From c0a22c60abd13d9ba30cbd0afab831fdf31e9c0b Mon Sep 17 00:00:00 2001 From: HoJeong Im <39ghwjd@naver.com> Date: Wed, 16 Oct 2024 15:50:55 +0900 Subject: [PATCH] f3*, fa*: add Korean translation (#14240) --- pages.ko/common/f3fix.md | 17 +++++++++++++++++ pages.ko/common/f3probe.md | 17 +++++++++++++++++ pages.ko/common/f3read.md | 9 +++++++++ pages.ko/common/f3write.md | 13 +++++++++++++ pages.ko/common/factor.md | 12 ++++++++++++ pages.ko/common/fakedata.md | 24 ++++++++++++++++++++++++ pages.ko/common/fast.md | 16 ++++++++++++++++ pages.ko/common/fastboot.md | 32 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+ 8 files changed, 140 insertions(+) create mode 100644 pages.ko/common/f3fix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common/f3probe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common/f3read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common/f3write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common/factor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common/fakedata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common/fast.md create mode 100644 pages.ko/common/fastboot.md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f3fix.md b/pages.ko/common/f3fix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e497a737ad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f3fix.md @@ -0,0 +1,17 @@ +# f3fix + +> 가짜 플래시 드라이브의 파티션 테이블 편집. +> 참고: `f3probe`, `f3write`, `f3read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실제 용량과 일치하는 단일 파티션으로 가짜 플래시 드라이브를 채우기: + +`sudo f3fix {{/dev/장치_이름}}` + +- 파티션을 부팅 가능한 것으로 표시: + +`sudo f3fix --boot {{/dev/장치_이름}}` + +- 파일 시스템을 지정: + +`sudo f3fix --fs-type={{파일시스템_타입}} {{/dev/장치_이름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f3probe.md b/pages.ko/common/f3prob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811992fa41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f3probe.md @@ -0,0 +1,17 @@ +# f3probe + +> 위조 플래시 메모리가 있는지 블록 장치(예: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microSD 카드)를 조사. +> 참고: `f3read`, `f3write`, `f3fix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블록 장치 조사: + +`sudo f3probe {{경로/대상/블록_장치}}` + +- 가능한 최소한의 RAM을 사용: + +`sudo f3probe --min-memory {{경로/대상/블록_장치}}` + +- 디스크 작업에 걸리는 시간: + +`sudo f3probe --time-ops {{경로/대상/블록_장치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f3read.md b/pages.ko/common/f3read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0a265c2f1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f3read.md @@ -0,0 +1,9 @@ +# f3read + +> .h2w 파일을 검증하여 드라이브의 실제 용량을 테스트. +> 참고: `f3write`, `f3probe`, `f3fix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특정 디렉터리의 파일을 확인하여, 장치의 유효성을 검사: + +`f3read {{경로/대상/마운트_포인트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f3write.md b/pages.ko/common/f3write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be38ab2f07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f3write.md @@ -0,0 +1,13 @@ +# f3write + +> 실제 용량을 테스트하려면, 드라이브를 .h2w 파일로 채우기. +> 참고: `f3read`, `f3probe`, `f3fix`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지정된 디렉터리에 테스트 파일을 작성하여 드라이브를 채움: + +`f3write {{경로/대상/마운트_포인트}}` + +- 쓰기 속도 제한을 둠: + +`f3write --max-write-rate={{초당_kb}} {{경로/대상/마운트_포인트}}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factor.md b/pages.ko/common/factor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2c2c6ee3fb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factor.md @@ -0,0 +1,12 @@ +# factor + +> 숫자의 소인수분해를 출력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숫자의 소인수분해를 표시: + +`factor {{숫자}}` + +- 인수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, `stdin`에서 입력을 가져옴: + +`echo {{숫자}} | factor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fakedata.md b/pages.ko/common/fakedata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261c48a870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fakedata.md @@ -0,0 +1,24 @@ +# fakedata + +> 다양한 생성기를 사용하여 가짜 데이터를 생성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유효한 모든 생성기를 나열: + +`fakedata --generators` + +- 하나 이상의 생성기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생성: + +`fakedata {{생성기1}} {{생성기2}}` + +- 특정 출력 형식으로 데이터를 생성: + +`fakedata --format {{csv|tab|sql}} {{생성기}}` + +- 주어진 수의 데이터 항목을 생성 (기본값은 10): + +`fakedata --limit {{n}} {{생성기}}` + +- 사용자 정의 출력 템플릿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생성 (생성기 이름의 첫 글자는 대문자여야 함): + +`echo "{{\{\{Generator\}\}}}" | fakedata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fast.md b/pages.ko/common/fas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34015386c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fast.md @@ -0,0 +1,16 @@ +# fast + +> fast.com을 사용하여 다운로드 및 업로드 속도를 테스트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현재 다운로드 속도 측정: + +`fast` + +- 다운로드 속도 외에 현재 업로드 속도도 측정: + +`fast --upload` + +- 간격을 줄이기 위해 결과를 한 줄에 표시: + +`fast --single-line` diff --git a/pages.ko/common/fastboot.md b/pages.ko/common/fastboot.md new file mode 100644 index 0000000000..580ab1badc --- /dev/null +++ b/pages.ko/common/fastboot.md @@ -0,0 +1,32 @@ +# fastboot + +> 부트로더 모드에 있을 때 연결된 Android 장치와 통신 (ADB가 작동하지 않는 곳). +> 더 많은 정보: . + +- 부트로더 잠금해제: + +`fastboot oem unlock` + +- 부트로더 리로드: + +`fastboot oem lock` + +- 장치를 fastboot 모드에서 fastboot 모드로 재부팅: + +`fastboot reboot bootloader` + +- 주어진 이미지를 조사: + +`fastboot flash {{경로/대상/파일.img}}` + +- 사용자 정의 복구 이미지 조사: + +`fastboot flash recovery {{경로/대상/파일.img}}` + +- 연결된 장치 목록 나열: + +`fastboot devices` + +- 장치의 모든 정보를 표시: + +`fastboot getvar all`