kdenlive>.
|
||||
|
||||
- 비디오 편집기 시작:
|
||||
|
||||
`kdenlive`
|
||||
|
||||
- 특정 파일 열기:
|
||||
|
||||
`kdenlive {{경로/대상/파일.kdenlive}}`
|
||||
|
||||
- MLT 환경을 위한 특정 경로 사용:
|
||||
|
||||
`kdenlive --mlt-path {{경로/대상/폴더}}`
|
||||
|
||||
- MLT 환경을 위한 특정 로그 레벨 사용:
|
||||
|
||||
`kdenlive --mlt-log {{verbose|debug}}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kdenlive --help`
|
||||
|
||||
- 버전 표시:
|
||||
|
||||
`kdenlive --version`
|
24
pages.ko/common/kdig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kdig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kdig
|
||||
|
||||
> 고급 DNS 조회 유틸리티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knot-dns.cz/docs/latest/html/man_kdig.html>.
|
||||
|
||||
- 호스트 이름과 연결된 IP(A 레코드) 조회:
|
||||
|
||||
`kdig {{example.com}}`
|
||||
|
||||
- 특정 DNS 서버를 지정하여 쿼리(예: Google DNS):
|
||||
|
||||
`kdig {{example.com}} @{{8.8.8.8}}`
|
||||
|
||||
- 주어진 도메인 이름과 연결된 특정 DNS 레코드 유형 쿼리:
|
||||
|
||||
`kdig {{example.com}} {{A|AAAA|NS|SOA|DNSKEY|ANY}}`
|
||||
|
||||
- DNS over TLS(DoT)를 사용하여 호스트 이름과 연결된 IP(A 레코드) 조회:
|
||||
|
||||
`kdig -d @{{8.8.8.8}} +tls-ca +tls-host={{dns.google}} {{example.com}}`
|
||||
|
||||
- DNS over HTTPS(DoH)를 사용하여 호스트 이름과 연결된 IP(A 레코드) 조회:
|
||||
|
||||
`kdig -d @{{1.1.1.1}} +https +tls-hostname={{1dot1dot1dot1.cloudflare-dns.com}} {{example.com}}`
|
20
pages.ko/common/keep-header.md
Normal file
20
pages.ko/common/keep-header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keep-header
|
||||
|
||||
> 첫 번째 줄을 명령어에 의해 처리하지 않고 그대로 `stdout`에 전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eBay/tsv-utils#keep-header>.
|
||||
|
||||
- 파일을 정렬하고 첫 번째 줄을 맨 위에 유지:
|
||||
|
||||
`keep-header {{경로/대상/파일}} -- sort`
|
||||
|
||||
- 첫 번째 줄을 `stdout`에 직접 출력하고 파일의 나머지를 지정된 명령어로 처리:
|
||||
|
||||
`keep-header {{경로/대상/파일}} -- {{명령어}}`
|
||||
|
||||
- `stdin`에서 읽어 첫 번째 줄을 제외한 모든 줄을 정렬:
|
||||
|
||||
`cat {{경로/대상/파일}} | keep-header -- {{명령어}}`
|
||||
|
||||
- 파일을 `grep`하여 검색 패턴에 상관없이 첫 번째 줄을 유지:
|
||||
|
||||
`keep-header {{경로/대상/파일}} -- grep {{패턴}}`
|
16
pages.ko/common/keepass2.md
Normal file
16
pages.ko/common/keepass2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
# keepass2
|
||||
|
||||
> 경량 비밀번호 관리자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keepass.info>.
|
||||
|
||||
- 가장 최근에 열었던 비밀번호 데이터베이스를 열면서 KeePass 2 시작:
|
||||
|
||||
`keepass2`
|
||||
|
||||
- 특정 비밀번호 데이터베이스를 열면서 KeePass 2 시작:
|
||||
|
||||
`keepass2 {{경로/대상/데이터베이스.kbdx}}`
|
||||
|
||||
- 특정 키 파일을 사용하여 비밀번호 데이터베이스 열기:
|
||||
|
||||
`keepass2 {{경로/대상/데이터베이스.kbdx}} -keyfile:{{경로/대상/키/파일.key}}`
|
36
pages.ko/common/keepassxc-cli.md
Normal file
36
pages.ko/common/keepassxc-cli.md
Normal file
|
@ -0,0 +1,36 @@
|
|||
# keepassxc-cli
|
||||
|
||||
> KeepassXC의 명령줄 인터페이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keepassxc-cli>.
|
||||
|
||||
- 항목 검색:
|
||||
|
||||
`keepassxc-cli search {{경로/대상/데이터베이스_파일}} {{이름}}`
|
||||
|
||||
- 폴더 내용 나열:
|
||||
|
||||
`keepassxc-cli ls {{경로/대상/데이터베이스_파일}} {{경로/대상/폴더}}`
|
||||
|
||||
- 자동 생성된 비밀번호로 항목 추가:
|
||||
|
||||
`keepassxc-cli add --generate {{경로/대상/데이터베이스_파일}} {{항목_이름}}`
|
||||
|
||||
- 항목 삭제:
|
||||
|
||||
`keepassxc-cli rm {{경로/대상/데이터베이스_파일}} {{항목_이름}}`
|
||||
|
||||
- 항목의 비밀번호를 클립보드에 복사:
|
||||
|
||||
`keepassxc-cli clip {{경로/대상/데이터베이스_파일}} {{항목_이름}}`
|
||||
|
||||
- TOTP 코드를 클립보드에 복사:
|
||||
|
||||
`keepassxc-cli clip --totp {{경로/대상/데이터베이스_파일}} {{항목_이름}}`
|
||||
|
||||
- 7개의 단어로 구성된 구문 생성:
|
||||
|
||||
`keepassxc-cli diceware --words {{7}}`
|
||||
|
||||
- 16개의 출력 가능한 ASCII 문자로 비밀번호 생성:
|
||||
|
||||
`keepassxc-cli generate --lower --upper --numeric --special --length {{16}}`
|
32
pages.ko/common/keybase.md
Normal file
32
pages.ko/common/keybase.md
Normal file
|
@ -0,0 +1,32 @@
|
|||
# keybase
|
||||
|
||||
> 소셜 미디어 신원을 암호화 키에 공개적으로 감사 가능한 방식으로 매핑하는 키 디렉토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keybase.io/docs/command_line>.
|
||||
|
||||
- 다른 사용자 팔로우:
|
||||
|
||||
`keybase follow {{사용자명}}`
|
||||
|
||||
- 새로운 증명 추가:
|
||||
|
||||
`keybase prove {{서비스}} {{서비스_사용자명}}`
|
||||
|
||||
- 파일 서명:
|
||||
|
||||
`keybase sign --infile {{입력_파일}} --outfile {{출력_파일}}`
|
||||
|
||||
- 서명된 파일 검증:
|
||||
|
||||
`keybase verify --infile {{입력_파일}} --outfile {{출력_파일}}`
|
||||
|
||||
- 파일 암호화:
|
||||
|
||||
`keybase encrypt --infile {{입력_파일}} --outfile {{출력_파일}} {{수신자}}`
|
||||
|
||||
- 파일 복호화:
|
||||
|
||||
`keybase decrypt --infile {{입력_파일}} --outfile {{출력_파일}}`
|
||||
|
||||
- 현재 장치 해지, 로그아웃 및 로컬 데이터 삭제:
|
||||
|
||||
`keybase deprovision`
|
24
pages.ko/common/keychain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keychain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keychain
|
||||
|
||||
> ssh-agent 및/또는 gpg-agent를 로그인 간에 재사용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funtoo.org/Keychain>.
|
||||
|
||||
- 실행 중인 ssh-agent를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시작:
|
||||
|
||||
`keychain`
|
||||
|
||||
- gpg-agent도 확인:
|
||||
|
||||
`keychain --agents "{{gpg,ssh}}"`
|
||||
|
||||
- 모든 활성 키의 서명 나열:
|
||||
|
||||
`keychain --list`
|
||||
|
||||
- 모든 활성 키의 지문 나열:
|
||||
|
||||
`keychain --list-fp`
|
||||
|
||||
- 에이전트에 추가된 ID에 대한 타임아웃을 분 단위로 추가:
|
||||
|
||||
`keychain --timeout {{분}}`
|
16
pages.ko/common/keytool.md
Normal file
16
pages.ko/common/keytool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
# keytool
|
||||
|
||||
> Java에 포함된 인증서 관리 도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docs.oracle.com/en/java/javase/20/docs/specs/man/keytool.html>.
|
||||
|
||||
- 키스토어 생성:
|
||||
|
||||
`keytool -genkeypair -v -keystore {{경로/대상/파일.keystore}} -alias {{키_이름}}`
|
||||
|
||||
- 키스토어 비밀번호 변경:
|
||||
|
||||
`keytool -storepasswd -keystore {{경로/대상/파일.keystore}}`
|
||||
|
||||
- 특정 키스토어 내 키의 비밀번호 변경:
|
||||
|
||||
`keytool -keypasswd -alias {{키_이름}} -keystore {{경로/대상/파일.keystore}}`
|
24
pages.ko/common/khal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khal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khal
|
||||
|
||||
> 명령줄에서 사용하는 텍스트 기반 캘린더 및 일정 관리 애플리케이션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lostpackets.de/khal>.
|
||||
|
||||
- 상호작용 모드에서 Khal 시작:
|
||||
|
||||
`ikhal`
|
||||
|
||||
- 개인 캘린더에 예정된 다음 7일 동안의 모든 이벤트 출력:
|
||||
|
||||
`khal list -a {{personal}} {{today}} {{7d}}`
|
||||
|
||||
- 개인 캘린더가 아닌 내일 10:00에 예정된 모든 이벤트 출력:
|
||||
|
||||
`khal at -d {{personal}} {{tomorrow}} {{10:00}}`
|
||||
|
||||
- 다음 3개월 동안의 이벤트 목록이 포함된 캘린더 출력:
|
||||
|
||||
`khal calendar`
|
||||
|
||||
- 개인 캘린더에 새 이벤트 추가:
|
||||
|
||||
`khal new -a {{personal}} {{2020-09-08}} {{18:00}} {{18:30}} "{{치과 예약}}"`
|
25
pages.ko/common/killall.md
Normal file
25
pages.ko/common/killall.md
Normal file
|
@ -0,0 +1,25 @@
|
|||
# killall
|
||||
|
||||
> 프로세스 이름으로 모든 인스턴스에 종료 신호를 보냅니다 (정확한 이름이어야 함).
|
||||
> SIGKILL 및 SIGSTOP을 제외한 모든 신호는 프로세스에 의해 가로채어져 클린 종료가 가능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manned.org/killall>.
|
||||
|
||||
- 기본 SIGTERM (종료) 신호를 사용하여 프로세스 종료:
|
||||
|
||||
`killall {{프로세스_이름}}`
|
||||
|
||||
- 사용 가능한 신호 이름 [l]ist 보기 ('SIG' 접두사 없이 사용):
|
||||
|
||||
`killall -l`
|
||||
|
||||
- 종료 전에 인터랙티브하게 확인 요청:
|
||||
|
||||
`killall -i {{프로세스_이름}}`
|
||||
|
||||
- SIGINT (인터럽트) 신호를 사용하여 프로세스 종료, 이는 `Ctrl + C`로 전송되는 신호와 동일:
|
||||
|
||||
`killall -INT {{프로세스_이름}}`
|
||||
|
||||
-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:
|
||||
|
||||
`killall -KILL {{프로세스_이름}}`
|
21
pages.ko/common/kind.md
Normal file
21
pages.ko/common/kind.md
Normal file
|
@ -0,0 +1,21 @@
|
|||
# kind
|
||||
|
||||
> Docker 컨테이너 "노드"를 사용하여 로컬 Kubernetes 클러스터를 실행.
|
||||
> Kubernetes 자체 테스트를 위해 설계되었으나, 로컬 개발이나 지속적 통합에도 사용 가능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kubernetes-sigs/kind>.
|
||||
|
||||
- 로컬 Kubernetes 클러스터 생성:
|
||||
|
||||
`kind create cluster --name {{클러스터_이름}}`
|
||||
|
||||
-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 삭제:
|
||||
|
||||
`kind delete clusters {{클러스터_이름}}`
|
||||
|
||||
- 클러스터, 노드 또는 kubeconfig에 대한 세부 정보 가져오기:
|
||||
|
||||
`kind get {{clusters|nodes|kubeconfig}}`
|
||||
|
||||
- kubeconfig 또는 로그 내보내기:
|
||||
|
||||
`kind export {{kubeconfig|logs}}`
|
29
pages.ko/common/kinit.md
Normal file
29
pages.ko/common/kinit.md
Normal file
|
@ -0,0 +1,29 @@
|
|||
# kinit
|
||||
|
||||
> Kerberos 서버와 주체를 인증하여 티켓을 얻고 캐시.
|
||||
> 참고: Kerberos 주체는 사용자, 서비스 또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습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eb.mit.edu/kerberos/krb5-1.12/doc/user/user_commands/kinit.html>.
|
||||
|
||||
- 사용자를 인증하고 티켓 발급 티켓 획득:
|
||||
|
||||
`kinit {{사용자명}}`
|
||||
|
||||
- 티켓 발급 티켓 갱신:
|
||||
|
||||
`kinit -R`
|
||||
|
||||
- 티켓의 유효 기간 지정:
|
||||
|
||||
`kinit -l {{5시간}}`
|
||||
|
||||
- 티켓의 총 갱신 가능 기간 지정:
|
||||
|
||||
`kinit -r {{1주}}`
|
||||
|
||||
- 다른 주체 이름으로 인증 지정:
|
||||
|
||||
`kinit -p {{주체@REALM}}`
|
||||
|
||||
- 다른 키탭 파일로 인증 지정:
|
||||
|
||||
`kinit -t {{경로/대상/keytab}}`
|
36
pages.ko/common/kismet.md
Normal file
36
pages.ko/common/kismet.md
Normal file
|
@ -0,0 +1,36 @@
|
|||
# kismet
|
||||
|
||||
> 무선 네트워크 및 장치 감지기, 스니퍼, 워드라이빙 도구, WIDS(무선 침입 탐지) 프레임워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kismetwireless.net/>.
|
||||
|
||||
- 특정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패킷 캡처:
|
||||
|
||||
`sudo kismet -c {{wlan0}}`
|
||||
|
||||
-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여러 채널 모니터링:
|
||||
|
||||
`sudo kismet -c {{wlan0,wlan1}} -m`
|
||||
|
||||
- 패킷을 캡처하고 특정 디렉토리에 저장:
|
||||
|
||||
`sudo kismet -c {{wlan0}} -d {{경로/대상/출력}}`
|
||||
|
||||
- 특정 구성 파일로 Kismet 시작:
|
||||
|
||||
`sudo kismet -c {{wlan0}} -f {{경로/대상/config.conf}}`
|
||||
|
||||
- SQLite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기록:
|
||||
|
||||
`sudo kismet -c {{wlan0}} --log-to-db`
|
||||
|
||||
- 특정 데이터 소스를 사용하여 모니터링:
|
||||
|
||||
`sudo kismet -c {{wlan0}} --data-source={{rtl433}}`
|
||||
|
||||
- 특정 이벤트에 대한 경고 활성화:
|
||||
|
||||
`sudo kismet -c {{wlan0}} --enable-alert={{new_ap}}`
|
||||
|
||||
- 특정 AP의 패킷에 대한 자세한 정보 표시:
|
||||
|
||||
`sudo kismet -c {{wlan0}} --info {{BSSID}}`
|
21
pages.ko/common/kitex.md
Normal file
21
pages.ko/common/kitex.md
Normal file
|
@ -0,0 +1,21 @@
|
|||
# kitex
|
||||
|
||||
> Go RPC 프레임워크 Kitex에서 제공하는 코드 생성 도구.
|
||||
> Kitex는 thrift와 protobuf IDL을 모두 수용하며, 서버 측 프로젝트의 스켈레톤을 생성하는 것을 지원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cloudwego.io>.
|
||||
|
||||
- 프로젝트가 `$GOPATH`에 있을 때 클라이언트 코드 생성:
|
||||
|
||||
`kitex {{경로/대상/IDL_파일.thrift}}`
|
||||
|
||||
- 프로젝트가 `$GOPATH`에 없을 때 클라이언트 코드 생성:
|
||||
|
||||
`kitex -module {{github.com/xx-org/xx-name}} {{경로/대상/IDL_파일.thrift}}`
|
||||
|
||||
- protobuf IDL로 클라이언트 코드 생성:
|
||||
|
||||
`kitex -type protobuf {{경로/대상/IDL_파일.proto}}`
|
||||
|
||||
- 서버 코드 생성:
|
||||
|
||||
`kitex -service {{서비스_이름}} {{경로/대상/IDL_파일.thrift}}`
|
24
pages.ko/common/kitty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kitty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kitty
|
||||
|
||||
> 빠르고 기능이 풍부한 GPU 기반 터미널 에뮬레이터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sw.kovidgoyal.net/kitty/>.
|
||||
|
||||
- 새로운 터미널 열기:
|
||||
|
||||
`kitty`
|
||||
|
||||
- 지정된 제목으로 창 열기:
|
||||
|
||||
`kitty --title "{{제목}}"`
|
||||
|
||||
- 테마 선택기 내장 기능 시작:
|
||||
|
||||
`kitty +kitten themes`
|
||||
|
||||
- 터미널에 이미지 표시:
|
||||
|
||||
`kitty +kitten icat {{경로/대상/이미지}}`
|
||||
|
||||
- `stdin`의 내용을 클립보드에 복사:
|
||||
|
||||
`echo {{예제}} | kitty +kitten clipboard`
|
20
pages.ko/common/kiwi-ng.md
Normal file
20
pages.ko/common/kiwi-ng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kiwi-ng
|
||||
|
||||
> 운영 체제 이미지 및 어플라이언스 빌더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osinside.github.io/kiwi/>.
|
||||
|
||||
- 어플라이언스 빌드:
|
||||
|
||||
`kiwi-ng system build --description={{경로/대상/폴더}} --target-dir={{경로/대상/폴더}}`
|
||||
|
||||
- 빌드된 어플라이언스의 빌드 결과 표시:
|
||||
|
||||
`kiwi-ng result list --target-dir={{경로/대상/폴더}}`
|
||||
|
||||
- 도움말 표시:
|
||||
|
||||
`kiwi-ng help`
|
||||
|
||||
- 버전 표시:
|
||||
|
||||
`kiwi-ng -v`
|
32
pages.ko/common/knife.md
Normal file
32
pages.ko/common/knife.md
Normal file
|
@ -0,0 +1,32 @@
|
|||
# knife
|
||||
|
||||
> 로컬 Chef 저장소에서 Chef 서버와 상호 작용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docs.chef.io/knife.html>.
|
||||
|
||||
- 새 노드 부트스트랩:
|
||||
|
||||
`knife bootstrap {{fqdn_또는_ip}}`
|
||||
|
||||
- 등록된 모든 노드 나열:
|
||||
|
||||
`knife node list`
|
||||
|
||||
- 노드 표시:
|
||||
|
||||
`knife node show {{노드_이름}}`
|
||||
|
||||
- 노드 편집:
|
||||
|
||||
`knife node edit {{노드_이름}}`
|
||||
|
||||
- 역할 편집:
|
||||
|
||||
`knife role edit {{역할_이름}}`
|
||||
|
||||
- 데이터 백 보기:
|
||||
|
||||
`knife data bag show {{데이터_백_이름}} {{데이터_백_항목}}`
|
||||
|
||||
- 로컬 쿠크북을 Chef 서버에 업로드:
|
||||
|
||||
`knife cookbook upload {{쿠크북_이름}}`
|
24
pages.ko/common/knotc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knotc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knotc
|
||||
|
||||
> Knot DNS 서버 제어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www.knot-dns.cz/docs/latest/html/man_knotc.html>.
|
||||
|
||||
- zone 편집 시작:
|
||||
|
||||
`knotc zone-begin {{zone}}`
|
||||
|
||||
- TTL이 3600인 A 레코드 설정:
|
||||
|
||||
`knotc zone-set {{zone}} {{서브도메인}} 3600 A {{IP_주소}}`
|
||||
|
||||
- zone 편집 완료:
|
||||
|
||||
`knotc zone-commit {{zone}}`
|
||||
|
||||
- 현재 zone 데이터 얻기:
|
||||
|
||||
`knotc zone-read {{zone}}`
|
||||
|
||||
- 현재 서버 구성 가져오기:
|
||||
|
||||
`knotc conf-read server`
|
16
pages.ko/common/kompose.md
Normal file
16
pages.ko/common/kompose.md
Normal file
|
@ -0,0 +1,16 @@
|
|||
# kompose
|
||||
|
||||
> Docker Compose 애플리케이션을 Kubernetes로 변환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kubernetes/kompose>.
|
||||
|
||||
- 도커화된 애플리케이션을 Kubernetes에 배포:
|
||||
|
||||
`kompose up -f {{docker-compose.yml}}`
|
||||
|
||||
- Kubernetes에서 서비스/배포 인스턴스 삭제:
|
||||
|
||||
`kompose down -f {{docker-compose.yml}}`
|
||||
|
||||
- docker-compose 파일을 Kubernetes 리소스 파일로 변환:
|
||||
|
||||
`kompose convert -f {{docker-compose.yml}}`
|
28
pages.ko/common/kool.md
Normal file
28
pages.ko/common/kool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
# kool
|
||||
|
||||
>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을 구축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kool.dev/docs/>.
|
||||
|
||||
- 특정 프리셋을 사용하여 프로젝트 생성:
|
||||
|
||||
`kool create {{프리셋}} {{프로젝트_이름}}`
|
||||
|
||||
- 현재 디렉토리의 `kool.yml` 파일에 정의된 특정 스크립트 실행:
|
||||
|
||||
`kool run {{스크립트}}`
|
||||
|
||||
- 현재 디렉토리의 서비스 시작/중지:
|
||||
|
||||
`kool {{start|stop}}`
|
||||
|
||||
- 현재 디렉토리의 서비스 상태 표시:
|
||||
|
||||
`kool status`
|
||||
|
||||
-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:
|
||||
|
||||
`kool self-update`
|
||||
|
||||
- 지정된 셸에 대한 자동 완성 스크립트 출력:
|
||||
|
||||
`kool completion {{bash|fish|powershell|zsh}}`
|
37
pages.ko/common/kopia.md
Normal file
37
pages.ko/common/kopia.md
Normal file
|
@ -0,0 +1,37 @@
|
|||
# kopia
|
||||
|
||||
> 빠르고 안전한 오픈 소스 백업 도구.
|
||||
> 암호화, 압축, 중복 제거 및 증분 스냅샷을 지원합니다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kopia.io/docs/reference/command-line/>.
|
||||
|
||||
- 로컬 파일 시스템에 저장소 생성:
|
||||
|
||||
`kopia repository create filesystem --path {{경로/대상/로컬_저장소}}`
|
||||
|
||||
- Amazon S3에 저장소 생성:
|
||||
|
||||
`kopia repository create s3 --bucket {{버킷_이름}} --access-key {{AWS_액세스_키_ID}} --secret-access-key {{AWS_비밀_액세스_키}}`
|
||||
|
||||
- 저장소에 연결:
|
||||
|
||||
`kopia repository connect {{저장소_유형}} --path {{경로/대상/저장소}}`
|
||||
|
||||
- 디렉터리의 스냅샷 생성:
|
||||
|
||||
`kopia snapshot create {{경로/대상/폴더}}`
|
||||
|
||||
- 스냅샷 나열:
|
||||
|
||||
`kopia snapshot list`
|
||||
|
||||
- 특정 디렉터리에 스냅샷 복원:
|
||||
|
||||
`kopia snapshot restore {{스냅샷_ID}} {{경로/대상/목표_폴더}}`
|
||||
|
||||
- 새 정책 생성:
|
||||
|
||||
`kopia policy set --global --keep-latest {{유지할_스냅샷_수}} --compression {{압축_알고리즘}}`
|
||||
|
||||
- 특정 파일 또는 폴더를 백업에서 제외:
|
||||
|
||||
`kopia policy set --global --add-ignore {{경로/대상/파일_또는_폴더}}`
|
28
pages.ko/common/kops.md
Normal file
28
pages.ko/common/kops.md
Normal file
|
@ -0,0 +1,28 @@
|
|||
# kops
|
||||
|
||||
> Kubernetes 클러스터를 생성, 삭제, 업그레이드 및 유지 관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kubernetes/kops/>.
|
||||
|
||||
- 구성 사양에서 클러스터 생성:
|
||||
|
||||
`kops create cluster -f {{클러스터_이름.yaml}}`
|
||||
|
||||
- 새로운 SSH 공개 키 생성:
|
||||
|
||||
`kops create secret sshpublickey {{키_이름}} -i {{~/.ssh/id_rsa.pub}}`
|
||||
|
||||
- 클러스터 구성을 `~/.kube/config` 파일로 내보내기:
|
||||
|
||||
`kops export kubecfg {{클러스터_이름}}`
|
||||
|
||||
- 클러스터 구성을 YAML로 가져오기:
|
||||
|
||||
`kops get cluster {{클러스터_이름}} -o yaml`
|
||||
|
||||
- 클러스터 삭제:
|
||||
|
||||
`kops delete cluster {{클러스터_이름}} --yes`
|
||||
|
||||
- 클러스터 유효성 검사:
|
||||
|
||||
`kops validate cluster {{클러스터_이름}} --wait {{준비_시간}} --count {{필요한_검증_수}}`
|
20
pages.ko/common/kosmorro.md
Normal file
20
pages.ko/common/kosmorro.md
Normal file
|
@ -0,0 +1,20 @@
|
|||
# kosmorro
|
||||
|
||||
> 특정 날짜 및 지구상의 위치에 대한 천체력 및 이벤트를 계산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kosmorro.space>.
|
||||
|
||||
- 프랑스 파리의 천체력 얻기:
|
||||
|
||||
`kosmorro --latitude={{48.7996}} --longitude={{2.3511}}`
|
||||
|
||||
- UTC+2 시간대의 프랑스 파리의 천체력 얻기:
|
||||
|
||||
`kosmorro --latitude={{48.7996}} --longitude={{2.3511}} --timezone={{2}}`
|
||||
|
||||
- 2020년 6월 9일의 프랑스 파리의 천체력 얻기:
|
||||
|
||||
`kosmorro --latitude={{48.7996}} --longitude={{2.3511}} --date={{2020-06-09}}`
|
||||
|
||||
- PDF 생성 (참고: TeXLive가 설치되어 있어야 함):
|
||||
|
||||
`kosmorro --format={{pdf}} --output={{경로/대상/파일.pdf}}`
|
12
pages.ko/common/kotlin.md
Normal file
12
pages.ko/common/kotlin.md
Normal file
|
@ -0,0 +1,12 @@
|
|||
# kotlin
|
||||
|
||||
> Kotlin 애플리케이션 실행기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kotlinlang.org>.
|
||||
|
||||
- jar 파일 실행:
|
||||
|
||||
`kotlin {{파일이름.jar}}`
|
||||
|
||||
- Kotlin 및 JVM 버전 표시:
|
||||
|
||||
`kotlin -version`
|
24
pages.ko/common/kotlinc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kotlinc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kotlinc
|
||||
|
||||
> Kotlin 컴파일러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kotlinlang.org/docs/command-line.html>.
|
||||
|
||||
- REPL (대화형 셸) 시작:
|
||||
|
||||
`kotlinc`
|
||||
|
||||
- Kotlin 파일 컴파일:
|
||||
|
||||
`kotlinc {{경로/대상/파일.kt}}`
|
||||
|
||||
- 여러 Kotlin 파일 컴파일:
|
||||
|
||||
`kotlinc {{경로/대상/파일1.kt 경로/대상/파일2.kt ...}}`
|
||||
|
||||
- 특정 Kotlin Script 파일 실행:
|
||||
|
||||
`kotlinc -script {{경로/대상/파일.kts}}`
|
||||
|
||||
- Kotlin 파일을 Kotlin 런타임 라이브러리가 포함된 독립 실행형 jar 파일로 컴파일:
|
||||
|
||||
`kotlinc {{경로/대상/파일.kt}} -include-runtime -d {{경로/대상/파일.jar}}`
|
25
pages.ko/common/krita.md
Normal file
25
pages.ko/common/krita.md
Normal file
|
@ -0,0 +1,25 @@
|
|||
# krita
|
||||
|
||||
> 디지털 아티스트를 위한 스케치 및 페인팅 프로그램.
|
||||
> 같이 보기: `gimp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docs.krita.org/en/reference_manual/linux_command_line.html>.
|
||||
|
||||
- Krita 시작:
|
||||
|
||||
`krita`
|
||||
|
||||
- 특정 파일 열기:
|
||||
|
||||
`krita {{경로/대상/이미지1 경로/대상/이미지2 ...}}`
|
||||
|
||||
- 시작 화면 없이 시작:
|
||||
|
||||
`krita --nosplash`
|
||||
|
||||
- 특정 작업 공간으로 시작:
|
||||
|
||||
`krita --workspace {{애니메이션}}`
|
||||
|
||||
- 전체 화면 모드로 시작:
|
||||
|
||||
`krita --fullscreen`
|
24
pages.ko/common/krunvm.md
Normal file
24
pages.ko/common/krunvm.md
Normal file
|
@ -0,0 +1,24 @@
|
|||
# krunvm
|
||||
|
||||
> OCI 이미지를 사용하여 MicroVM을 생성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s://github.com/containers/krunvm>.
|
||||
|
||||
- Fedora 기반 MicroVM 생성:
|
||||
|
||||
`krunvm create {{docker.io/fedora}} --cpus {{vCPU_수}} --mem {{메모리_메가바이트}} --name "{{이름}}"`
|
||||
|
||||
- 특정 이미지 시작:
|
||||
|
||||
`krunvm start "{{이미지_이름}}"`
|
||||
|
||||
- 이미지 나열:
|
||||
|
||||
`krunvm list`
|
||||
|
||||
- 특정 이미지 변경:
|
||||
|
||||
`krunvm changevm --cpus {{vCPU_수}} --mem {{메모리_메가바이트}} --name "{{새_VM_이름}}" "{{현재_VM_이름}}"`
|
||||
|
||||
- 특정 이미지 삭제:
|
||||
|
||||
`krunvm delete "{{이미지_이름}}"`
|
25
pages.ko/common/ksh.md
Normal file
25
pages.ko/common/ksh.md
Normal file
|
@ -0,0 +1,25 @@
|
|||
# ksh
|
||||
|
||||
> Korn Shell, Bash와 호환되는 명령줄 인터프리터.
|
||||
> 같이 보기: `histexpand`.
|
||||
> 더 많은 정보: <http://kornshell.com>.
|
||||
|
||||
- 대화형 셸 세션 시작:
|
||||
|
||||
`ksh`
|
||||
|
||||
- 특정 [c]명령어 실행:
|
||||
|
||||
`ksh -c "{{echo 'ksh is executed'}}"`
|
||||
|
||||
- 특정 스크립트 실행:
|
||||
|
||||
`ksh {{경로/대상/스크립트.ksh}}`
|
||||
|
||||
- 특정 스크립트를 실행하지 않고 구문 오류 검사:
|
||||
|
||||
`ksh -n {{경로/대상/스크립트.ksh}}`
|
||||
|
||||
- 특정 스크립트를 실행하면서 각 명령을 실행 전 출력:
|
||||
|
||||
`ksh -x {{경로/대상/스크립트.ksh}}`
|
Loading…
Add table
Reference in a new issu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